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우리 바다에 살고있는 해양수산생물은 얼마나 될까?

해수부, 2021년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 발간·공개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수산생물 14,507종의 정보를 담은 ‘2021년 국가 해양수산생물종(Species) 목록집 4 1() 발간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다양한 해양수산생물은 나고야의정서* 발효 등으로 인해 미래가치가 높아지고 국가 자산으로서 폭넓게 인식되면서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국가 간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소유권 분쟁 발생 시 국내 자원임을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등 해양수산생물에 대한 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체계적으관리하기 위해 국내 서식 기록이 있는 종에 대한 목록집(4,644)지난 2016년에 처음으로 발간하였다.

 

   * 나고야의정서(2017. 8. 국내 발효) : 생물자원에 접근하는 경우 자원 보유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자원 이용에 따른 이익은 자원 제공국과 공유해야 함을 규정

 

  이후 매년 우리나라 해양수산생물의 서식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들을 가로 확보하여 종 목록집을 발간해왔으며, 올해 목록집에는 분류군별로 실물을 보존하고 있는 8,660종을 포함하여 총 14,507종에 대한 학명과 국명을 수록하였다. 해양수산생물 실물은 해양수산생명자원 책임기관*  탁등록보존기관**에서 보존, 분양 등 목적에 따라 관리이용하고 있다.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 서울대, 부경대 등 21개 기관

 

  올해 목록집에 등록된 해양수산생물 중 해양절지동물을 포함한 양무척추동물이 5,815(40.1%)으로 가장 많았고, 해양미생물(3,005, 20.7%), 해양원생생물(2,990, 20.6%), 해양척추동물(1458, 10%), 해양식물(1,071, 7.4%), 담수생물(168, 1.2%)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이번 목록집에는 전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극피동물* 굽은애기불가사리(Henricia epiphysialis Ubagan, Lee, Kim & Shin, 2020) 새로운 생물 172종이 실렸고, 작년에 한글날을 맞아 진행한 국민 선호도 국명 조사를 통해 선정된 수수께끼괴물노벌레(Monstrillopsis paradoxa Jeon, Lee, Soh & Eyun, 2020) 31종의 새로운 국명도 표기되었다. 

 

   * 바닷속에 서식하며 가시가 있는 외피를 가지고 있는 생물

 

  해양생물의 분류군에 따라 총 6*으로 나누어져 있는 종 목록집은 해양수산생물과 관련이 있는 50여 개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국민 누구나 우리나라 해양수산생물자원의 목록을 볼 수 있도록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www.mbris.kr)을 통해 자료를 제공한다.

 

   * ① 해양척추동물, ② 해양무척추동물, ③ 해양식물, ④ 해양미생물, ⑤ 해양원생생물, ⑥ 담수생물

 

  임영훈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은 우리의 해양수산생명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근거자료인 만큼, 앞으로 과학적인 근거를 확보하고 해양수산생물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소나무 살리는 재선충병 나무주사, 안심하셔도 됩니다!
산림청(남성현 청장)은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에 사용되는 나무주사는 농약관리법에 따라 농촌진흥청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약제라고 25일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약제는 약효와 독성 등을 시험해 안전하다고 인정된 농약에 해당하며 사과, 오이 등 여러 농작물 병해충에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약제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결과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주사를 놓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송홧가루도 인체에 유해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인체에 흡수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최소한 미세먼지 수준인 10㎛(마이크로미터) 미만인데 송홧가루의 크기는 42~81㎛이기 때문에 폐까지 유입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설령 인체에 흡수되더라도 그 양이 적어 인체에 해로운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송홧가루 약제 잔류 흡입량은 성인 남성(70kg) 기준으로 볼 때 1일 섭취 허용량(ADI)의 1백만분의 1의 이하 양이다. ※ 1일 섭취 허용량(ADI) : 어떤 물질을 건강한 사람이 평생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하루 최대량, 농약이나 식품첨가물 등의 안전성을 검사할 때 사용 소나무재선충병은 한번 걸리면 소나무가 100% 고사하는 치명적인 병충해병이며 아직까지 개발된 치료제가 없어 예방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