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산 밀 재배면적 전년 대비 32.7% 증가

  • 등록 2022.06.29 13:02:35
크게보기

- 「밀산업 육성 기본계획」 시행(‘21) 이후 2년간 56% 증가 -

  6월 29일 발표된 통계청 「2022년 맥류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밀 재배면적은 8,259ha로 전년 6,224ha 대비 32.7%(2,035ha) 증가하였다.

 

< 국산밀 재배면적 추이 >

 

(단위: ha, %)

구 분

2000년

2021년

(A)

2022년

(B)

증감

(C=B-A)

증감률

(C/A)

5,224

6,224

8,259

2,035

32.7

 

  시도별로는 전남(3,277ha), 전북(2,852ha), 광주(892ha), 경남(805ha) 순으로 나타났다.

 

  맥류 품목별 순위에서도 (’20) 쌀보리 > 맥주보리 > 겉보리 > 밀 순에서, (’22) 쌀보리 > 밀 > 맥주보리 > 겉보리 순으로 밀 재배면적이 맥류 중 2번째로 증가하였다.

 

  통계청은 밀 재배면적 증가 원인으로 「밀 산업 육성 정책」 추진에 따른 농업인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 밀 산업육성을 위해 ’21년부터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밀 전문 생산단지 조성(’21. 39개소 → ’22. 51개소), 수확기 건조․저장을 위한 시설 지원(’21. 2개소 → ’22. 4개소) 및 정부보급종 종자 50% 할인공급(’21. 1,300톤 → ’22. 1,900톤 예정) 등의 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산 밀 가격 안정과 수요 확대를 위해 정부 수매(’21. 8천 톤 → ’22. 17천 톤 예정) 및 제분·가공지원(’22. 신규 16억 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밀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국산 밀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밀 자급률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밀 산업육성정책에 대한 농업인의 관심과 참여가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국산 밀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전문 생산단지 및 건조·저장시설 지원을 강화하여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밀 생산농가에 대해 혜택을 제공하는 한편, 정부 비축을 확대하여 자급률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함석구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