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축산과학원, 수해 한우 농가 영농 재개 힘 보탤 것

  • 등록 2025.08.01 13:18:07
크게보기

- 강민구 축산환경생명부장, 경남 합천 한우농가 방문
- 침수 피해·시설 환경 점검, 현장 수요 기술 수렴
- “축사 위생·전기 안전 철저히 확인…폭염 대비 시설도 꼼꼼히 살펴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강민구 부장은 7월 31일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의 한우 농장을 방문해 집중호우로 인한 축사 침수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강 부장은 최근 집중호우와 폭염이 겹치며 가축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침수 축사의 위생 상태와 전기 안전 여부, 축사 환경 관리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 이어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방문 농가는 최근 집중호우로 축사 내 사료와 톱밥 등 기자재 일부가 물에 잠기는 피해를 봤다.

 

 강 부장은 “침수 피해가 발생한 축사의 바닥, 벽면을 비롯해 사료조, 음수기 등을 소독하고, 전기 안전 상태를 신속히 점검해야 한다.”라며 “기록적 폭염으로 가축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냉수 급수기, 송풍 팬, 차광막 등 대응 시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폭우 이후 침수 잔재, 높은 습도, 배수 불량 등은 가축의 섭취 활동과 휴식을 방해하고 면역력을 떨어뜨려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라며 “수인성 전염병이나 토양 유래 세균성 질환 예방을 위한 위생·환경 관리에 각별하게 유의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축사 피해 대응 요령을 전파하고, 신속한 영농 재개를 돕고 있다. 축사가 침수된 농가에서는 오염된 물과 오물을 신속히 제거하고, 바닥·벽면·기구 등을 고압 세척 후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사료조 및 음수 시설도 청결하게 관리한다.

 

 축사 바닥의 수분은 톱밥이나 건초 등 건조재를 이용해 제거하고, 충분한 깔짚을 깔아 가축이 편안히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송풍 팬을 활용해 환기 및 습도 관리를 병행한다.

 

 침수된 사료는 즉시 폐기하고, 신선하고 깨끗한 사료를 급여한다. 사료 저장고에 곰팡이 폈는지, 사료가 부패했는지 면밀하게 점검하고 철저히 관리한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