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쌀 수발아 예보 서비스 신청하세요

  • 등록 2025.08.13 13:47:42
크게보기

- 서비스 가입 농가에 수발아 조기 예측 정보·조기 수확 등 대응 지침 제공
- 8월 22일까지 생산단지별 전담 상담사, 이후에는 누리집에서 신청
- 새 수발아 예측 모델 적용, 기존보다 정확도 3배 높여

농촌진흥청은 최근 고온다습한 환경이 등숙기와 맞물리면서 가루쌀 수발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가루쌀 수발아 예보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피해를 줄일 것을 당부했다.

 

 가루쌀 재배 농가는 8월 22일까지 생산단지별 전담 상담사(컨설턴트)를 통해 신청서를 작성, 제출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누리집(https://agmet.kr/signup)이나 휴대용 단말기(https://m.agmet.kr)에서도 직접 가입할 수 있다.

 

 

 신청 시 정확한 필지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의 수발아 위험 정도를 향후 3일분까지 받아 볼 수 있다. 위험 경보도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 알림톡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최대 9일 앞에 일어날 고온해, 저온해 등 기상과 재해 예측 정보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필지 단위(30×30m)별 기상 조건을 예측해 고온해, 일조 부족 등 다양한 기상재해 대응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기상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으면 가입 농가에 매일 오후 6시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 알림톡으로 조기경보 알림과 대응 지침을 발송한다. 수발아가 예측되면 ‘수발아 위험(주의·경보)’ 메시지와 함께 논물 배수 관리, 조기 수확 등 피해 예방 요령도 안내한다.

 

 

 현재 가루쌀 생산단지를 포함한 전국 110개 시군에 조기경보시스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올해 말까지 155개 시군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2023년부터는 조기경보시스템에 가루쌀 항목을 추가하고 생산단지에 수발아, 고온해, 수해, 저온해 등 9종의 재해 발생 정보를 제공해 왔다. 올해는 벼 등숙 후기에 수발아 비율이 다소 높게 예측되자 기상 조건별 수발아 정보(데이터)를 추가하고, 인공지능 모델 학습을 거친 새 예측 모델을 적용해 정확도를 약 3배 높였다.

* 등숙 후기 수발아 실측 데이터와 예측값 비교 시 정확도(%): (기존) 23.5 → (개선) 72.7 (약 3배 증가)

 

 농촌진흥청 재배생리과 장재기 과장은 “최근 반복되는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수발아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라며 “농업 현장에서 신속하게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재해 예보 알림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고 널리 이용토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