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시기, 쏘임 주의!

  • 등록 2025.08.20 13:41:17
크게보기

- 등산 등 야외활동 중에는 밝은색 모자와 긴 옷차림으로 노출 최소화
- 벌집 발견 시, 벌을 자극하지 말고 119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거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여름을 지나며 벌의 개체 수가 늘고, 특히 8월 중순 이후로는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만큼, 벌 쏘임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벌 쏘임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91,401명이다.

 

  2022년에는 2만 명이 넘는 벌 쏘임 환자가 발생했으며, 2023년을 제외하면 벌 쏘임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8월 중순 이후는 벌들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연중 가장 많은 벌쏘임 환자가 발생(8월 24,306명)했다.

 

   ※ 벌의 생태: (7월~8월) 개체 증식기, (8월 중순 이후) 최대 활동기 (출처: 농촌진흥청)

 

 

                 < 최근 5년간(2020~2024년) 벌 쏘임 환자 수 현황 >       (단위: 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c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2pixel, 세로 29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c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6pixel, 세로 293pixel

<연도별>

<월 별>

[출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진료년월 기준]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6,590명(29%)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2,398명(25%), 70대 11,571명(13%), 40대 11,417명(12%) 순이다.

 

   - 특히, 등산이나 텃밭 가꾸기, 농사일 등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50대 이상에서 전체 벌 쏘임 사고의 71%가 발생했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복장은 벌이 천적으로 인식하는 어두운색보다 밝은 계열을 선택하고, 챙 넓은 모자와 긴 옷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한다.

 

   ※ 말벌의 공격 성향 실험 결과, 머리부위와 검은색에 강한 공격성을 보임(출처: 국립공원공단)

 

   - 향이 강한 향수나 화장품, 달콤한 음료도 벌을 유인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야외에서 벌이 모여 있거나 땅속, 나뭇가지 등에서 벌들이 드나드는 모습이 보이면 벌집이 있을 수 있으니 접근을 피한다.

 

   - 벌집을 발견했을 경우 섣불리 제거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119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팔을 휘두르며 벌을 자극하지 말고, 즉시 그 자리를 벗어난다.

 

   - 놀라서 땅에 엎드리거나 웅크리면 더 많이 쏘일 수 있으므로 머리를 보호하며 신속히 대피한다.

 

   - 특히, 말벌류는 한 마리가 여러 번 침을 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니 각별히 주의한다.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8월 중순부터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만큼, 야외 활동 시 주변을 잘 살피는 등 벌 쏘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장승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