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2026년도 예산안을 76조 4,426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예산안은 9월 2일(화) 국회 제출 후 상임위, 예결위 심사를 거쳐 본회의 의결을 통해 12월에 확정될 예정이다.
지방교부세는 69조 3,459억 원, 인건비 및 기본경비는 4,302억 원이며, 특히 사업비는 올해 본예산 대비 2조 303억 원(43.8%↑)이 증가한 6조 6,665억 원을 편성했다.
이번 예산안은 이재명 정부 첫 예산안으로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민주정부 구현, 국민 안전 확보,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등 새정부 핵심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편성했다.
< 2026년 사업비 예산편성 현황 >
사업비 합계 |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 |
국민 안전 |
자치발전·균형성장 |
사회통합 등 |
6조 6,665억 |
8,649억 |
2조 5,197억 |
2조 5,921억 |
6,898억 |
행정안전부 중점 투자방향에 따른 주요 사업들은 다음과 같다.
세계 최고 인공지능(AI) 민주정부 구현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해 범정부 인공지능(AI) 공통기반을 구축하고, 정부‧지자체가 중복투자 없이 신속하게 인공지능(AI)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서비스의 기획-개발-운영-고도화 전 단계 지원을 본격 추진한다.
▸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 : (‘26 신규) 206억
▸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현 : (‘25) 54억 → (‘26) 74억
▸ AI 행정업무 적용 : (‘25) 42억 → (‘26) 187억
개인상황 변화에 따라 국민이 놓칠 수 있는 정부혜택을 알아서 챙겨주는 혜택알리미 서비스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강화하고, 복잡한 신청절차를 밟지 않아도 일상언어로 AI Agent에 요청하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를 새로 도입한다.
▸ 혜택알리미 서비스 구축 : (‘25) 53억 → (‘26) 56억
▸ AI Agent-공공서비스 연계 : (‘26 신규) 8억
민간 인공지능 기업들이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핵심 공공데이터들을 인공지능(AI)이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해 제공하도록 확대한다.
▸ 공공데이터 구축 개방 확대 : (‘25) 264억 → (‘26) 305억
국민 안전 확보
심각해지는 이상기후에 대응하여 인공지능(AI)·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측·감시체계를 구축하며, 국민안전산업펀드를 새롭게 조성해 첨단 기술기반의 국민안전산업 성장을 촉진한다.
▸ 재난안전 AI 관제체계 및 데이터 구축 : (‘25) 51억 → (‘26) 124억
▸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연계 및 역량강화 : (‘26 신규) 34억
▸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 : (‘26 신규) 50억
※ 최초 200억(행안부 50억+경찰청 50억+민간·지자체 100억)
집중호우·태풍 등 재해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정비사업을 확대하고, 재난피해주민의 조속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피해복구비도 증액한다.
▸ 재해위험지역 정비 : (‘25) 8,742억(추경 9,443억) → (‘26) 1조 488억
▸ 재난대책비 : (‘25) 3,600억(추경 1조 200억) → (‘26) 1조 100억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소상공인 등 골목상권 활성화 및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비지원을 확대하며,
- 1조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방소멸 극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사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소득‧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소멸 등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마을기업 지원도 확대한다.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 (‘25 추경) 1조 → (‘26) 1조 1,500억
▸ 지방소멸대응기금 : (‘25) 1조 → (‘26) 1조
▸ 마을기업 육성사업 : (‘25) 17억 → (‘26) 53억
접경지역, 섬 등 특수한 지리적 여건으로 소외된 지역들을 위해 지역주민의 기초생활 기반 확충 및 균형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한다.
▸특수상황지역개발 : (‘25) 1,942억 → (‘26) 1,994억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 (‘25) 618억 → (‘26) 799억
▸접경권발전지원 : (‘25) 456억 → (‘26) 533억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25) 115억 → (‘26) 153억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 (‘25) 85억 → (‘26) 107억
주민이 중심인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민관이 함께 지역공동체 문제를 해결하는 거버넌스 협력체계를 구축·확산한다.
▸지역주도 민관협력체계 구축 및 확산 : (‘26 신규) 25억
▸다부처 협업 지역역량성장거점 활성화 : (‘26 신규) 17억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기후·환경·재난 등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인재 육성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주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지역별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자원봉사 활성화 : (‘25) 133억 → (‘26) 178억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의 유해를 안장하여 그 넋을 달래고, 유가족의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전국단위 위령시설을 조성하며,
- 일제 강제동원 관련 피해자 추도 및 국민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운영비 지원을 확대하는 등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한다.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조성 : (‘26 신규) 184억
▸대일항쟁기강제동원조사지원 및 운영 : (‘25) 77억 → (‘26) 86억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조성 : (‘25) 20억 → (‘26) 32억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026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은 국민행복을 최우선 목표로 ‘세계 최고 AI 민주정부 구현’, ‘국가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연대와 화해에 기반한 사회통합’ 등 국민이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핵심과제들을 중심으로 편성하였다”면서, “앞으로 국회 심의과정에서 정부안이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