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사용 등 중기 R&D사업비 3년간 511억…절반도 못 환수해

  • 등록 2020.09.30 13:37:13
크게보기

- 부정사용 등 중기 R&D 사업비 미환수 3년간 총 286억…미환수율 56%
-강제압류 대상 미환수율은 최근 2년간 88%
-“중기R&D자금, 눈먼돈 돼선 안 돼…체계적 운용, 부정사용 철저 환수 필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R&D 사업비 중 연구비 부정사용 등으로 인한 환수대상액이 3년간 500억원을 넘었다. 이 중 절반가량은 돌려받지 못했다. 강제징수 대상액에 대한 미환수율은 최근 2년간 88%에 달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강훈식 의원이 28일 중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3년(‘17년~’19년)간 중기부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기정원)을 통해 지원한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R&D사업에서 부정사용, 연구중단 등 사유로 511억원을 환수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환수하지 못한 금액은 총 286억1700만원으로, 미환수율은 56%로 나타났다. 2019년도 미환수율은 73.3%에 달했다.(2020년 6월 기준)

 

연도별 환수금 발생액을 보면, 2017년 203억9700만원(165건), 2018년 194억9500만원(259건), 2019년 112억800만원(129건)으로 총 511억원이었다.

 

특히, 강제압류 대상임에도 환수되지 못한 금액은 최근 2년간 78억 9100만원으로, 미환수율은 88%에 달했다. 연도별 미환수율은 2018년 84%, 2019년 91%였다. 환수금 납부 통지가 두 차례 이어져도 해당 금액이 납부되지 않을 경우 강제압류 대상이 된다.

 

사정이 이런데도 기정원은 환수 업무를 주먹구구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추심 업무는 전문성 및 업무 연속성이 필요한 분야임에도 순환보직을 원칙으로 하는 일반직위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담당자가 관련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등 전산화 작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강 의원은 “중소기업 R&D 관련 사업자금이 눈먼돈이 돼선 안 된다”며 “중소기업 기술 발전을 위해 R&D 사업 자금이 제대로 쓰일 수 있도록 자금의 체계적인 운용 방안을 마련하고, 환수 대상액에 대한 철저한 환수조치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중기부 소관 R&D 사업(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관리사업 기준) 환수 조치 현황

(건, 백만원, %, 2020.06. 기준)

연도

환수대상(건)

환수 발생액

환수금액

미환수(건)

미환수금액

미환수율(%)

2017

165

20,397

10,537

78

9,860

48.3

2018

259

19,495

8,958

118

10,537

54.0

2019

129

11,208

2,988

74

8,220

73.3

553

51,100

22,483

270

28,617

56.0

 

강제징수 대상 및 회수 현황

(건, 백만원)

연도

예금압류 대상

예금압류 징수(회수)

미납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2018

94

3,896

20(21%)

631(16%)

74(79%)

3,265(84%)

2019

75

5,110

6(8%)

484(9%)

69(92%)

4,626(91%)

합계

169

9,006

26(15%)

1,115(12%)

143(85%)

7,891(88%)

*괄호 안은 예금압류 대상 대비 비중

*예금압류 징수 건은 완납 기준(분할납부는 미납에 포함)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