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6만톤의 농촌폐비닐 방치...지역별 수거율 천차만별”

  • 등록 2020.10.08 13:10:38
크게보기

 - 2015년 이후 농촌지역에서 연평균 32만톤 폐비닐 발생 
 - 수거량은 연평균 19.7만톤(수거율 62%)에 그쳐, 7만톤 분량은 민간업체 처리
 - 나머지 약 6만톤 분량은 방치/소각/매립되는 것으로 추정
 - 위성곤 의원, “농림부, 환경부, 지자체가 협업하여 종합적 대책 마련 시급”

 해마다 6만톤 정도의 폐비닐이 방치되면서 농촌사회가 심각한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하여 2015년 이후 최근 4년간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은 연평균 약 32만톤이나 된다고 발표했다.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자체적으로 수거보상금제도 등을 통해 수거되는 폐비닐이 약 19.7만톤으로 전체 발생량의 62%를 차지하며, 나머지 물량 중 7만톤 가량은 민간업체에서 수거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해마다 6만톤 정도의 폐비닐은 계통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관리 사각지대에서 불법적으로 방치/소각/매립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2017년에 비해 2018년 발생한 농촌폐비닐의 발생량은 4,300톤 증가하였으나 수거량은 3571톤 감소하여 전체 수거율은 63.1%에서 61.2%로 하락하였다.

 

 지자체별로 지난 3년간 폐비닐 발생량 대비 수거율을 살펴보면 서울을 제외한 대도시의 경우 울산(69.6%)과 대전(64.7%)이 비교적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대부분의 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의 수거율이 50% 미만으로 극히 저조하였다. 특히, 광주(10.7%)와 부산(13.4%)의 수거율은 심각한 수준을 보였다.

 

 농촌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9개도(道) 중에서는 강원(79.8%), 전북(79.1%), 전남(73.4%), 충북(73.0%) 순으로 높은 수거율을 보였고, 경남(44%)과 충남(51%), 제주(52%)지역의 수거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위성곤 의원은 “미세플라스틱의 위험 등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시점에 농촌지역이 폐비닐로 인한 생태환경오염의 위기에 방치되는 실정”이라며, “농림부와 환경부, 지자체가 협업하여 시급히 종합적인 영농폐기물 처리․수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근본적으로는 친환경 영농자재 개발 및 보급과 환경보전에 대한 자발적 국민인식 강화가 지속가능한 농촌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행 폐기물 전반에 대한 소관부처는 환경부이며, 농촌폐비닐의 경우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지자체에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3년간 지자체별 농촌폐비닐 발생 현황]

(단위: 톤)

지자체명

2017

2018

2019

발생량

수거량

수거율

발생량

수거량

수거율

발생량

수거량

총  계

314,475

198,577

63.1

318,775

195,006

61.2

’20.11월경 확정*

194,379

서울특별시

136

0

0

211

0

0

0

부산광역시

1,307

167

12.8

1,306

183

14.0

263

대구광역시

1,681

287

17.1

1,716

1,068

62.2

460

인천광역시

2,911

791

27.2

1,859

836

45.0

873

광주광역시

2,464

256

10.4

2,086

229

11.0

288

대전광역시

1,105

863

78.1

1,122

576

51.3

1375

울산광역시

1,440

1,027

71.3

1,405

952

67.8

1,071

세종특별

자치시

902

219

24.3

649

199

30.7

292

제주특별

자치도

8,751

4,656

53.2

9,833

4,852

49.3

5,034

경기도

31,321

16,908

54.0

31,249

16,908

54.1

16,858

강원도

24,996

23,054

92.2

33,780

22,719

67.3

22,698

충청북도

25,213

20,450

81.1

30,088

19,485

64.8

18,957

충청남도

36,347

18,266

50.3

35,190

18,706

53.2

17,414

전라북도

35,747

25,381

71.0

29,785

25,947

87.1

20,952

전라남도

47,406

34,028

71.8

44,367

33,222

74.9

33,247

경상북도

49,500

32,723

66.1

52,338

31,141

59.5

34,403

경상남도

43,248

19,501

45.1

41,791

17,983

43.0

20,194

* 전년도 발생량은 당해연도 중 농가 통계조사를 통해 연말경 발표

  <자료제공>환경부  *의원실 자체편집

 

[최근 5년간 전국농촌 폐비닐 발생량/수거량 현황]

구  분

연평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발생량(톤)

317,659

322,964

314,420

314,475

318,775

조사중

수거량(톤)

196,624

186,965

205,951

198,576

195,005

193,379

<자료제공> 농림축산식품부   * 출처 : 한국환경공단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