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한돈팜스 전국 한돈농가 전산성적 및 수급전망 발표

  • 등록 2020.12.14 11:19:08
크게보기

한돈팜스 2019년 전산성적 분석 PSY 21.2두 MSY 17.9두 기록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1211일 서울 서초구 대한한돈협회 회의실에서 한돈팜스 전국 한돈농가 2019년 전산성적 및 2021년 수급전망 발표회를 가졌다. 이번 발표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상향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한돈팜스를 토대로 산출한 전국 한돈농가들의 2019MSY는 전년과 같은 17.9두를 기록했다. 호당 모돈수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2019년 생산지표 추세의 특성은 복당산자수, 모돈회전율은 전년과 같지만 이유두수가 증가하면서 월별 PSY, MSY가 증가추세를 보여 2019PSY21.2두로 전년보다 0.3두 증가했으나 MSY17.9두로 같았다. 그러나 2020(1~9)MSY18.1두로 전년보다 0.2두 늘었다.

 

한돈협회의 의뢰로 한돈팜스 분석을 담당한 정P&C연구소 김응상 이사은 한돈팜스를 토대로 산출한 전국 한돈농가들의 2019년 성적은 한국양돈산업의 생산성이 조금씩 향상되고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꾸준한 다산성 모돈 유전자원의 도입과 새로운 시설과 사양기술의 현장적용이 조금씩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분기별 성적 추세를 보면 20183분기에 PSY21.0두를 기록한 후 MSY4분기에 18.5두로 전분기의 17.3두보다 1.2두 상승했고 20193분기에 PSY21.5두로 상승한 후 4분기에 MSY 18.5두로 전분기 17.5두보다 1.0두 상승해 202010월에는 18.9두를 기록했다.

 

<1> 한돈팜스 연도별 생산성적 비교

 

구분

연도

2017

2018

2019

전년대비

2020

호당모돈수

251

257

270

105.06%

274

총산자수

10.91

10.88

11.09

101.93%

11.14

이유두수

9.96

9.85

10.04

101.93%

10.12

이유전육성율

91.3

90.5

90.5

100.00%

90.9

PSY

20.9

20.9

21.2

101.44%

21.4

MSY

17.8

17.9

17.9

100.00%

18.1

이유후육성율

85.5

85.9

84.5

98.37%

84.7

모돈회전율

2.15

2.13

2.14

100.47%

2.13

분만율

84.2

82.6

84.3

102.06%

84.7

출하일령

203

194

205

105.67%

202

사료섭취량

1.55

1.61

1.56

96.89%

1.54

 

                      한돈팜스 분기별 PSY, MSY 변화 추세

 

# 규모 클수록 번식성적 , 육성율: 사육규모별 집중관리 형질 달라

 

2019년 한돈팜스 전산참여 농가들의 성적을 보면 사육 규모가 큰 양돈장일수록 이유전 육성률, 이유후 육성률이 사육규모가 적은 농장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모돈 규모 400두 미만 농가는 복당산자수와 이유두수를 높여야 하고, 모돈규모 400두 이상 농가는 이유전과 이유후의 육성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2019년도 모돈 규모별 생산성적

 

구분

1-100

100-200

200-300

300-400

400-500

500-1000

1000

전체

호당모돈수

69

147

241

336

441

682

1657

270

복당총산자수

10.81

10.84

11.17

11.31

11.67

11.85

11.97

11.09

복당이유두수

9.87

9.91

10.1

10.36

10.26

10.35

10.32

10.04

이유전육성률(%)

91.3

91.4

90.4

91.6

87.9

87.4

86.2

90.5

PSY

19.6

20.8

21.8

22.6

22.5

23.1

23.4

21.2

MSY

17.3

17.8

18.1

18.4

18.9

18.4

19.1

17.9

이유후육성률(%)

88.4

85.8

83.1

81.4

83.9

79.6

81.6

84.5

모돈회전률

2.06

2.12

2.17

2.2

2.21

2.25

2.27

2.14

분만율(%)

83

84.2

85.3

85.5

84.7

83.8

85.1

84.3

출하일령

203

207

207

200

196

199

190

205

사료섭취량

1.62

1.58

1.56

1.56

1.48

1.41

1.33

1.56

 

모돈 규모별 이유전 육성률은 이유두수 대비 총산자수 비율로 모돈규모 300~400두 그룹이 9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돈두수 400두 미만 그룹의 이유전 육성율이 400두 이상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대로 총산자수 성적이 상대적으로 높은 모돈 규모 1,000두 이상의 농장에서 이유전 육성률이 가장 낮은 수치인 86.2%를 보였다. 20209월까지의 성적은 90.9%로 전년보다 0.4% 높았다.

 

모돈 규모별 이유후 육성률은 84.5%로 전년보다 1.4% 하락하였다. 300~400두 미만 농가 구간에서 가장 큰 하락률을 나타내었다. 이유후 육성률이 가장 높은 모돈 규모는 이유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1~100두 미만 규모였고 규모가 클수록 이유후 육성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020년은 2019년 대비 다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3년간(2017~2019)의 모돈 규모별 이유전 육성률도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3> 2019년 연도별 사육규모별 이유전 육성률 비교

 

모돈 규모

이유전 육성률

2017

2018

2019

전년대비

2020

1-100두 미만

92.6

91.9

91.3

99.3%

91.7

100-200두 미만

91.5

92.3

91.4

99.0%

92.1

200-300두 미만

91.4

90.8

90.4

99.6%

90.6

300-400두 미만

91.5

90.7

91.6

101.0%

91.1

400-500두 미만

89.8

89.3

87.9

98.4%

87.8

500-1000두 미만

88.8

88.2

87.4

99.1%

88.1

1000두 이상

87.5

87.5

86.2

98.5%

87.2

전체

91.3

90.5

90.5

100.0%

90.9

 

 

# 2021년 출하두수 1782 만두, 자급률 76.6% 전망

<4> 한돈팜스 돼지 수급 현황 및 전망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전년이월(천톤)

129.1

96.4

88.9

131.4

129.6

100.0

생산(천톤)

891.1

969.3

1,007.4

1,033.9

1,052.2

1,033.7

수입(천톤)

318.5

371.3

463.7

421.1

306.6

320.0

총공급(천톤)

1,338.7

1,437.0

1,560.0

1,586.0

1,489.0

1,453.7

소비량(천톤)

1,240.2

1,346.6

1,427.6

1,455.1

1,385.0

1,349.7

수출(천톤)

2.1

1.5

0.9

1.3

4.0

4.0

이월재고(천톤)

96.4

88.9

131.4

129.6

100.0

100.0

도축두수(천두)

16,546

16,712

17,369

17,825

18,142

17,821

자급률(%)

71.9

72.0

70.6

71.1

76.0

76.6

 

 

한돈팜스 수급전망은 한돈팜스를 이용하는 농가가 매월 입력하는 데이터 기반으로 다음해 돼지고기 수급을 예측하는 것이다. 한돈팜스 수급전망은 2020년은 실제 실적과 정확도는 97%(202012월 추정치)를 보였다.

한돈협회는 2021년 예상출하두수를 1782만두로 20201814만두(추산) 보다 1.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연간 돈육 소비량은 2012년 처음 100만톤을 넘어선 이후 계속 증가해 2020년에는 1385,000(추정), 2021년에는 1349,700톤으로 예상했으며, 2014년부터 연평균 2.5%씩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국내 돈육 생산량은 20201052,200, 20211033,700톤으로 2014년부터 연평균 2.9%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돈육수입량은 2018463,700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0년은 약 30만톤으로 예측되지만 돈육 수입량의 2014년부터의 연평균 증가율은 2.0% 수준이다.

 

2021년 돈육수급은 도축두수 17821천두와 수입량 32만톤 가량으로 추정되며, 2020년 한돈 자급률이 76.6%, 2021년에는 76.0%로 분석되었다.

장승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