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하니 사망자 72.1%, 교통사고 31.5% 줄어

  • 등록 2022.02.21 10:10:50
크게보기

- 행안부, 지난해까지 11,803개소 개선, 올해는 297개소 개선 추진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지자체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시행한 지역에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72.1%,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31.5% 감소했다고 밝혔다.

 

   * 연중 교통사고가 일정 기준이상 발생한 지점(특별·광역시 5건, 그 외 일반시 3건)

 

 이는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지난 2019년에 지자체에서 개선사업을 완료한 전국 216개소를 대상으로 개선 전 3년 평균(’16~’18년)과 개선 후 1년간(’20년)의 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이다.

 

  사업 시행 전 3년간 연평균 사망자 수는 32.3명이었으나, 개선사업 시행 후인 2020년에는 9명으로 72.1% 감소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f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9pixel, 세로 31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f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9pixel, 세로 314pixel

 

  교통사고 발생 건수 또한 사업 시행 전 연평균 2,262건에서 1,549건으로 31.5% 감소하여,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교통안전표지·노면표시 등 간단한 교통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사업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선사례를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1가 14 삼각지교차로의 경우 진행 방향 혼선으로 인한 차로변경사고와 보행자 무단횡단 다발 지역으로 개선 전에는 연평균 1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진행 방향 혼선방지용 노면색깔유도선 및 보행자 무단횡단방지 시설 등 설치한 결과, 사업 시행 전과 비교해 교통사고는 8건으로 50% 감소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3. 용산구 삼각지교차로(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8pixel, 세로 20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7년 07월 27일 오후 2:45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50 프로그램 이름 : Ver.1.00  F-스톱 : 9.5 노출 시간 : 10/3500초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7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또한,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신촌리 신촌교차로는 비교적 한산한 도로로서 잦은 과속 및 신호위반, 급격한 우회전 합류로 개선 전 연평균 6.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고정식 신호·과속단속장비 및 이격식 미끄럼방지포장 설치, 진로변경제한선 등을 설치한 결과, 개선사업 후 교통사고는 1건으로 사업 시행 전보다 84.1% 감소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4 청주 신촌교차로(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0pixel, 세로 465pixel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 삼간사거리의 경우에는 점멸신호 운영 및 교차로 면적 과다로 차량의 무분별한 교차로 통행으로 개선 전 연평균 4.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 회전교차로 설치, 교통안전표지 및 노면표시 설치 등 개선 사업 이후에는 교통사고 및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행정안전부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하여 지난해까지 전국 11,803개소를 개선한 바 있다.

 

 올해는 전국 297개소의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구창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 대해서는 철저한 사고 원인 분석 후 맞춤형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국민생명보호를 위해 지자체· 도로교통공단과 협력하여 사업효과가 검증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지속 추진·관리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