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피해 기록물 응급복구, 이렇게 대처하세요

  • 등록 2023.05.24 10:40:17
크게보기

- 국가기록원, ‘방재의 날’ 맞아 「재난 피해 기록물 응급복구 가이드라인」 발간
-지난해 포항시 태풍 힌남노 피해 사례 반영, 지자체와 협업하여 제작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기상 악재와 예측할 수 없는 재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국가적으로 소중한 기록 유산들이 훼손되는 사례 또한 늘어나고 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재난 상황에서 기록물 피해를 최소화하고 즉시 대처가 가능하도록 ‘재난 피해 기록물 응급복구 가이드라인’을 발간하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교 등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가이드라인 발간은 지난해 태풍 힌남노 피해를 크게 입었던 포항시와 협업으로 진행됐다.

 

 기존의 ‘재난 피해 종이기록물 응급조치 매뉴얼’에 포항시 피해 복구 사례를 바탕으로 현장 활용도 등을 평가한 후, 추가 사항을 발굴하여 가이드라인에 적용했다.

 

 가이드라인에는 매뉴얼에서 안내하고 있는 응급복구 순서를 바탕으로 ▴재난 대비, ▴발생 후 행동 요령 ▴기록물 응급조치 ▴완료 후 보관방법 등을 수록하여 기록관리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재난 피해 현장에서 기록물 복구를 위해 가장 시급한 사항인 기록물 훼손 상태에 따른 조치방법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어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가기록원은 기록물 응급복구 가이드라인을 국가기록원 누리집(http://www.archives.go.kr)에 공개하여 국민과 기업, 민간단체 등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2011년 폭우로 훼손된 이화장* 기록물 응급복구 등 국가적 재난 피해 기록물에 대하여 전문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록물 응급복구를 지원하고 있다.

 

    * 이승만 초대 대통령 사저 및 집무 공간(서울시 종로구 이화동)

 

 2021년부터 매년 각 기관 기록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응급복구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기록물 응급복구 키트’를 개발하여 상습 침수 피해 지역 37개 시·군·구에 배포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40pixel, 세로 108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09월 15일 오후 8:20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33pixel, 세로 40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84pixel, 세로 11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4월 11일 오후 2:51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 Windows 색 대표 : sRGB

포항시 응급복구 지원( ’22년)

맞춤형 응급복구 실습교육

기록물 응급복구 키트

 

 가이드라인 제작에 참여했던 포항시 김민지 기록연구사는, “이번 가이드라인에 포항시의 경험과 현장의 소리를 반영해주신 국가기록원에 감사드린다. 앞으로 실무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구만섭 국가기록원 원장은 “이번 가이드라인이 현장에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소중한 기록물이 더 이상 훼손되지 않고 적기에 복원될 수 있도록 재난 피해 기록물의 응급복구 대응과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승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