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2월 가뭄 예·경보와 국가가뭄통계를 발표했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91.8%(533.0㎜)로, 경기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 기상가뭄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6개월(’24.8.4.~’25.2.3.)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 
			 구 분  | 
			
			 전국*  | 
			
			 서울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전체  | 
			
			 영서  | 
			
			 영동  | 
		||||||||||
| 
			 강수량 (㎜)  | 
			
			 533.0  | 
			
			 485.0  | 
			
			 553.6  | 
			
			 475.3  | 
			
			 710.3  | 
			
			 458.9  | 
			
			 534.7  | 
			
			 512.6  | 
			
			 628.8  | 
			
			 394.6  | 
			
			 665.7  | 
			
			 692.0  | 
		
| 
			 평년값 (㎜)  | 
			
			 578.1  | 
			
			 550.3  | 
			
			 629.5  | 
			
			 589.0  | 
			
			 710.6  | 
			
			 543.7  | 
			
			 568.5  | 
			
			 594.4  | 
			
			 582.2  | 
			
			 516.0  | 
			
			 620.9  | 
			
			 763.9  | 
		
| 
			 평년비** (%)  | 
			
			 91.8  | 
			
			 88.3  | 
			
			 88.2  | 
			
			 82.2  | 
			
			 100.2  | 
			
			 84.6  | 
			
			 94.2  | 
			
			 86.0  | 
			
			 108.1  | 
			
			 76.9  | 
			
			 106.8  | 
			
			 92.3  | 
		
* 전 국 : 각 지점별 강수량의 총합을 전국 지점수(제주를 제외한 62개)로 나눈 값
** 평년비 : 각 지점의 평년비 총합을 전국 지점수로 나누어 구한 값
2025년 2월과 4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고, 3월의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 평년비슷범위(㎜): (2월) 27.5~44.9, (3월) 42.7~58.5, (4월) 70.3~99.3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78.1%로 평년(73.8%) 대비 105.8%로 높고, 지역별로도 100.1%(전북) ~ 111.2%(전남)로 평년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전국 및 시도별 평균 저수율 현황(‘25.2.3. 기준) >
| 
			 구 분  | 
			
			 전국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전체  | 
			
			 영서  | 
			
			 영동  | 
		|||||||||
| 
			 저수율(%)  | 
			
			 78.1  | 
			
			 91.4  | 
			
			 89.1  | 
			
			 91.1  | 
			
			 85.7  | 
			
			 86.2  | 
			
			 91.0  | 
			
			 72.2  | 
			
			 73.2  | 
			
			 73.6  | 
			
			 79.9  | 
		
| 
			 평년값(%)  | 
			
			 73.8  | 
			
			 84.8  | 
			
			 83.9  | 
			
			 84.0  | 
			
			 83.6  | 
			
			 79.9  | 
			
			 83.6  | 
			
			 72.1  | 
			
			 65.8  | 
			
			 73.2  | 
			
			 72.3  | 
		
| 
			 평년대비(%)  | 
			
			 105.8  | 
			
			 107.8  | 
			
			 106.2  | 
			
			 108.5  | 
			
			 102.5  | 
			
			 107.9  | 
			
			 108.9  | 
			
			 100.1  | 
			
			 111.2  | 
			
			 100.5  | 
			
			 110.5  |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량은 각각 예년*의 127.7%, 106.5% 수준으로, 전국 생활·공업용수는 정상 공급 중이다.
* 댐을 준공한 이후부터 전년(‘24년)까지 관측된 저수량의 평균값
다만, ‘보령댐’*과 ‘영천댐’ 공급지역*은 약한 가뭄(관심) 단계로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하는 등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 (보령댐) 보령, 서산, 당진, 서천, 예산, 청양, 태안, 홍성 / (영천댐) 영천, 포항, 경주
<전국 다목적댐 · 용수댐 저수량 현황(’25.2.3. 기준)>
| 
			 구 분  | 
			
			 다목적댐  | 
			
			 용수댐  | 
		|||||
| 
			 전체  | 
			
			 한강  | 
			
			 낙동강  | 
			
			 금강  | 
			
			 섬진강  | 
			
			 기타  | 
		||
| 
			 저수량(백만㎥)  | 
			
			 7,987.3  | 
			
			 3,745.8  | 
			
			 1,889.4  | 
			
			 1,406.0  | 
			
			 724.8  | 
			
			 221.3  | 
			
			 213.8  | 
		
| 
			 예년값(백만㎥)  | 
			
			 6,256.9  | 
			
			 2,794.1  | 
			
			 1,499.9  | 
			
			 1,257.6  | 
			
			 540.8  | 
			
			 164.4  | 
			
			 200.8  | 
		
| 
			 예년대비(%)  | 
			
			 127.7  | 
			
			 134.1  | 
			
			 126.0  | 
			
			 111.8  | 
			
			 134.0  | 
			
			 134.6  | 
			
			 106.5  | 
		
일부 섬 지역은 지역 특성으로 인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25.2.3. 기준)>
| 
			 구 분  | 
			
			 비상급수 현황  | 
		
| 
			 섬 지역  | 
			
			 4개 시·군·구* 25개소(2,751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진도군, 경남 통영시  | 
		
아울러, 정부는 2월 10일(월)부터 국가승인통계인 가뭄정보통계*(2023년 기준)를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하고, 보다 상세한 내용을 담은 통계집도 각 관계기관 누리집에서 제공한다.
* 관계기관 : 행안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 농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산업부(한국수력원자력),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기상청, 농진청(국립농업과학원)
이번 가뭄정보통계는 2023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가뭄 특성, 피해 현황, 대응, 복구와 관련된 주요 통계를 수록했으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가뭄 정책·사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D+1년) 자료 수집·분석 및 부처 의견수렴 → (D+2년) 2월 발간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부처와 함께 가뭄 상황을 매주 점검하면서 가뭄 예‧경보를 매월 발표하고, 가뭄 예방대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