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계안전 해양정보 제공시스템 모식도>
‘항만해양안전지수’는 항만 관련업 종사자들이 주변 해황 및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하역․계류․정박․통항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2015년부터 첫 서비스를 실시하여 차츰 제공 범위를 확대해 왔다. 현재 전국 10개* 항만에 대해 향후 3일간의 예측자료를 제공하며, 위험도에 따라 항만에서 활동 시 기울여야 할 주의의 정도를 관심-주의-경계-위험 4단계**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 울산항, 부산신항, 부산항, 여수ㆍ광양항, 인천항, 대산항, 평택ㆍ당진항, 군산항, 포항항, 목포항
** 관심 단계(녹색) - 주의 단계 (황색) - 경계 단계 (주황색) - 위험 단계 (적색)
국립해양조사원은 해양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안전지수를 산출하는 본 시스템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올해 2월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기술의 독창성과 유용성을 인정받아 9월 중순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등록이 완료되었다는 답변을 받았다.
항만해양안전지수는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의 항계안전 해양정보 시스템(www.khoa.go.kr/pois)에서 해양예보 메뉴 중 ‘항만해양안전지수’를 선택하고 조회하기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해양안전지수를 통해 제공된 예보 내용과 사후에 관측한 자료를 비교․분석하고, 항만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병행하며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항계안전 해양정보 제공 시스템 화면>
허룡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과장은 “이번 항만해양안전지수 특허 취득을 계기로, 앞으로도 국민들에게 바다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은 이 외에도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선박운항, 해양레저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해양예보지수 및 해양예보방송 등의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