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0.5℃
  • 맑음서울 6.9℃
  • 맑음대전 8.9℃
  • 구름많음대구 8.1℃
  • 맑음울산 8.2℃
  • 구름많음광주 9.0℃
  • 맑음부산 8.9℃
  • 구름많음고창 8.1℃
  • 구름조금제주 10.7℃
  • 맑음강화 8.8℃
  • 구름많음보은 6.3℃
  • 맑음금산 7.9℃
  • 구름조금강진군 10.1℃
  • 맑음경주시 8.8℃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만희 의원, 노후어선 급증으로 선원 안전에 심각한 위협

선령 16년 이상 노후어선 3만1,796척으로 전체 어선의 48%
노후어선 현대화 사업 실적은 21척에 불과

  노후 어선 증가로 선원들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만희 국회의원(경북 영천시·청도군)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어선 총 6만5,835척 중 건조된지 16년 이상된 노후어선은 48%인 3만1,796척이며, 21년 이상된 초고령 어선도 1만7,771척으로 27%에 달하고 있다.

 

  특히 선령 21년 이상의 연안어선은 2010년 전체의 6.6%인 3,169척에 불과했으나 2019년 25.9%인 9,798척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내수면어선 역시 2010년 7.5% 224척에서 2019년 30.2% 928척으로 초고령 어선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0년간 어업별·선령별 어선 현황 > 

(단위 : 척, 해양수산부 자료)

구분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합계

65,835

65,906

66,736

66,970

67,226

68,417

71,287

75,031

75,629

76,974

연안

소계

37,785

38,399

39,067

41,166

42,692

43,116

44,713

45,609

46,643

47,882

~10년

12,033

12,261

12,820

12,891

13,296

14,589

15,851

16,653

19,487

22,083

11년~20년

15,954

17,467

18,808

21,059

22,798

23,134

23,746

23,769

23,351

22,630

21년 이상

9,798

8,671

7,979

7,216

6,598

5,393

5,116

5,187

3,805

3,169

근해

소계

2,677

2,720

2,730

2,640

2,643

2,714

2,780

2,842

2,845

2,875

~10년

843

838

720

814

834

879

960

1,105

1,162

1,204

11년~20년

836

880

1,058

935

1,044

1,106

1,138

1,112

1,080

1,062

21년 이상

998

1,002

952

891

765

729

682

625

603

609

원양

소계

211

208

213

258

348

368

315

349

377

379

~10년

18

18

17

17

17

16

12

10

12

13

11년~20년

9

8

11

11

12

15

17

19

18

48

21년 이상

184

182

185

230

319

337

286

320

347

318

양식

소계

19,347

18,913

18,095

17,716

16,976

16,992

16,722

17,893

17,737

17,594

~10년

7,966

8,139

8,064

8,143

7,938

7,925

8,035

7,706

7,657

7,565

11년~20년

6,829

6,886

6,679

6,430

5,936

6,076

5,726

6,149

6,337

6,294

21년 이상

4,552

3,888

3,352

3,143

3,102

2,991

3,011

4,038

3,743

3,735

내수면

소계

3,067

3,009

3,012

3,091

3,101

3,150

2,908

2,937

2,860

2,973

~10년

1,023

962

943

993

1,064

1,082

1,087

1,121

1,165

1,390

11년~20년

1,116

1,221

1,348

1,414

1,499

1,661

1,520

1,535

1,484

1,359

21년 이상

928

826

721

684

538

407

301

281

211

224

그밖의어선

소계

2,748

2,657

3,079

2,099

1,466

2,077

3,799

5,401

5,167

5,271

~10년

550

631

691

342

494

332

631

1,289

467

586

11년~20년

887

1,084

1,330

819

596

868

1,371

1,859

1,968

2,149

21년 이상

1,311

942

1,058

938

376

877

1,797

2,253

2,732

2,536

 

 이러한 어선 노후화 문제는 선박사고 통계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최근 5년간(2015~2019) 해양사고 총 1만2,632건 중 어선사고 비율은 69%인 8,682건으로 여객선, 화물선 등 비어선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 어선사고 원인을 살펴보면, 어선 노후화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기관손상, 화재폭발, 침몰, 기타 등의 경우가 4,989건으로 57%에 달하고 있다.

 

< 2015~2019년 해양사고 발생 현황 > 

    (단위 : 건, 척, 해양수산부 자료)

구분

해양사고 건수

해양사고 발생 척수

어선

비어선

어선

비어선

2019

2,971

1,951

1,020

3,274

2,134

1,140

2018

2,671

1,846

825

2,968

2,013

955

2017

2,582

1,778

804

2,882

1,939

943

2016

2,307

1,646

661

2,549

1,794

755

2015

2,101

1,461

640

2,362

1,621

741

                                     
 

< 2015~2019년 어선사고 원인(유형)별 현황 현황 > 

                                                      (단위 : 건, 해양수산부 자료)

연도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폭발

침몰

기관

손상

안전

사고

부유물 

감김

운항

저해

기타

2019

1,951

176

12

110

68

88

35

540

180

276

68

398

2018

1,846

174

7

106

28

90

23

588

136

222

68

404

2017

1,778

176

13

116

47

72

13

557

121

249

49

365

2016

1,646

145

7

112

36

91

13

523

113

225

54

327

2015

1,461

159

12

65

25

65

23

477

119

188

31

297

  ※ 기타 : 추진축계손상, 조타장치손상, 시설물손상, 침수 등

 

  반면 정부가 추진하는 노후어선 현대화 사업은(노후어선 건조 융자금 지원) 높은 금리 등으로 지지부진해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21척의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이만희 의원은 “어선 노후화로 인해 선박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 국내 수산업발전의 치명적인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노후어선을 신속히 대체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농촌융복합사업자들의 한 단계 더 높은 성장을 전문 액셀러레이터가 돕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창업 7년 미만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대상으로 4월 9일부터 4월 28일까지 농촌융복합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농촌융복합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액셀러레이터*가 중심이 되어 성장 가능성이 있는 7년 미만의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모집하고, 기업진단 및 1:1 맞춤형 컨설팅, 판로개척,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IR 코칭 등을 지원하여 스타트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액셀러레이터(AC, Accelerator) : 유망 스타트업(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전문 교육, 엔젤 투자 등 종합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창업기획자 민간 중심의 농촌융복합사업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해 ‘24년부터 농촌융복합 분야를 별도로 신설하여 운영한 결과, 참여기업 20개소의 평균 매출액이 전년 대비 42%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농업회사법인 그래도팜㈜은 충남대학교 농업대학과 연계하여 실습생 등을 받는 등 인력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투자유치 컨설팅을 통해 7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하였으며, ㈜부자진 농업회사법인은 관세 교육 및 해외 시장조사, 박람회 참가 지원을 통해 싱가포

축산

더보기
외국인 근로자도 가상농장에서 축산농장 방역 수칙을 쉽게 배울 수 있어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함께 축산농장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진입 축산농장주 등을 대상으로 2025년 4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은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진입 축산농장주가 축산농장 내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방역 수칙을 잘 알지 못해 가축전염병이 발생한 사례가 있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만든 방역 교육프로그램이다. 기존 가축방역 교육은 집합 대면 교육이나 교육 홍보물 위주의 교육이어서 우리말이 서투른 외국인 근로자나 바쁜 농장 업무로 집합교육에 참석하기 어려운 축산농장주에게는 교육효과가 일부 낮은 측면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역 교육 수요자가 가상농장 안에서 게임을 통해 축산차량 소독, 장화 갈아신기 및 의심 증상 발견 시 신고 요령 등 기본방역 수칙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보완적으로 만들었다.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내려받기 없이 인터넷 주소창에 https://zep.us/play/jlmEVa 만을 입력하면 접속할 수 있으며, ①공항만 입국 시 검역 준수

식품

더보기
“기름이 채소보다 낫다고? 알고 보면 돼지기름” 비타민부터 풍미까지, 돼지기름이 다시 주목받는 이유
올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한계 없는 능력, 국산 돼지고기 한돈’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총 5회에 걸친 특집 기획기사를 준비했다. “한계 없는 능력으로 증명된 한돈의 진짜 실력”을 메인 테마로, 지난 1편 ‘한돈의 초고속 유통시스템’에 이어 이번 2편은 ‘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편이다. (*특집 기획기사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한돈의 초고속 유통 시스템 ②세계에서 가장 건강한 음식 8위 돼지기름 ③단백질 함량 1위 ④면역력 높이는 영양소 함유, ⑤행복호르몬 만드는 트립토판) ■ ‘비타민B1, D, 콜린까지… 돼지기름이 건강한 이유’ 오늘 4월 14일은 흔히 ’블랙데이‘로 칭하며 연인 없는 이들이 짜장면 한 그릇에 마음을 달래는 날로 통한다. 이는 어느새 하나의 유쾌한 ‘식(食)문화’로 자리 잡았다. SNS엔 짜장면 인증샷이 쏟아지고, 중국집은 매출을 기대하게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모른다. 그 짜장면 한 그릇에 깊은 풍미를 더해주는 진짜 주인공이 ‘돼지기름(라드유)’이라는 사실을. 기름이 다 같은 기름이 아니라는 걸 말이다. 국산 돼지고기 한돈에는 맛뿐만 아니라 영양까지 갖춘 건강한 지방 ‘돼지기름’이 있다. 전통적으로 돼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