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2016년산 쌀 소득보전 변동직불금 지급

- 684천명, 706천ha, 1조 4,900억원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16년산 쌀에 대한 변동직불금 1조 4,900억원을 직불금 지급대상 농업인에게 3월 9일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대상 농가수는 684천명이며 법정요건을 갖춘 대상농지 706천 ha에 대해 농협의 각 시·군 지정사무소를 통해 농업인 계좌로 입금된다.

 * 쌀 직불금(고정직불금 + 변동직불금)

 고정직불금 : 생산량이나 가격과 관계없이 법정 요건을 갖춘 농지를 경작하는 농업인에게 지급되는 보조금
  변동직불금 : 쌀의 수확기(10월∼이듬해 1월) 평균가격이 목표가격(188,000원/80kg)에 미달 시 차액의 85% 중 기지급 고정직불금을 뺀 나머지 금액

 시·도별 지급변적 비율은 전남(21%), 충남(18%), 전북(17%),  경북(13%), 경기(8.9%), 경남(8.6%)순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제주도는 11ha로 나타났다.

 수령자 수는 경북(117천명), 전남(114천명), 충남(111천명), 경남(88천명), 전북(78천명), 경기(70천명) 순이었으며, 서울과 제주에서도 각각 143명, 7명이 직불금을 수령한다.

 지급단가는 목표가격(188,000원/80kg), 총 지급대상 면적(706천ha) 그리고 지원가능한 예산범위(1조 4900억원)를 적용하여 80kg 한가마 당 33,499원(농식품부고시 2017-06호, 2.22일)으로 결정하였다.

  `16년산 쌀의 수확기 전국 평균 가격이 전년대비 하락하여 129,711/80kg이지만, 이번 쌀 변동직불금(33,499원/80kg) 지급으로 쌀 1가마(80kg)당 수입은 고정직불금(15,873원/80kg, `16.11월 지급)을 포함하면 179,083원 수준이다.

 그 결과 쌀 목표가격(188,000원/80kg) 대비 소득안정 효과는 95.3%로서, 2016년산 쌀의 수확기 평균가격이 전년 대비 14% 하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변동직불금 지원을 통해 농가의 쌀80kg당 수입은 전년대비 1.8% 감소에 그쳤다.

    * 수확기 평균 쌀값 : (`15) 150,659원/80kg → (`16) 129,711 (△14%)
   ** 쌀 생산농가 수입 : (`15) 182,399원/80kg → (`16) 179,083 (△1.8%)

 특히, 지난 해 11월 지급된 쌀 고정직불금(ha당 평균 100만원)까지 감안하면 농가가 받는 `16년산 쌀 직불금은 ha당 평균 311만원에 달해 쌀 직불금이 농가소득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은 2017년도 쌀 직불금 신청 기간 중이니, 오는 4월 28일까지 농지소재지 읍·면·동* 또는 주민등록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사무소에 대상 농업인 및 농업법인이 신청서와 첨부서류를 갖추어 직접 신청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대상 농지가 2개 이상의 읍·면·동에 있는 경우에는 가장 넓은 농지 소재지 읍·면·동

 아울러 `17년도 쌀 소득보전 직불사업은 농지의 형상 및 기능 유지 등 직불금 수령자 준수의무 이행 강화, 부당수령 방지 및 신청누락 예방 등에 중점을 두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