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속단이라 속단하지 마세요”

- 한속단과 천속단은 다른 식물... 제대로 알고 파종해야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약초 종자 파종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농가에서 혼동하기 쉬운 ‘한속단’과 ‘천속단’을 제대로 구분한 뒤 심을 것을 당부했다. 


한속단은 최근 개별인정형(갱년기장애 개선)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등록된 백수오 혼합추출물(백수오, 한속단, 당귀)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슷한 이름을 가진 천속단과 혼동해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한속단과 천속단은 형태적으로 확실하게 구별이 가능하다.

한속단 종자는 깨처럼 둥글고 작으며, 천속단은 한속단 종자보다 조금 더 길고 네 개의 면이 있다.

한속단 잎은 깻잎 모양과 흡사하며, 천속단 잎은 깃털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톱니 같은 모양이다. 

한속단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을 띠며 원줄기에 차례로 마주난 형태로, 꽃이 지고나면 벌집모양처럼 마르는 특징이 있다. 천속단 꽃은 토끼풀의 꽃과 비슷하고 백색 또는 황색을 띠며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자란다.


한속단은 뿌리줄기(근경)에 붙은 뿌리는 짧고 갈라져 나왔으며 쉽게 부스러진다. 반면 천속단은 뿌리줄기에 붙은 뿌리가 갈라져 나오지 않았다. 

또한 한속단은 특이한 향기가 조금 있고 맛이 쓰다. 천속단은 약간 향기로운 냄새가 나고 맛은 쓰며 약간 달다가 떫어진다. 

예로부터 끊어진 것을 이어준다는 의미로 이름 지어진 한약재 속단(續斷)은 중국에서 유래한 천속단(Dipsacus asperoides)이다.

동의보감에 천속단은 경맥(후두 옆에서 뛰는 맥)을 흐르게 하고 근골을 이어주며, 기 흐름을 도와 혈맥을 고르게 하고 부인과 산후의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고 기록됐다.

 - 하지만, 식품공전에는 수록되지 않아 식품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천속단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다.

반면 한약재 한속단(韓續斷)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꿀풀과의 식물 속단(Phlomis umbrosa)을 기원식물로 하고 있으며, 뿌리와 잎을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중약대사전에 한속단은 열을 내리고 부기를 가라앉힌다고 기록됐다.

약초 종자 관련 문의는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043-871-5673)로 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김연복 농업연구사는 “식물 이름이 비슷한 한속단과 천속단은 효능도 다르고 식물의 형태도 다르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비슷한 이름 때문에 혼동하고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한다.”라고 전했다. 
_______________
                       
1) 근골 : 근육과 뼈대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