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9℃
  • 구름많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2℃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조금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2.3℃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7.6℃
  • 구름많음제주 19.0℃
  • 맑음강화 15.5℃
  • 구름조금보은 22.0℃
  • 구름조금금산 21.1℃
  • 구름조금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6.5℃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한우자조금, '한우 퇴비 사용 시 경작지에서 암모니아 배출원 규명 및 저감법 연구' 결과 발표

- 요소비료 단일 사용 시, 한우 퇴비 단일 사용 대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약 18배 높게 나타나
- 요소비료와 퇴비를 함께 시비하고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처리 시, 경제적 환경적 이점 가질 수 있어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 이하 한우자조금)가 ‘한우 퇴비 사용 시 경작지에서 암모니아 배출원 규명 및 저감법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을 밝히고, 경작지 내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연구 결과, 요소비료를 경작지에 시료 할 경우, 처음 2일간은 암모니아 농도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나, 3일부터 암모니아 농도가 급상승하여 7일 이후부터 암모니아 배출 허용치 기준인 20ppm보다 약 6배가량 많이 발생한 반면, 한우 퇴비는 처음 3일 정도까지는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에 비해 1.8배 높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였으나, 5일 이후부터 요소비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였는데, 17일 이후부터는 일반적인 토양과 비슷한 수준의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비료와 한우 퇴비 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경작지에 요소비료만 시비할 경우, 한우 퇴비만 시료하는 것보다 약 18배 많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한우 퇴비와 요소비료를 혼합하는 경우, 요소비료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암모니아 농도가 낮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우 퇴비로 인한 냄새 발생 피해가 심각하다는 세간의 인식을 뒤엎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한우 퇴비와 요소비료를 시비할 때, 추가적으로 암모니아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요소분해효소(NBPT) 및 바이오차(바이오매스+차콜) 시비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우 퇴비+요소비료+바이오차’의 경우, 시비 후 처음 3일간은 약 50%의 암모니아 배출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나, 5일 이후부터는 ‘한우 퇴비+요소비료’를 시비한 경작지에 비해 2~7배 수준까지 암모니아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우 퇴비+요소비료+요소분해효소’를 경작지에 시비한 경우, 처음 3일간 약 56%의 암모니아 배출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한우퇴비+요소비료’를 시비한 경작지에 비해 약 22% 정도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즉, 요소비료와 한우 퇴비를 함께 시비할 경우, 요소분해효소를 같이 처리하면 토양 내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하고, 장기간에 걸쳐 질소원을 토양에 저장 및 공급함으로써 추가적인 요소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및 환경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가질 수 있음을 밝혔다.

 

’한우 퇴비 사용 시 경작지에서 암모니아 배출원 규명 및 저감법 연구‘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조합중앙회, 대형산불 피해지역에 구호품 전달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최창호)는 지난 3월에 발생한 경북·경남·울산 대형산불 피해지역(8개 시·군)의 임가 및 주민에게 800박스의 구호품을 전달했다. * 8개 시·군 :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하동, 산청, 울주 이번 구호품은 산림청으로부터 보조받은‘임산물 유통자금 지원사업’의 사업비 중 1억 5천만 원을 긴급 지원자금으로 확보하고, 농번기 현지 사정을 고려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임산물로 만든 즉석 제품(밥류, 반찬류)으로 구성했다. 아울러 피해지역 임가를 지원하기 위해 임산물 전문 쇼핑몰「푸른장터」와 산림조합 임산물 직매장을 통해 피해지역에서 생산되는 임산물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저렴하게 판매하는 할인 행사를 4월 28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 임산물 직매장 판매는 원물 확보 후 판매 예정 (판매 시 푸른장터 홍보 및 일반고객 DM 알림 예정) 금번 할인행사는 국가 임산물 브랜드「숲푸드」를 알리며 임산물 소비의 일상화 및 소비 촉진을 유도하고 피해지역 임가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함으로 품목별 최대 30% 할인된 금액으로 소비자들에게 판매 예정이다.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임산물의 소비 촉진과 임가소득을 지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