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한국농수산대학, 대한민국 농수산업 예비 CEO 373명 배출

- 18회 학위수여식, 전문학사 305명 ․ 학사 68명 배출 -

 국립한국농수산대학(총장 김남수, 이하 한농대)은 4월 14일(금) 교내 대강당에서 제18회 학위수여식을 진행했다.

 한농대는 당초 2월에 학위수여식을 진행하고자 했으나 AI와 구제역의 확산을 우려해 학위수여식을 잠정 연기한 바 있다.

 이날 행사에는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농수산업 관련 기관장 및 단체장을 비롯한 내‧외 귀빈, 졸업생 가족 등 700여 명이 참석하여 대한민국 농수산업을 이끌어갈 젊은 예비 CEO의 새로운 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이날 학위수여식은 식량작물학과 이은범(27세, 전문학사), 국보근(27세, 학사) 졸업생이 373명(전문학사 305명, 학사 68명)의 졸업생을 대표해 학위증서를 받는 것으로 시작해,
 주요 부분에 대한 시상과 김남수 총장의 식사, 김재수 장관의 치사, 20대 총학생회 회장을 역임한 김준영(36세, 중소가축) 동문의 답사 순으로 진행했다.

 특히 이번 학위수여식에서 이정세(31세, 특용작물), 김인수(32세, 채소), 남일(21세, 산림조경), 공태희(25세, 대가축) 졸업생이 전문학사부문 농식품부 장관상을 받았고, 김진성(21세, 수산양식), 심인섭(29세, 수산양식) 졸업생이 전문학사부문 해수부 장관상을 받았다.

 아울러 지난 2000년 특용작물학과 1기로 졸업하고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고은농장을 경영하는 배광수(43세) 졸업생이 학사 부문 농식품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지난 2014년 당시 54세라는 나이에 한농대에 입학해 늦깎이 대학생으로 화제를 모았던 김혜순(57세, 화훼) 졸업생도 이번 학위수여식을 통해 인생의 두 번째 학사모를 썼고,
 대학에서 만나 부부의 연을 맺은 신윤수(30세, 특용작물), 김유진(31세, 특용작물) 부부와 설하명(22세, 대가축), 전희진(21세, 버섯) 부부도 이날 나란히 학사모를 썼다.

 이밖에 강원도 철원군에서 상현농장을 운영하는 이상현(24세, 중소가축) 졸업생도 지난 2015년 졸업한 형 이상수(26세, 중소가축) 졸업생에 이어 이번에 학사모를 쓰면서 형제이자 한농대 동문이 됐다.


 지난 2000년 209명의 졸업생을 처음으로 배출한 한농대는 현재까지 4,36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이들 중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학사학위를 받은 졸업생은 420명으로 전체 졸업생 대비 10% 상당이다.

 2016년 기준 85%(3,251명)가 농수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졸업생 가구 평균소득은 2015년 기준 9,000만 원을 기록했다.
 * 학과별 졸업생 가구 평균소득(2015 기준): 식량작물학과 7,372만원, 특용작물학과 5,039, 채소학과 5,252만원, 과수학과 5,882만원, 화훼학과 6,244만원, 대가축학과 12,285만원, 중소가축학과 19,904만원, 축산학과(’00~’08) 19,491만원, 수산양식학과 14,428만원

 김남수 총장은 “대한민국 농수산업 예비 CEO로 새롭게 출발하는 305명과 전문성을 한층 더 무장한 68명의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이번에 새롭게 탄생한 예비 CEO들이 대한민국 농수산업기반을 이끌어가는 중심축으로 성장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