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 하향 안정세 유지

- FAO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 발표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년 4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1.2포인트) 대비 1.8% 하락한 168.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육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 지수가 하락하였으며, 특히 설탕, 유지류, 유제품 가격의 하락폭이 컸다.

  ‘16.11월 이후 소폭 하락하다가 올해 들어 상승세로 돌아선 식량가격지수는 3월에 이어 4월에도 하락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6.12월)170.3→(‘17.1월)174.6→(2월)175.5→(3월)171.2→(4월)168.0

<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

 (곡물) ’17년 3월(147.8포인트)보다 1.2% 하락한 146.0포인트 기록
  수출 경쟁이 심화되고, 2017/18년도 곡물 가용량이 풍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밀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제 곡물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쌀 가격은 서아시아 지역의 활발한 구매에 힘입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유지류) ’17년 3월(167.6포인트)보다 3.9% 하락한 161.1포인트 기록

  식물성 유지류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세로 9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주로 팜유와 대두유의 가격 하락이 반영된 결과이다. 

  팜유 가격은 ‘16년 7월 이래 최저치로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회복 전망과 세계 수입 수요의 둔화에 기인하였으며, 
  - 대두유 가격 하락은 남미의 대두 풍작과 미국의 2017/18년도 대두 재배 면적이 역대 최대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영향을 받았다. 

 (유제품) ’17년 3월(189.8포인트)보다 3.3% 하락한 183.6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북반구의 우유 생산량이 계절적 최고점에 달하고 탈지 분유와 치즈 생산량도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를 증폭시켰다.
  반면, 버터 가격은 유럽과 북미의 견고한 내수 수요로 인해 수출 물량 감소로 이어지면서 높은 가격을 유지하였다.

 (육류) ’17년 3월(163.8포인트)보다 1.7% 상승한 166.6포인트 기록
  육류 가격은 연초부터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양고기와 돼지고기 가격은 상승, 소고기와 가금육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돼지고기 가격은 EU 내 높은 수요와 중국‧한국으로의 수출 증가로 인해 상승하였고, 양고기 가격은 계절적 수요가 상승을 유도하였으며 가금육과 소고기 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설탕) ’17년 3월(256.5포인트)보다 9.1% 하락한 233.3포인트 기록
  설탕가격은 12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는바, 세계적인 수입수요 약세와 브라질의 수출 증가 전망이 주된 이유이다.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8.7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4%(10.2백만톤)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4백만톤(0.9%↑), 잡곡 1,355(0.4%↑), 밀 740(2.6%↓)
 2017/18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95.2백만톤으로 2016/17도 대비 1.0%(26.4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6백만톤(1.2%↑), 잡곡 1,358(1.6%↑), 밀 731 (0.1%↓)
 2017/18년도 기말 재고량은 689.1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1%(0.7백만톤)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1백만톤(0.3%↓), 잡곡 271(2.9%↓) / 밀 248(3.3%↑)

농업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 … 미래 세대와 친환경 가치 나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12일, 당진시‘대주 농장’에서 학교 급식 관계자, 학부모 지킴이, 정책 관계자들과 함께하는‘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도입 배경 설명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 생산 과정 견학 △저탄소 축산물 학교 급식 확대를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해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지난해 저탄소 인증을 받은 대주농장에서 탄소 감축 기술과 분뇨 악취 저감 시설 등을 살펴보고,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를 현장에서 시식하는 등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급식에 사용하는 지자체는 △아산시 △천안시 △논산시이며 하반기까지 △부여군 △홍성군 △세종시 △경기도까지 확대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와 ‘저탄소 급식데이’를 시범 운영하고 미래 세대에게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필요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나누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급식에서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접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세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