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16년 유실·유기동물 9만마리 구조·보호 , 지난 해 대비 9.3% 증가

- `16년 동물의 등록·유기동물관리 등 동물보호 ․ 복지 실태조사 결과 자료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동물의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6년말을 기준으로 동물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동물복지농장 인증 및 동물관련 영업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동물보호·복지 실태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마다 정기적으로 공표하여야 한다.

<동물등록제>
 동물의 보호, 유실․유기 방지 등을 위하여 주택에서 기르는 개 등에 대해 ‘14년부터 동물등록을 의무화하였으며, ’16년말 기준 총 1,070.7천마리가 등록되었다.

동물등록수 누계

  '16년 신규등록 된 개는 91,509마리로 전년(91,232마리)과 유사한 수준이며, 등록형태는 내장형(65.2%), 외장형(27.6%), 인식표(7.2%) 순으로 내장형 무선식별장치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신규 등록 비율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현황>
 ‘16년 동안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89,732마리로 지자체의 적극적인 구조 등으로 전년대비 9.3% 증가하였다.
     * 유실․유기동물 구조 현황 : [`14] 81.2천마리 → [`15] 82.1 → [`16] 89.7
  동물 종류별로는 개 63.6천마리(70.9%), 고양이 24.9천마리(27.8%), 기타 1.2천마리(1.4%) 순이다.
 동물보호센터에 입소된 유실·유기동물의 보호형태는 분양(30.4%), 자연사(25.0%), 안락사(19.9%), 소유주 인도(15.2%) 순이며 ‘14년 이후 안락사는 줄어들고 소유주 인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연도별 동물보호센터 유실·유기동물 보호형태
 
 ‘16년 동물보호센터는 281개소(직영 26개소, 위탁 250개소, 시설위탁 5개소)로 전년대비 26개소(8.5%) 감소하였다.
  동물보호센터가 광역화․대형화 되고 시・군에서 직접 관리하는 직영 또는 시설 위탁형 동물보호센터가 증가함에 따라 `14년 이후 동물보호센터의 수는 감소 중이다. 
     * 위탁 동물보호센터 현황 : ['14] 343개소 → ['15] 279 → ['16] 250(감 29)
     * 직영(시설위탁포함) 동물보호센터 현황 : ['14] 25개소 → ['15] 28 → ['16] 31
  지자체의 `16년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및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114.8억원으로 전년대비 17.3억원(17.8%) 증가하였다.

<길고양이 중성화(TNR) 지원 사업>
 ‘16년 길고양이 33,313마리를 대상으로 중성화 사업을 추진하여 4,294백만원이 소요되었고, 전년대비 대상 길고양이 수는 7,007마리(26.6%), 비용은 1,155백만원(36.8%) 증가하였다.

<동물실험윤리위윈회 운영 및 동물사용 현황>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기관은 364개소이며 '16년 2,919회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총 2,879천마리의 실험동물이 사용되어 전년대비 약 372천마리(14.8%)가 증가하였다.
     * 연도별 사용 마리수 : ['14] 2,412천마리 → ['15] 2,507 → ['16] 2,879
 사용 마리수가 가장 많은 동물종은 설치류(2,633천마리)이며 어류 (117천마리), 조류(55천마리), 토끼(37천마리), 기타포유류(29천마리) 등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동물종별 실험동물 사용비율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동물복지 인증농장은 7개 축종에 대한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16년 36농가를 신규인증, 총 114개 농가를 인증하였다. 
  축종별로 산란계 89농가(1,033.5천마리), 양돈 12농가(31.8천마리), 육계 11농가(974.4천마리), 젖소 2농가(152마리)가 참여하고 있다.
     * `16년 축종별 신규 인증농장 : (산란계) 21농장, (육계) 9, (양돈) 6

<반려동물 관련 영업의 등록·운영 현황>
 총 4,180개의 동물생산․판매․장묘업체가 신고․등록되어 있으며, 종사자수는 5,521명으로 조사되었다.
  등록된 동물판매업체는 전년대비 14.9% 증가한 3,778개소로 704개소가 신규 등록되고 214개소가 폐업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사자수는 4,857명이다.
 동물장묘업체는 전년대비 4개소 증가한 20개소이며 종사자수는 91명으로 조사되었다.
 신고된 동물생산업체는 382개소로 종사자는 573명으로 파악됐다.
 검역본부는 “반려동물 문화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동물보호 특별사법경찰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여 동물학대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인공지능(AI)이 그리는 스마트축산의 미래! 제3회 스마트축산 AI 경진대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17일(수) 청주 오스크에서 「제3회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이하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25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축산 우수모델을 시상하였다. 이번 경진대회는 축사 내부 온·습도와 가축 생육 등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사양이나 환경관리 등에 관한 ICT 장비를 연계 운영해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 악취·탄소 저감 등 현장문제 해결에 기여한 AI 솔루션을 평가하고 시상하는 자리였다. 특히, 축산생산자단체장, 학계, 스마트축산 청년 서포터즈, 대학생 등 스마트축산에 관한 신·구 세대가 함께해 의미가 더욱 뜻깊었다. 오늘 행사는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상용화 부문과 알고리즘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관심을 모았던 상용화 부문에는 3개 팀이 한치의 양보 없는 진검 승부를 펼쳤다. * (상용화 부문)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현장에 적용 중인 기업 ** (알고리즘 부문) 아직 현장에 적용하지 않았으나 축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단체, 대학 등 상용화 부문 농식품부 장관상은 소의 생육에 관한 10만개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학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케이-푸드 세계화를 위한 식품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전략 논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9월 16일(화)에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에서 ‘해썹 코리아(HACCP KOREA) 2025’를 열고, “케이-푸드(K-Food)의 글로벌화를 위한 식품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식품 산업계, 학계, 소비자 등 약 35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난 30년간 해썹 제도와 함께 발전해 온 국내 식품안전관리의 국제적 도약을 위해 ‘글로벌 해썹’ 제도 시행, 식품 안전 관리 고도화 방안, 수출 활성화 전략 등을 공유했다. ※ 글로벌 해썹: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해썹업소가 고의적·의도적인 식품안전 사고 발생 예방을 위하여 현재 해썹 기준에 식품 방어, 식품사기 예방, 식품안전문화 및 식품안전경영 등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1부 기조 발표에서는 ‘케이-푸드(K-Food)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식품안전 정책 방향’, ‘글로벌 식품산업 동향 및 국내 식품제도 개선방향’, ‘글로벌 식품시장 진출을 위한 국내 산업 대응 전략’등이 발표됐다. 이어 열린 2부 정책포럼에서는 업계, 학계, 소비자 대표 전문가들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이 가야할 길’, ‘식품산업

산림

더보기
가을 숲으로 배우는 산림의 가치, 시민과 함께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13일(토), 산림과학 연구 성과를 지역사회와 공유하는 프로그램인 ‘제6회 지식의 숲 아카데미’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식의 숲 아카데미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공개 강연으로,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시민들의 높은 만족도와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기존 ‘홍릉 시민 아카데미’를 확대해 ‘지식의 숲 아카데미’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산림생태연구과 김아름 연구사가 ‘가을 숲, 나무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단풍나무와 은행나무 등 가을 숲을 대표하는 나무를 소개하고, 숲과 나무의 계절별 생리와 생태적 변화를 흥미롭게 풀어내 큰 호응을 얻었다.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은 약 12만 5천 평에 달하는 도심 속 홍릉숲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산림 분야 국가 연구기관이다. 숲 생태계, 산림재난, 목재, 임산물 등 다양한 분야의 산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김광모 과장은 “이번 아카데미가 더 많은 시민에게 숲의 가치와 기능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남은 회차에서도 흥미로운 주제로 많은 시민과 소통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