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한파 피해농가 지원 및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 적극 추진

1. 주요 농작물 한파 피해 동향
  1월 중순부터 3차례(1.10~13일, 1.24~26일, 2.3~7일)에 걸친 이례적인 한파로, 전남 해남(월동배추) 및 제주지역(월동무 등) 등에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 주요 주산지별 최저기온 >

구분

1.1013(4일간)

1.2326(4일간)

2.37(5일간)

1.2.상 평년

해남

-4.4-14.0

-7.9-10.9

-7.3-9.5

-3.7-3.4

제주

-0.1-3.7

1.2-3.6

-0.7-3.8

2.32.9

     * 해남은 월동배추, 제주는 월동무․당근․양배추 주산지
     * 배추는 –8℃ 이하, 무는 0℃ 이하 온도 지속시 동해 피해 발생
  주요 농작물별 한파 피해 동향을 보면,
 
전남 해남지역에서 90% 이상 생산되는 월동배추의 경우, 겉잎․속뿐만 아니라 뿌리까지 얼어 있는 포전이 다수 확인되며, 작황 악화로 단수가 평년 대비 7~10% 수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KREI).
     * 2.7일 농림축산식품부․KREI․농협․전남도․해남군 등 관계자 현장 점검 실시

   - 다만, 언 배추의 생육 회복 가능성 및 정확한 피해 정도에 대해서는 처음 겪는 전례 없는 한파로 현장 및 전문가들도 의견 차가 있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산지동향 및 추가 피해 여부를 상시 모니터링하면서 적기에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제주지역에서 95% 이상 생산되는 월동무도, 노출 부분 외 땅속 부분까지 언 포전이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작황 악화로 단수가 평년 대비 16~26% 수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KREI).
  
다만, 파프리카․오이 등 시설작물은 일조량 부족 등 경미한 피해가 있으나 동해로 인한 출하 불가 등 직접적인 피해는 없고,
   - 당근․양배추․사과․배․마늘․양파 등의 노지작물도 한파에 매우 강한 품목으로 피해가 경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2. 한파 피해농가 지원 대책
  농식품부는 이번 한파로 피해를 입은 농업인의 경영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농업인의 피해 복구를 위해 농약대․대파대 등 재해복구비를 신속히 지원한다.
   - 이번 한파 피해 농가에는 작년 말 인상된 재해복구비 기준이 처음으로 적용되며, 피해 농가의 조속한 영농 재개 및 경영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상내용 : (농약대) 채소류(종전 30만원/ha → 인상 168), 과수류(63 → 175) / (대파대) 엽채류(종전 297만원/ha → 인상 410), 과채류(392 → 619)
     * 일정 : 피해 정밀조사(~2.23), 복구계획 수립(2.26일 주간), 복구비 지원(3.5일 주간)

 또한, 피해 작물의 생육이 최대한 회복될 수 있도록 영양제를 적기 지원(농협)하고, 현장기술지원단(농진청․농업기술센터) 운영을 통해 농가 기술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 배추 재결속․조기출하 등을 위한 현장 작업소요 증가를 고려하여 농협 산지작업반을 활용해 작업인력도 적극 지원한다.
   - 한파로 면세유가 부족한 농가에는 면세유를 추가 배정하여 시설농가 등의 경영비 부담도 경감할 계획이다.

3. 주요 농작물 수급 동향 및 대책

  한파로 인한 동해 및 산지 작업여건 악화로 최근 배추․무 등 일부 농산물의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배추는 1월 중순까지 평년 대비 낮은 가격을 유지해오다, 1월말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2월 상순 포기당 3,029원까지 가격이 상승하였다.
     * 도매가격 : (1.중) 1,773원/포기 → (1.하) 2,245 → (2.1~9) 3,029(전년비 △2.5%, 평년비 41.7%↑)
   - 그러나,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0.3%, 평년 대비 3.7% 증가하였고, 1월 중순까지 낮은 시세 지속으로 출하가 지연*된 점 등을 감안할 때, 부족 물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 2월 상순까지 약 50% 수확작업이 완료되었으며, 평년 60%보다 느린 편
   - 따라서, 향후 기상여건이 호전되고 출하작업이 정상화되면 가격 상승세는 진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의 경우도, 1월 중순까지 평년 수준에서 가격 안정세가 유지되었으나, 1월말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2월 상순 개당 1,862원까지 가격이 상승하였다.
     * 도매가격 : (1.중) 926원/개 → (1.하) 1,058 → (2.1~9) 1,862(전년비 1.6%↑, 평년비 74.2%↑)

   - 그러나, 재배면적이 작년 대비 20.0%, 평년 대비 13.1% 증가하였고, 향후 수급에 중요한 제주지역 저지대 중․만생종 포전(약 2,400ha)은 정상적으로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추가 가격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 제주지역 피해신고 면적은 1,411ha이나, 고지대 조생종 포전 1,000ha 이외 포전은 출하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
     * 조생종은 통상 1월 이전에 출하가 종료되어야 할 물량으로 동해 피해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금년에는 저시세로 출하 지연)

 배추․무를 제외한 품목은 현재까지 전반적으로 평년 수준에서 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파 피해가 경미하여 향후에도 큰 폭의 가격 변동은 없을 전망이다.

<주요 농작물 도매가격>
(단위 : 원)

구분

단위

1.

1.

1.

2.

 

 

전년비(%)

평년비(%)

파프리카

5kg

19,894

29,171

39,097

37,643

33,776(+11.4)

36,990(+1.8)

오이

100

44,647

52,927

49,102

49,015

40,182(+22.0)

66,666(26.5)

당근

kg

929

1,100

950

1,258

2,108(40.3)

1,297(3.0)

양배추

포기

2,379

2,499

2,283

2,523

3,794(33.5)

2,160(+16.8)

사과(후지)

10kg

26,758

25,936

27,042

31,231

24,944(+25.2)

27,033(+15.5)

(신고)

15kg

27,436

26,754

27,954

27,755

35,225(21.2)

36,048(23.0)

깐마늘

kg

6,500

6,530

6,530

6,717

7,350(8.6)

6,103(+10.1)

양파

kg

1,144

1,041

1,036

1,046

1,355(22.8)

1,192(12.2)


  농식품부는 최근 가격이 상승한 배추․무의 수급안정을 위해 정부 수급조절물량(배추 24천톤, 무 50천톤)을 탄력적으로 방출하는 한편,
     * 배추․무 각각 일일 200톤 수준 도매시장 방출 중(2.2~)

 설 명절 성수기 소비자 구입부담 경감을 위해 배추․무 할인행사(시세 대비 배추 40%, 무 30% 할인 판매)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한파 피해 농가가 조속히 영농을 재개하고, 농산물 수급도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면서,“현장 농업인들도 어려운 여건이지만 피해 복구 및 농작물 생육 회복을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년부터 돼지열병 청정화 및 생마커백신 지원 추진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지난 6월 24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2025년 제1차 민․관․학 합동 방역대책위원회 돼지열병 대책반 회의를 개최하고 돼지열병 청정화 계획과 청정화 달성을 위한 마커백신 전면 지원 전환 계획을 논의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한한돈협회 구경본 부회장(돼지열병 대책반장)을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이주원 사무관, 농림축산검역본부 안동준 연구관, 부산가톨릭대학교 장경수 교수, 제주도청 김주아 방역관리팀장, 대한수의사회 문두환 부회장, 대한한돈협회 이희영 이사 등이 참석했으며, 국내 돼지열병 청정화 로드맵 연도별 세부 목표 등 구체적인 계획을 논의 했다. 이날 이주원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사무관은 국내 돼지열병은 100% 백신 접종을 통해 2017년 이후부터 9년간 비발생 상황을 유지하고 있어 청정화를 위한 발판이 마련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돼지열병 청정화를 위해 내년부터 백신접종 항체와 야외바이러스를 감별할 수 있는 마커백신을 지원할 계획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내년 마커백신 지원 예산 약 36억원 확보를 추진하고, 2028년부터 2029년까지 청정화 확인 단계를 거쳐 2030년부터 2031년사이 세계동물보건기구(WOA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 경기 동부권역 ‘찾아가는 해썹 기술상담’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지역 상생 및 활성화를 위해 양평군청 일자리경제과와 협력하여, 지난 6월 25일(수)에 양평군청에서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해썹 기술상담’을 운영했다. 이번 자리는 지난해 12월, 경기 동부권역의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해 양평군청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고, 이에 대한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이날 현장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안정적인 해썹 도입 및 인증업체의 내실화 강화를 위하여 1:1 맞춤형 전문기술상담이 진행됐으며, 향후 사회적 기업 지원 방향과 식품안전 및 위생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한편,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기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23년부터 서부권역(인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과도 협력하며정례적인 기술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인지원은 경기 동부권역과 서부권역의 해썹 인증 내실화 및 활성화, 사회적 기업 지원 등을 위한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지속적인 지원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주연 경인지원장은 “경인지원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관내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산림

더보기
동부산림청,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여름철 산간 계곡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림오염 및 훼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기간(2025. 7. 1.∼ 8. 31.)”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점단속 대상은 산림 내 취사, 오물·쓰레기 투기, 무허가 물놀이 시설 등 불법 시설물 설치, 산림 무단점유 등 여름철 다수 발생하는 산림 내 불법행위로 동부지방산림청 및 소속 7개 국유림관리소 산림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효과적인 단속을 위하여 산림 드론도 투입할 계획이다. 단속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산림 내 취사, 흡연 등에 대해서는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동부지방산림청은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을 실시하여 임산물 불법채취 등 29명을 입건하였으며, 110명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산림 내 불법행위로 인해 산을 찾는 휴양객들이 즐거움을 잊지 않도록 단속을 엄중히 실시하여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며, “올바른 산림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