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한파 피해농가 지원 및 농산물 수급안정 대책 적극 추진

1. 주요 농작물 한파 피해 동향
  1월 중순부터 3차례(1.10~13일, 1.24~26일, 2.3~7일)에 걸친 이례적인 한파로, 전남 해남(월동배추) 및 제주지역(월동무 등) 등에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 주요 주산지별 최저기온 >

구분

1.1013(4일간)

1.2326(4일간)

2.37(5일간)

1.2.상 평년

해남

-4.4-14.0

-7.9-10.9

-7.3-9.5

-3.7-3.4

제주

-0.1-3.7

1.2-3.6

-0.7-3.8

2.32.9

     * 해남은 월동배추, 제주는 월동무․당근․양배추 주산지
     * 배추는 –8℃ 이하, 무는 0℃ 이하 온도 지속시 동해 피해 발생
  주요 농작물별 한파 피해 동향을 보면,
 
전남 해남지역에서 90% 이상 생산되는 월동배추의 경우, 겉잎․속뿐만 아니라 뿌리까지 얼어 있는 포전이 다수 확인되며, 작황 악화로 단수가 평년 대비 7~10% 수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KREI).
     * 2.7일 농림축산식품부․KREI․농협․전남도․해남군 등 관계자 현장 점검 실시

   - 다만, 언 배추의 생육 회복 가능성 및 정확한 피해 정도에 대해서는 처음 겪는 전례 없는 한파로 현장 및 전문가들도 의견 차가 있어,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산지동향 및 추가 피해 여부를 상시 모니터링하면서 적기에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제주지역에서 95% 이상 생산되는 월동무도, 노출 부분 외 땅속 부분까지 언 포전이 다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작황 악화로 단수가 평년 대비 16~26% 수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KREI).
  
다만, 파프리카․오이 등 시설작물은 일조량 부족 등 경미한 피해가 있으나 동해로 인한 출하 불가 등 직접적인 피해는 없고,
   - 당근․양배추․사과․배․마늘․양파 등의 노지작물도 한파에 매우 강한 품목으로 피해가 경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2. 한파 피해농가 지원 대책
  농식품부는 이번 한파로 피해를 입은 농업인의 경영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농업인의 피해 복구를 위해 농약대․대파대 등 재해복구비를 신속히 지원한다.
   - 이번 한파 피해 농가에는 작년 말 인상된 재해복구비 기준이 처음으로 적용되며, 피해 농가의 조속한 영농 재개 및 경영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상내용 : (농약대) 채소류(종전 30만원/ha → 인상 168), 과수류(63 → 175) / (대파대) 엽채류(종전 297만원/ha → 인상 410), 과채류(392 → 619)
     * 일정 : 피해 정밀조사(~2.23), 복구계획 수립(2.26일 주간), 복구비 지원(3.5일 주간)

 또한, 피해 작물의 생육이 최대한 회복될 수 있도록 영양제를 적기 지원(농협)하고, 현장기술지원단(농진청․농업기술센터) 운영을 통해 농가 기술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 배추 재결속․조기출하 등을 위한 현장 작업소요 증가를 고려하여 농협 산지작업반을 활용해 작업인력도 적극 지원한다.
   - 한파로 면세유가 부족한 농가에는 면세유를 추가 배정하여 시설농가 등의 경영비 부담도 경감할 계획이다.

3. 주요 농작물 수급 동향 및 대책

  한파로 인한 동해 및 산지 작업여건 악화로 최근 배추․무 등 일부 농산물의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배추는 1월 중순까지 평년 대비 낮은 가격을 유지해오다, 1월말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2월 상순 포기당 3,029원까지 가격이 상승하였다.
     * 도매가격 : (1.중) 1,773원/포기 → (1.하) 2,245 → (2.1~9) 3,029(전년비 △2.5%, 평년비 41.7%↑)
   - 그러나,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10.3%, 평년 대비 3.7% 증가하였고, 1월 중순까지 낮은 시세 지속으로 출하가 지연*된 점 등을 감안할 때, 부족 물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 2월 상순까지 약 50% 수확작업이 완료되었으며, 평년 60%보다 느린 편
   - 따라서, 향후 기상여건이 호전되고 출하작업이 정상화되면 가격 상승세는 진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의 경우도, 1월 중순까지 평년 수준에서 가격 안정세가 유지되었으나, 1월말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2월 상순 개당 1,862원까지 가격이 상승하였다.
     * 도매가격 : (1.중) 926원/개 → (1.하) 1,058 → (2.1~9) 1,862(전년비 1.6%↑, 평년비 74.2%↑)

   - 그러나, 재배면적이 작년 대비 20.0%, 평년 대비 13.1% 증가하였고, 향후 수급에 중요한 제주지역 저지대 중․만생종 포전(약 2,400ha)은 정상적으로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추가 가격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 제주지역 피해신고 면적은 1,411ha이나, 고지대 조생종 포전 1,000ha 이외 포전은 출하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
     * 조생종은 통상 1월 이전에 출하가 종료되어야 할 물량으로 동해 피해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금년에는 저시세로 출하 지연)

 배추․무를 제외한 품목은 현재까지 전반적으로 평년 수준에서 가격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파 피해가 경미하여 향후에도 큰 폭의 가격 변동은 없을 전망이다.

<주요 농작물 도매가격>
(단위 : 원)

구분

단위

1.

1.

1.

2.

 

 

전년비(%)

평년비(%)

파프리카

5kg

19,894

29,171

39,097

37,643

33,776(+11.4)

36,990(+1.8)

오이

100

44,647

52,927

49,102

49,015

40,182(+22.0)

66,666(26.5)

당근

kg

929

1,100

950

1,258

2,108(40.3)

1,297(3.0)

양배추

포기

2,379

2,499

2,283

2,523

3,794(33.5)

2,160(+16.8)

사과(후지)

10kg

26,758

25,936

27,042

31,231

24,944(+25.2)

27,033(+15.5)

(신고)

15kg

27,436

26,754

27,954

27,755

35,225(21.2)

36,048(23.0)

깐마늘

kg

6,500

6,530

6,530

6,717

7,350(8.6)

6,103(+10.1)

양파

kg

1,144

1,041

1,036

1,046

1,355(22.8)

1,192(12.2)


  농식품부는 최근 가격이 상승한 배추․무의 수급안정을 위해 정부 수급조절물량(배추 24천톤, 무 50천톤)을 탄력적으로 방출하는 한편,
     * 배추․무 각각 일일 200톤 수준 도매시장 방출 중(2.2~)

 설 명절 성수기 소비자 구입부담 경감을 위해 배추․무 할인행사(시세 대비 배추 40%, 무 30% 할인 판매)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한파 피해 농가가 조속히 영농을 재개하고, 농산물 수급도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면서,“현장 농업인들도 어려운 여건이지만 피해 복구 및 농작물 생육 회복을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