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2017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 실태 보고

- 총 384개 기관 설치, 28,506건 계획서 심의, 3,082천마리 사용  -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동물보호법 시행령 제12조 제6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5조에 따라 국내 동물실험시행기관의 2017년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국내에 동물실험윤리제도가 도입·시행(2008.1.27.)된 이후, 동물보호법 제45조에 근거하여 매년 조사·발표되는 것으로 주요 내용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의 운영 및 동물실험 실태조사 내역과 동물실험시행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결과 등이며, 조사결과는 향후 동물보호·복지 종합대책 수립 시에 활용될 예정이다.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기관은 ‘17년 기준 384개소이며, 그 중 353개소*(91.9%)에서 총 2,905회의 회의를 개최해 28,506건의 동물실험계획서를 심의했다. 심의결과는 원안승인 2만 1,976건(77.1%), 수정후 승인 5,211건(18.3%), 미승인 1,319건(4.6%)이었다. 
   * 운영 실적이 없는 31개소(8.1%): 연내 신규설치 및 폐지 등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지 않았거나, ‘16년도 말에 동물실험 승인을 받고 실험을 진행한 기관 
 
 실험동물은 동물실험을 시행한 351개 기관*에서 총 308만 2,259마리(기관 당 8,781마리)로 전년 대비 7.1% 증가했는데, 종별 실험동물 수는 설치류(마우스, 래트 등)가 283만 3,667마리(91.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어류 10만 2,345마리(3.3%), 조류 7만 2,184마리(2.3%), 토끼 3만 6,200마리(1.2%), 기타 포유류 3만 2,852마리(1.1%)순으로 사용되었다. 
   * 353개소 + 2개소(‘17년 운영실적은 없으나 ‘16년에 계획서 기승인되어 동물실험을 수행한 기관) - 4개소(‘17년 계획서 승인 및 운영실적 보유했으나 동물실험 미수행 기관)  

  또한 동물실험은 동물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가장 낮은 A등급부터 가장 심한 E등급까지 5단계로 나뉜다. 고통등급이 가장 높은 E그룹의 동물실험에 102만 7,727마리(33.3%)가 사용되었고, D그룹 102만 3,406마리(33.2%), C그룹 86만 7,154마리(28.1%), B그룹 16만 3,972마리(5.3%)순으로 사용되었다.

  * 고통의 분류등급 기준 

   - 고통등급 A그룹: 죽은 생물체를 이용하는 실험 또는 식물, 세균, 원충 또는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교육 또는 연구, 위원회 승인 불필요
   - 고통등급 B-E그룹(척추동물을 사용하는 교육 또는 연구)
     B그룹: 거의 스트레스를 주지 않음
     C그룹: 단시간의 경미한 통증 또는 스트레스가 가해짐
     D그룹: 중등도 이상의 고통이나 억압을 동반함
     E그룹: 극심한 고통이나 억압 또는 회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를 동반

 최근 5년간 추세(붙임 4참조)를 살펴보면 위원회 설치기관 수 및 운영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총 사용동물 수 및 기관 당 평균 사용동물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동물실험이 점차 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원회 운영 현황 분석 결과, 기관 당 회의 개최횟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개최횟수 당 심의건수는 증가하고 있어 1회 개최 시 다수의 계획서를 심의하는 기관이 늘어나고 있으나, 동물실험계획서 승인건수 내역의 분석 결과 동물실험계획의 승인절차 강화로 인해 원안승인 비율이 감소하고 미승인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위원회 설치기관 수 및 운영률: ‘13년 342개소(88.3%)-> ‘17년 384개소(91.9%) 
 ** 총 사용 동물수 및 기관당 평균 사용동물 수 : ‘13년 1,966,848마리(6,513마리)-> ‘17년 3,082,259(8,781마리)
 *** 미승인 비율: ‘13년 1.8% -> ‘17년 4.6%

 검역본부 관계자(동물보호과장 문운경)는 “바이오 의약 분야의 성장과 함께 동물실험이 증가하고 있어 동물실험시행기관 및 동물실험 수행자들은 동물실험 결과의 대외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험동물의 윤리적 취급 및 과학적 사용과 함께 실험동물의 보호와 복지 향상에 더욱 노력해주길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