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봉독으로 반려동물 피부질환 잡는다

- 농촌진흥청, 봉독 원료로 한 반려동물 세정제 개발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봉독을 원료로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위한 세정제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에 걸쳐 대학 및 산업체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집안에서 주로 생활하는 반려동물은 영양 불균형·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잦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데 피부병 증상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며 그 중 만성 세균성 피부염은 탈모나 딱지, 피부염증 증상으로 나타난다.

세정제 개발에 사용된 봉독은 반려동물의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피부사상균인 적색백선균(Trichophyton rubrun), 백색종창균(Trichophyton mentagrophytes), 선모상 표피균(Epidermophyton floccusum)에 대해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세 가지 균주에 0.0001%에서 10%까지 다양한 농도의 정제 봉독을 첨가한 결과, 봉독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환1)의 크기도 커져 세 가지 균주에 대해 강한 항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용 생쥐에 오발부민(Ovalbumin)2)을 주사하여 아토피를 유발한 후 10 µg/kg의 봉독을 주사했을 경우 봉독을 투여하지 않은 생쥐에서는 피부에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필라그린,Filaggrin) 생성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봉독을 투여한 생쥐는 정상군으로 회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개발된 세정제는 기존 반려동물 세정제와 달리 천연항균·항염제인 봉독을 주 원료로 한 것이 특징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된 봉독 함유 반려동물용 세정제는 공동연구를 통해 특허출원(10-2017-0121582)하고, 업체에 기술(특허 10-1340467, 10-1424105) 이전해 샴푸와 케어 제품 등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한편, 최근 반려동물 시장이 급증하면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은 사람과 달리 긴 털로 인해 피부 위생 및 관리가 어렵고, 피부가 연약해 기존의 화학제품에 대해 트러블을 가지고 있어 반려동물용 세정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져 왔으나,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진흥청 잠사양봉소재과 한상미 연구관은 “이번에 개발한 세정제는 국내 양봉농가에서 생산한 봉독이 사용됐다.”며, “반려동물 세정제 개발을 통해 양봉농가 소득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해외 시장을 공략해 봉독의 우수함을 알릴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1) 저해환: 클린존으로도 불리며, 저해환이 클수록 항균력이 큰 물질이다.
2) 오발부민(Ovalbumin): 계란 알러젠 중에서 흰자단백질 오발부민은 항원으로 작용 아토피 유발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