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자조금, ‘한우 농가 유형 구분 설정 연구’ 결과 발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가 발주하고 경상국립대학교(연구책임자 전상곤 교수)가 수행한‘한우 농가 유형 구분 설정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공급과잉과 그에 따른 한우 가격 하락, 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 경기 침체에 따른 한우 수요 감소 등 농가 경영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증가함에 따라 한우 사육 농가에 대해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한우농가의 사육유형을 구분하여 맞춤형 한우 산업 발전 방안을 설계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했다. 먼저, 전체 농장수의 0.9%(820개), 전체 사육두수의 4.8%(163천두)를 나타내는 법인의 경우 개인과 달리 많은 세제 혜택을 받고 있고, 규모가 큰 경우가 많아 개인 농가와 달리 구별하여 그에 맞는 정책적 처방을 필요로 하여 법인 여부에 따라 개인과 법인으로 구분을 지었다. 두 번째로, 소득을 기준으로 전업농과 비전업농을 구분하였는데 도시가구 근로소득을 감안 할 때, 전업농의 규모는 최소 100두 이상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력제상 100두 이상 규모 농장수는 전체의 농장수의 8.9%(7,998개), 사육두수는 전체 사육두수의 41.5%(141만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