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위성곤 의원, “배추(10kg) 최고가 2만2천원, 최저가는 3,240원 6.8배나 차이... 농산물 수급관리 부실 도마”

- 농산물 수급조절품목 가격 폭등락 심화
- 채소가격안정제, 농산물 유통소비정보조사 무용지물 수준
- 위성곤 의원, “현재 정책수준으로는 기후변화와 재난의 일상화에 따른 작물재배환경의 급변화에 대응 어려울 것”

정부가 수급을 관리하고 있는 주요 농산물의 가격편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가격안정제, 농산물 유통소비정보조사 등 수급조절과 가격안정 정책이 무용지물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위원회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시)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수급조절품목 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배추의 경우 연중 가격편차(최저가 대비 최고가)가 2015년 약 3배 수준에서 2019년 약 6.8배 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무의 경우 2015년 2.8배 수준에서 2019년 3.9배 수준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고추는 2015년 1.1배에서 2019년 1.4배, 깐마늘은 2015년과 2019년 1.5배로 동일, 양파는 2015년 3.4배에서 2019년 2.6배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당품목의 연도별 등락폭도 심했다. 배추의 경우 2013년 10kg에 9,021원에서 2014년 4,789원으로 46.9% 급락하였으며, 2015년 5,540원에서 2016년 10,858원으로 두배 가까운 수준으로 인상되었고 2019년에는 2016년 대비 30% 가량 떨어진 7,643원 수준이다.

 

무의 경우 2015년 20kg에 10,873원에서 2016년 17,420원으로 60.2% 급등하였으며, 2019년에 다시 12,343원으로 2016년 대비 약 29% 하락하였다. 건고추의 경우 2017년 13,692원에서 2018년 20,099원으로 46.8% 급등하였다가 다시 2019년에 12.7% 떨어지는 등 수급조절품목의 연도별 가격변화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주요 채소류의 가격안정을 통해 생산자 소득 안정과 소비자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채소가격안정제를 추진하고 있으나, 주요 채소류의 가격 폭등락 현상은 매년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는 지난 10년간 207억원의 예산을 들여 ’농산물유통소비정보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농산물의 투명한 거래질서 확립과 수급 및 가격안정 도모‘라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실효성 있는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위성곤 의원은 “농가소득 및 서민들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요 농산물수급조절 정책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라면서 “현재 정책수준으로는 기후변화와 재난의 일상화에 따른 작물재배환경의 급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위 의원은 또한 “채소가격안정제의 확대와 의무자조금 등 생산자단체 조직화를 빠르게 실행하며, 농산물 수급조절 및 가격안정 정책을 획기적으로 강화해 나가야한다” 고 밝혔다.

 

<수급조절품목(배추, 무, 건고추, 마늘, 양파) 가격동향>

연도

구분

배추(10kg)

무(20kg)

건고추(1kg)

깐마늘(1kg)

양파(1kg)

2011

최고가

14,200

29,800

27,667

6,840

1,480

최저가

2,900

6,080

14,500

5,400

410

최고가/최저가

4.9

4.9

1.9

1.3

3.6

2012

최고가

14,400

20,400

23,667

7,150

1,340

최저가

3,100

6,400

16,167

5,360

550

최고가/최저가

4.6

3.2

1.5

1.3

2.4

2013

최고가

16,400

18,600

16,000

6,420

2,570

최저가

4,250

8,400

11,333

3,840

740

최고가/최저가

3.9

2.2

1.4

1.7

 

2014

최고가

9,600

12,400

15,067

4,700

830

최저가

3,100

7,520

10,667

3,570

440

최고가/최저가

3.1

1.6

1.4

1.3

1.9

2015

최고가

11,300

21,200

14,167

7,150

1,770

최저가

3,800

7,600

13,100

4,650

520

최고가/최저가

3.0

2.8

1.1

1.5

3.4

2016

최고가

23,800

31,800

13,100

9,000

1,710

최저가

4,400

8,600

9,667

6,600

680

최고가/최저가

5.4

3.7

1.4

1.4

2.5

2017

최고가

20,600

25,200

23,667

7,350

1,630

최저가

3,500

8,100

9,100

6,300

850

최고가/최저가

5.9

3.1

2.6

1.2

1.9

2018

최고가

25,000

33,400

26,833

6,833

1,210

최저가

4,900

7,000

18,667

5,625

640

최고가/최저가

5.1

4.8

1.4

1.2

1.9

2019

최고가

22,000

27,800

20,033

5,758

1,068

최저가

3,240

7,132

13,867

3,925

410

최고가/최저가

6.8

3.9

1.4

1.5

2.6

 * 자료: aT KAMIS 도매가격(중도매인 판매가격)

 

<수급조절품목(배추, 무, 건고추, 마늘, 양파) 연평균 가격>

연도

배추(10kg)

무(20kg)

건고추(1kg)

깐마늘(1kg)

양파(1kg)

2011

7,743

12,979

18,099

6,117

799

2012

8,371

12,647

20,807

5,966

901

2013

9,021

12,478

13,188

5,118

1,307

2014

4,789

9,692

12,263

4,180

588

2015

5,540

10,873

13,649

5,951

1,063

2016

10,858

17,420

11,359

7,677

1,100

2017

9,066

15,286

13,692

6,721

1,234

2018

9,275

16,892

20,099

6,272

823

2019

7,643

12,343

17,545

4,805

606

 * 자료: aT KAMIS 도매가격(중도매인 판매가격)

 

< 농산물 유통소비정보조사 예산 및 집행내역>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588

584

790

769

1,100

1,052

1,742

1,589

1,655

1,601

1,926

1,875

 

`17년

`18년

`19년

`20년 8월말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예산

집행

2,146

2,044

3,435

3,044

3,466

3,357

3,874

2,131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