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어기구 의원, “과수화상병 피해면적, 5년 사이 7.7배 증가”

- 올해에만 피해농가 626호, 피해면적 330ha
- 5년전 대비 피해농가 14.5배, 피해면적 7.7배 늘어
- 피해보상금, 지난해까지 696억원 지급
- 2016년부터 투입된 과수화상병 관련 연구예산 49억원
- 어기구 의원, “치료제 개발 등 대책 마련 시급”

과수화상병 피해농가와 면적이 크게 늘어, 올해에만 626호의 농가와 330.6ha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43호의 농가에 43.9ha의 피해를 입혔던 과수화상병은 지난 5년 사이 크게 늘어 2020년 9월 기준, 626호의 농가에 330.6ha의 피해를 입힌 것으로 나타나 피해농가는 14.5배, 피해면적은 7.7배나 늘었다.

[최근 5년간 과수화상병 발생현황]

(단위 : 호, ha)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9.30.

농가

면적

농가

면적

농가

면적

농가

면적

농가

면적

농가

면적

합계

43

42.9

17

15.1

33

22.7

67

48.2

188

131.5

626

330.6

경기

소계

32

29.6

13

10.8

25

17.1

16

8.2

23

18.6

96

45.1

안성

32

29.6

13

10.8

25

17.1

16

8.2

13

9

72

35.9

연천

-

-

-

-

-

-

-

-

3

2.2

4

1.1

파주

-

-

-

-

-

-

-

-

1

0.3

3

1.8

이천

-

-

-

-

-

-

-

-

5

4.8

4

0.7

용인

-

-

-

-

-

-

-

-

1

2.3

-

-

광주

-

-

-

-

-

-

-

-

-

-

4

0.6

양주

-

-

-

-

-

-

-

-

-

-

2

0.0

평택

-

-

-

-

-

-

-

-

-

-

7

4.9

강원

소계

-

-

-

-

-

-

7

5.3

2

1.4

2

0.6

원주

-

-

-

-

-

-

2

1.7

2

1.4

-

-

평창

-

-

-

-

-

-

5

3.6

-

-

2

0.6

충북

소계

1

0.8

-

-

-

-

35

29.2

145

103.3

506

274.7

충주

-

-

-

-

-

-

3

1.5

76

54.7

348

189.5

제천

1

0.8

-

-

-

-

32

27.7

62

46.3

139

76.4

음성

-

-

-

-

-

-

-

-

7

2.3

16

8.0

진천

-

-

-

-

-

-

-

-

-

-

3

0.9

충남

소계

10

12.5

4

4.3

8

5.6

9

5.5

18

8.2

20

5.5

천안

10

12.5

4

4.3

8

5.6

9

5.5

18

8.2

12

2.2

아산

-

-

-

-

-

-

-

-

-

-

8

3.2

전북

소계

-

-

-

-

-

-

-

-

-

-

2

4.7

익산

-

-

-

-

-

-

-

-

-

-

2

4.7

* 출처: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치료제가 없는 세균성 전염병인 과수화상병은 2015년 경기도 안성에서 처음 발병한 이후 주로 사과·배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감염 경로나 원인, 치료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매몰로 처리되는데, 이에 의한 과수농가의 피해가 막심하다. 올해는 충북지역에 무섭게 확산해 충주에서만 348개 농가에 189.5ha의 피해를 입혔다.

 

정부는 이러한 과수화상병 피해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보상금으로 지난 5년간 696억 8,200만원이 지출하였다. 2015년 87억원 수준이던 손실보상금은 크게 증가해 2019년에만 329억원이 지급되었다. 올해 피해면적만 2019년 대비 2.5배에 달하는 것에 비추어볼 때, 손실보상금 지급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더욱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수화상병 피해 손실보상금 지급실적]

(단위 : 호, ha, 백만원)

현황

2015

2016

2017

2018

2019

농가

43

17

33

67

188

348

면적

42.9

15.1

22.7

48.2

131.5

260.4

보상금

8,706

2,996

4,526

20,546

32,908

69,682

출처: 농촌진흥청

 

한편, 농촌진흥청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과수화상병과 관련한 13개 과제에 49억 7,700만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투입했다. 이 중 26억 7,500만원은 올해 예산에 반영되었으며, 과수화상병 피해가 매년 증가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개발 예산은 2016년 3억 1,500만원, 지난해 6억 1,700만원 등에 불과했다.

 

[과수화상병 관련 연구개발]

합계

연도(백만원)

2016

2017

2018

2019

2020

4,977

315

665

705

617

2,675

번호

과 제 명

주관

기관

연구

기간

총계

2016

2017

2018

2019

2020

1

과수화상병 발생 예찰 및 조기 정밀진단 체계 개발 연구

충북대

16∼18

945

315

315

315

-

-

2

무인 드론 기반 화상병 예찰 시스템 연구

농과원

17∼19

1,130

-

350

390

390

-

3

화상병 발생과원의 발생 요인 및 해외방제약제 적용성 검토 연구

농과원

19

60

-

-

-

60

-

4

과수화상병 매몰지 안전관리 연구

단국대

19∼22

427

-

-

-

167

260

5

국내 특성을 고려한 화상병 확산 방지기술 개발

농과원

20∼24

620

-

-

-

-

620

6

과수화상병균 유전적 특성 구명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한 방제기술 개발

경상대

20∼24

333

-

-

-

-

333

7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한 화상병 방제기술 개발

농과원

20∼24

210

-

-

-

-

210

8

과수화상병의 생물학적 방제기술 개발

농과원

20∼24

397

-

-

-

-

397

9

과수화상병의 생물학적 특성 구명 및 예측모형 개발

강원대

20∼24

315

-

-

-

-

315

10

과수화상병 저항성 품종 검정체계 확립 및 저항성 계통 선발

원예원

20∼24

240

-

-

-

-

240

11

과수화상병 저항성 검정 기술 개발 및 도입

원예원

20∼22

60

-

-

-

-

60

12

과수화상병 현장진단 고도화 기술 개발

농과원

20∼23

160

-

-

-

-

160

13

과수화상병 발생지 대체작목 선정 연구

충북발전연구원

20

80

-

-

-

-

80

총 계

4,977

315

665

705

617

2,675

* 과수화상병 관련 연구는 2016년부터 시작

** 출처: 농촌진흥청

 

어기구 의원은 “지난 5년간 과수화상병 피해농가와 면적이 크게 증가해 피해가 막심하다”며, “피해방지를 위한 예찰 및 방제체계 구축, 치료법에 대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