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어기구 의원,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기업 매출, 계획 대비 0.6%”

-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에 현재까지 4,599억원 투입
-입주기업 매출 2019년 기준 839억원, 종업원 수 733명.. 조성당시 전망에 비해 초라한 실적
-어기구 의원, “내실있는 운영방안 마련해야”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식품전문 산업단지로, 총 70만평 규모에 지난 11년간 4,599억 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사업이다. 한미FTA협상 타결(2007년 6월)에 따른 국내 보완 대책의 일환으로, 농어업 발전 견인을 위해 식품산업의 인프라 강화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이러한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당초 계획 대비 현재 실적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전체 산업용지 151만 1,896㎡중 실제 분양면적은 70만 7,172㎡으로, 분양률은 46.8%로 절반에도 못미쳤다.

 

<국가식품클러스터 분양률>

(단위: ㎡)

연도별

조성면적

산업용지

분양기업(수)

분양면적

분양률

2018

2,321,929

1,511,896

69

514,867

34%

2019

2,321,929

1,511,896

90

613,889

40.6%

2020.5.

2,321,929

1,511,896

94

707,172

46.8%

* 출처 :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2009년부터 현재까지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LH의 민간자본 2,298억원을 포함하여 4,599억 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시설구축에 1,027억원, 지원사업에 1,275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 투입 예산액>

(단위: 억원)

구 분

예 산

총 액

4,599.5

연도별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소계

국고,지방비

40

40

66

78

266

558

149

244

203

210

213

234

2,302

 

시설구축

-

-

20

11

199

491

79

131

19

19

19

39

1,027

지원사업

40

40

46

67

66

67

70

113

184

192

195

195

1,275

민자(LH)

 

2,298

* 현재 계속 추진 중

* 출처 :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2012년 7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에 따르면, 기업 및 연구소를 160개 유치하여 입주기업 매출 15조원, 수출 3조원, 2만 2천여명의 고용창출이 전망되었으나, 조성 3년이 지난 현재 그 현실은 녹록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종합계획 대비 실제 성과 달성>

구 분

종합계획(2012.7)

실제 현황(2019.)

달성률(%)

조성완료 시기(년)

2014

2017

3년 지연

기업‧연구소 유치(社)

160

96

60%

매출(억원)

150,000

839.1

0.6%

수출(억원)

30,000

319.58

1.1%

종업원수(명)

22,000

733

3.3%

가동중인 공장(社)

-

71

-

* 출처 :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2014년 조성완료예정이던 단지는 2017년에야 조성이 완료되어 3년이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 및 연구소 유치가 지연되었으며, 2019년 기준 기업 및 연구소 유치는 96개사로 60%의 달성률을 보였다.

 

2019년 기준 매출액은 839억 1천만원으로 종합계획 목표치 대비 0.6%에 불과했고, 수출액은 319억 5,800만원으로 목표치의 1.1%에 불과했다. 종업원수는 733명으로 목표치의 3.3% 수준이었다. 조성 당시 전망에 비해 매우 초라한 실적인 것이다.

 

어기구 의원은 “농어업 발전 견인을 위해 막대한 예산투입으로 조성된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성과가 매우 미흡하다”며,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