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어기구 의원, “최근 5년간 어류 등 1229만미(尾), 적조로 폐사”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2017년 제외하고 매해 발생, 피해액 140억원
- 전남‧경남‧경북 집중 피해
피해보상 수단인 양식수산재해보험 가입률은 지난해 39.1% 불과
- 어 의원 “사후복구보다 적조발생 해역에 대한 육상오염물질 줄이기 위한 사전예방 및 피해저감기술 개발, 양식수산재해보험 가입률 제고 등의 노력 필요”

바닷물이 더러워지거나 수온이 상승하면 유기양분이 많아져 붉은 색깔의 플랑크톤이 이상 증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적조발생 지역에서는 물고기가 질식하여 떼죽음을 당하는 일이 벌어진다.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유해성 적조발생 및 피해, 지원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2017년을 제외하고 매해 유해성 적조가 발행했으며, 그에 따른 피해액은 총 140억 3800만원, 어류와 전복 등 1,229만 6천미가 폐사했다.

 

〈최근 5년간 유해성 적조 발생 및 피해, 지원현황〉

구분

발생현황

피해현황

(천마리, 백만원)

복구내역

(백만원)

2019

∙발생기간 : 8.20~9.27

∙발생지역 : 완도~기장

∙최대밀도 : 15,120개체/ml

∙피해지역 : 전남, 경남

∙피 해 량 : 2,439

- 어류 2,439

∙피해금액 : 4,167백만원

∙복구비 : 1,484

- 국 고 436

- 지방비 189

- 융 자 514

- 자 담 345

2018

∙발생기간 : 7.23~8.19

∙발생지역 : 고흥~거제

∙최대밀도 : 4,500개체/ml

∙피해지역 : 경남

∙피 해 량 : 178

- 어류 178

∙피해금액 : 271

∙복구비 : 없음

(보험처리)

2017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2016

∙발생기간 : 8.16~8.29

∙발생지역 : 여수~완도

∙최대밀도 : 15,400개체/ml

∙피해지역 : 전남

∙피 해 량 : 5,639

- 전복 5,639

∙피해금액 : 4,342

∙복구비 : 3,300

- 국 고 1,144

- 지방비 506

- 융 자 990

- 자 담 660

2015

∙발생기간 : 8.2~9.26

∙발생지역 : 진도~울진

∙최대밀도 : 32,000개체/ml

∙피해지역 : 전남,경북,경남

∙피 해 량 : 4,040

- 어류 2,651

- 전복 1,389

∙피해금액 : 5,258

∙복구비 : 4,045

- 국 고 1,537

- 지방비 658

- 융 자 1,085

- 자 담 765

자료: 해양수산부

 

유해성 적조현상의 주된 발생지역은 주로 전남, 경남, 경북 등지였으며 최초 발생일부터 소멸되기까지 2015년 56일, 2016년 14일, 2018년 28일, 지난해는 39일 동안 지속됐다.

 

하지만 적조현상으로 인한 피해보상 수단인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률은 지난해 기준 전체 가입대상어가 9,586호의 39.1%에 불과하며 이는 전년대비 5.2%p 하락한 수치이다.

〈최근 5년간 양식수산물재해보험 가입현황〉

(단위 : 어가,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대상

가입

가입율

대상

가입

가입율

대상

가입

가입율

대상

가입

가입율

대상

가입

가입율

합 계

9,226

3,275

35.5

9,443

3,570

37.8

9,586

4,037

42.1

9,586

4,250

44.3

9,586

3,744

39.1

 

소계

7,725

3,251

42.1

7,636

3,507

45.9

7,636

3,957

51.8

7,636

4,151

54.4

7,636

3,667

48.0

넙치

590

359

60.8

513

363

70.8

513

387

75.4

513

391

76.2

513

385

75.0

전복

1,943

1,503

77.4

1,943

1,596

82.1

1,943

1,668

85.8

1,943

1,511

77.8

1,943

962

49.5

1,668

339

20.3

1,386

355

25.6

1,386

533

38.5

1,386

616

44.4

1,386

730

52.7

조피볼락

1,014

294

29.0

820

316

38.5

820

313

38.2

820

288

35.1

820

184

22.4

참돔

507

269

53.1

461

243

52.7

461

212

46.0

461

179

38.8

461

134

29.1

돌돔

106

58

54.7

164

66

40.2

164

80

48.8

164

101

61.6

164

44

26.8

감성돔

201

107

53.2

274

112

40.9

274

93

33.9

274

70

25.5

274

26

9.5

농어

262

125

47.7

237

95

40.1

237

44

18.6

237

59

24.9

237

34

14.3

쥐치

88

24

27.3

77

34

44.2

77

37

48.1

77

33

42.9

77

17

22.1

기타볼락

110

26

23.6

135

27

20.0

135

18

13.3

135

21

15.6

135

8

5.9

숭어

100

69

69.0

101

71

70.3

101

70

69.3

101

90

89.1

101

83

82.2

능성어

-

-

-

82

27

32.9

82

20

24.4

82

10

12.2

82

-

-

강도다리

78

18

23.1

78

27

34.6

78

49

62.8

78

56

71.8

78

37

47.4

홍합

408

60

14.7

376

63

16.8

376

148

39.4

376

176

46.8

376

146

38.8

가리비

-

-

-

82

18

22.0

82

27

32.9

82

16

19.5

82

16

19.5

다시마

650

-

0.0

639

64

10.0

639

184

28.8

639

408

63.8

639

732

114.6

-

-

-

268

30

11.2

268

74

27.6

268

126

47.0

268

129

48.1

사업

소계

1,501

24

1.6

1,807

63

3.5

1,950

80

4.1

1,950

99

5.1

1,950

77

3.9

959

7

0.7

1,019

50

4.9

1,019

45

4.4

1,019

41

4.0

1,019

4

0.4

멍게

313

17

5.4

241

9

3.7

241

26

10.8

241

31

12.9

241

53

22.0

뱀장어

125

-

0.0

119

-

0.0

119

-

0.0

119

-

-

119

-

-

미역

104

-

0.0

170

4

2.4

170

5

2.9

170

14

8.2

170

7

4.1

송어

-

-

-

58

-

0.0

58

-

0.0

58

1

1.7

58

5

8.6

미더덕

-

-

-

100

-

0.0

100

-

0.0

100

-

-

100

-

-

오만둥이

-

-

-

100

-

0.0

100

1

1.0

100

9

9.0

100

3

3.0

터봇

-

-

-

-

-

-

20

2

10.0

20

-

-

20

3

15.0

메기

-

-

-

-

-

-

95

1

1.1

95

3

3.2

95

2

2.1

향어

-

-

-

-

-

-

28

-

0.0

28

-

-

28

-

-

자료: 해양수산부

 

어기구 의원은 “적조 발생 이후 사후복구에만 힘쓸 것이 아니라 부영양화 방지를 위한 육상오염물질 해양유입의 사전예방 및 적조발생 피해저감 기술개발, 피해보상 수단인 양식업재해보험 가입률 제고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햇빛을 통한 소득창출 마을현장 방문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8월 24일 여주시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를 방문하였다. 구양리 마을은 주민 주도형 마을태양광사업의 모범사례가 된 곳으로 송미령 장관은 직접 태양광 발전 현장을 둘러본 뒤 마을 주민들과 농업인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구양리 ‘마을태양광 발전소’는 ’22년 산업부의 ‘햇빛두레 발전소’ 시범사업 지원을 받아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였다. 발전시설은 마을 공동 소유의 마을회관, 체육시설, 마을창고, 잡종지(농지 전용) 등에 1MW 규모이다. 이를 통해 나오는 수익은 마을협동조합에서 공동으로 관리하며, 마을식당 무료급식 운영, 마을 행복버스 운행 등에 쓰이고 있다. 이런 모델을 바탕으로 새 정부는 국정과제로 주민공동체 주도의 햇빛소득마을 500개 조성을 발표하였다. 새정부의 ‘햇빛소득마을’은 마을 공동체를 통해 농지·저수지 등 활용 가능한 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발전 수익을 마을 공동기금으로 활용하는 사업모델을 말한다. 특히, 영농활동과 발전사업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을 적극 도입하여 농지의 기능을 보전하면서 발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태양광 발전시설에 대한 마을 경관 훼손, 발전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