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어망, 폐로프 등 해상부유물이 선박 추진기 등에 감겨 항해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선박안전사고가 연간 292건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폐어구 등으로 인한 선박사고는 총 1,463건이 발생했다.
폐어망, 폐로프 등 해상부유물이 선박 추진기 등에 감겨 항해를 지속할 수 없게 된 선박사고는 2015년 249건에서 2019년 346건으로 지난 5년새 100여건이 늘었다. 연간 292.6건 수준의 선박사고가 해상부유물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폐어구 등 해상부유물에 의한 선박사고]
(단위 : 건)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계 |
부유물 감김사고 |
249 |
279 |
311 |
278 |
346 |
1,463 |
* 폐어망, 폐로프 등 해상부유물이 선박 추진기 등에 감겨 항해를 계속할 수 없게 된 해양사고
** 출처: 해양수산부
한편, 해양수산부는 폐어구 피해방지와 환경정화를 위해 최근 5년간 701억원의 예산을 배정하는 등 연평균 140억여원을 투입하여 매년 4,600톤 이상의 폐어구 등을 수거하고 있다. 그러나, 폐어구 등 해상부유물에 의한 선박사고는 계속 늘어가는 추세이다.
[해양수산부 재정 투입 폐어구 수거 현황]
(단위 : 톤)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전체(A+B) |
4,276 |
4,822 |
4,937 |
4,234 |
5,062 |
연안어장환경개선 사업(A) |
1,813 |
1,888 |
2,180 |
2,219 |
2,273 |
해양폐기물정화 사업(B) |
2,463 |
2,934 |
2,757 |
2,015 |
2,789 |
투입예산 (억원) |
124 |
123 |
142 |
146 |
166 |
* 출처: 해양수산부
어기구 의원은 “해양쓰레기는 어류자원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연간 290여건의 선박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다”며 “해양쓰레기의 수거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발생 저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