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年6만톤의 농촌폐비닐 방치...지역별 수거율 천차만별”

 - 2015년 이후 농촌지역에서 연평균 32만톤 폐비닐 발생 
 - 수거량은 연평균 19.7만톤(수거율 62%)에 그쳐, 7만톤 분량은 민간업체 처리
 - 나머지 약 6만톤 분량은 방치/소각/매립되는 것으로 추정
 - 위성곤 의원, “농림부, 환경부, 지자체가 협업하여 종합적 대책 마련 시급”

 해마다 6만톤 정도의 폐비닐이 방치되면서 농촌사회가 심각한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하여 2015년 이후 최근 4년간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은 연평균 약 32만톤이나 된다고 발표했다.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자체적으로 수거보상금제도 등을 통해 수거되는 폐비닐이 약 19.7만톤으로 전체 발생량의 62%를 차지하며, 나머지 물량 중 7만톤 가량은 민간업체에서 수거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해마다 6만톤 정도의 폐비닐은 계통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관리 사각지대에서 불법적으로 방치/소각/매립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2017년에 비해 2018년 발생한 농촌폐비닐의 발생량은 4,300톤 증가하였으나 수거량은 3571톤 감소하여 전체 수거율은 63.1%에서 61.2%로 하락하였다.

 

 지자체별로 지난 3년간 폐비닐 발생량 대비 수거율을 살펴보면 서울을 제외한 대도시의 경우 울산(69.6%)과 대전(64.7%)이 비교적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대부분의 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의 수거율이 50% 미만으로 극히 저조하였다. 특히, 광주(10.7%)와 부산(13.4%)의 수거율은 심각한 수준을 보였다.

 

 농촌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9개도(道) 중에서는 강원(79.8%), 전북(79.1%), 전남(73.4%), 충북(73.0%) 순으로 높은 수거율을 보였고, 경남(44%)과 충남(51%), 제주(52%)지역의 수거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위성곤 의원은 “미세플라스틱의 위험 등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시점에 농촌지역이 폐비닐로 인한 생태환경오염의 위기에 방치되는 실정”이라며, “농림부와 환경부, 지자체가 협업하여 시급히 종합적인 영농폐기물 처리․수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근본적으로는 친환경 영농자재 개발 및 보급과 환경보전에 대한 자발적 국민인식 강화가 지속가능한 농촌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행 폐기물 전반에 대한 소관부처는 환경부이며, 농촌폐비닐의 경우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지자체에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3년간 지자체별 농촌폐비닐 발생 현황]

(단위: 톤)

지자체명

2017

2018

2019

발생량

수거량

수거율

발생량

수거량

수거율

발생량

수거량

총  계

314,475

198,577

63.1

318,775

195,006

61.2

’20.11월경 확정*

194,379

서울특별시

136

0

0

211

0

0

0

부산광역시

1,307

167

12.8

1,306

183

14.0

263

대구광역시

1,681

287

17.1

1,716

1,068

62.2

460

인천광역시

2,911

791

27.2

1,859

836

45.0

873

광주광역시

2,464

256

10.4

2,086

229

11.0

288

대전광역시

1,105

863

78.1

1,122

576

51.3

1375

울산광역시

1,440

1,027

71.3

1,405

952

67.8

1,071

세종특별

자치시

902

219

24.3

649

199

30.7

292

제주특별

자치도

8,751

4,656

53.2

9,833

4,852

49.3

5,034

경기도

31,321

16,908

54.0

31,249

16,908

54.1

16,858

강원도

24,996

23,054

92.2

33,780

22,719

67.3

22,698

충청북도

25,213

20,450

81.1

30,088

19,485

64.8

18,957

충청남도

36,347

18,266

50.3

35,190

18,706

53.2

17,414

전라북도

35,747

25,381

71.0

29,785

25,947

87.1

20,952

전라남도

47,406

34,028

71.8

44,367

33,222

74.9

33,247

경상북도

49,500

32,723

66.1

52,338

31,141

59.5

34,403

경상남도

43,248

19,501

45.1

41,791

17,983

43.0

20,194

* 전년도 발생량은 당해연도 중 농가 통계조사를 통해 연말경 발표

  <자료제공>환경부  *의원실 자체편집

 

[최근 5년간 전국농촌 폐비닐 발생량/수거량 현황]

구  분

연평균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발생량(톤)

317,659

322,964

314,420

314,475

318,775

조사중

수거량(톤)

196,624

186,965

205,951

198,576

195,005

193,379

<자료제공> 농림축산식품부   * 출처 : 한국환경공단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