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5년간 정부시스템 해킹 시도 41만건 발생

- 2016년 5만건에서 지난해 12만건으로 2배이상 증가
- 납세정보 보유 국세청, 100조원대 거래 조달청 대상 공격 급증

정부 주요 시스템에 대한 해킹시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태흠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서천)이 기획재정부·국세청·조달청·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소관 시스템 대상 사이버공격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정부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해킹시도는 총 12만4754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년 5만건 수준 대비 2배 이상 급증한 수치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에는 5만3550건이었으나 2017년에는 6만2532건, 2018년 9만4980건으로 매년 크게 증가했고, 올해는 8월까지만 7만4324건이 발생해 이미 2017년 한해 공격 건수를 넘어서고 있다.

 

공격유형으로는 5년간 발생한 41만건 중 16만4336건이 ‘정보유출’로 40%를 차지했고, ‘홈페이지변조’ 6만6076건(16.1%), ‘정보수집’ 6만5398건(15.9%) 순으로 많았다.

 

해킹 시도 국가로는 중국이 11만4276건(27.9%)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6만8361건(16.7%)이었으며 국내에서 시작된 경우도 3만6424건(8.9%)에 달했다.

 

해킹 대상 기관별로는 전국민의 납세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국세청 시스템에 대한 공격이 2016년 1398건에서 올해 3265건으로 급증했으며 100조원대 조달거래가 이뤄지는 조달청에 대해서도 5년 사이 3배 이상 해킹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기재부 시스템도 올해만 8백건 이상의 공격을 받았다.

 

김태흠의원은 “국가 주요시스템에 대한 해킹시도가 급증하면서 정부의 재정데이터와 국민들의 개인정보가 위협받고 있다.”며 “철저한 해킹차단과 시스템 관제를 통해 단 한건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2016 ~ 2020년 8월 해킹시도 차단 건수(유형별)

(단위: 건,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08

총합계

비중

정보유출

18,497

21,875

31,678

55,823

36,473

164,346

40.1 

홈페이지변조

3,572

9,508

15,924

24,119

12,953

66,076

16.1 

정보수집

7,623

10,195

19,015

17,652

10,913

65,398

15.9 

시스템권한획득

7,462

4,583

11,786

16,745

8,261

48,837

11.9 

비인가접근시도

6,700

8,196

11,229

6,745

3,200

36,070

8.8 

기타

4,445

4,573

2,207

2,155

1,341

14,721

3.6 

서비스거부

3,005

3,230

2,958

1,312

1,052

11,557

2.8 

악성코드

2,246

372

183

203

131

3,135

0.8 

총합계

53,550

62,532

94,980

124,754

74,324

410,140

100.0 

※출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주요 45개 중앙부처 및 1460개 시스템 운영)

 

 2016 ~ 2020년 8월 해킹시도 차단 건수(유형별)

(단위: 건,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08

총합계

비중

중국

14,573

18,889

28,599

35,234

16,981

114,276

27.9 

미국

6,747

10,285

15,000

21,526

14,803

68,361

16.7 

한국

5,953

7,423

7,999

10,177

4,872

36,424

8.9 

러시아

2,502

3,639

3,282

4,267

3,705

17,395

4.2 

대만

5,891

1,250

2,192

1,126

865

11,324

2.8 

브라질

1,457

2,531

2,286

2,992

1,634

10,900

2.7 

프랑스

949

1,075

2,044

3,095

2,499

9,662

2.4 

독일

959

1,165

2,176

3,177

2,124

9,601

2.3 

홍콩

499

704

3,351

2,708

1,044

8,306

2.0 

베트남

345

697

2,233

2,770

1,298

7,343

1.8 

기타

13,675

14,874

25,818

37,682

24,499

116,548

28.4 

총합계

53,550

62,532

94,980

124,754

74,324 

410,140

100.0 

※출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주요 45개 중앙부처 및 1460개 시스템 운영)

 

 2016 ~ 2020년 8월 해킹시도 차단 건수(유형별)

(단위: 건,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08

총합계

국세청

1,398

1,193

1,557

2,275

3,265

9,688

관세청

1,258

369

1,044

1,493

1,002

5,166

통계청

1,875

2133

3,423

4,750

2,323

14,504

조달청

740

2,693

1,568

2,045

1,861

8,907

※출처: 각 기관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