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권익위 이첩 사건 처리 ‘세월아 네월아’ … 규정 유명무실 부패신고 사건 이첩 후 70일 이내 통보 25% 불과!!

국민권익위원회가 조사기관으로 이첩한 부패신고의 75%가 규정을 어기고 70일 이내 통보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방지권익위법에 따르면, 권익위는 접수된 신고사항에 대하여 감사, 수사, 조사가 필요한 경우 이를 감사원, 수사기관, 공공기관 등 조사기관에 이첩하도록 하고 있다.

 

조사기관은 신고를 이첩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감사·수사·조사를 종결해야 하고, 종료 후 10일 이내에 권익위에 통보해야 하며, 권익위는 이를 통보 받은 즉시 신고자에게 조사 결과를 통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이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제출 받은 ‘권익위 이첩 부패사건의 통보 현황’ 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2019년) 권익위가 조사기관으로 이첩한 부패신고 사건 총 1,562건 가운데 75%인 1,175건이 70일을 넘겨 통보된 것으로 확인 됐다.

 

특히 권익위가 경찰청 및 대검찰청 등 수사기관에 이첩한 부패신고 사건은 전체 부패신고 이첩 사건의 72.2%인 1,128건에 달했는데, 경찰청이 1,047건, 대검찰청이 81건으로 경찰청이 대검찰청보다 13배 더 많은 사건을 이첩 받았다.

 

권익위가 5년간 대검찰청에 이첩한 부패신고 81건 중 70일 이내 통보된 건수는 6건(7.4%)에 불과했다. 5년간 경찰청에 이첩한 부패신고 1,047건 중 70일 이내 통보 건수는 166건(15.8%)였다.

 

현행법상 수사기관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권익위에 연장사유 및 연장기간을 통보하면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수사기관이 통보 처리기한을 지키지 않더라도 처벌 조항이 없다. 사실상 규정이 유명무실한 것이다.

 

실제로 수사기관의 5년간 연평균 결과 통보 기간은 대검찰청 233일, 경찰청 171일로 집계됐다.

 

한편 최근 5년간 이첩한 공익신고 사건의 평균 결과 통보기간도 대검찰청은 248일, 경찰청은 141일이었다. 다만 현재 권익위법은 부패신고 사건과 달리 공익신고 사건에 대해선 처리기간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는 사안의 경중에 따라 조사, 수사에 소요되는 기간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고 권익위는 설명했다.

 

김한정 의원은 “청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정부패를 신고하는 용기와 실천적인 행동이 중요하다”면서, “공동선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실천적 용기를 격려할 수 있도록 하세월인 수사기관 이첩 사건의 처리에 속도를 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

 

최근 5년간(2015~2019) 권익위가 조사기관으로 이첩한 부패사건의 기관별 권익위 통보 현황 

(단위:건)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총계

70일 이상

70일 이하

70일 이상

70일 이하

70일 이상

70일 이하

70일 이상

70일 이하

70일 이상

70일 이하

70일 이상

70일 이하

합계

감사원

6

0

3

2

0

0

0

0

0

0

9

2

11

중앙행정기관

14

5

21

82

24

8

10

15

50

21

119

131

250

수사기관

230

3

153

37

134

35

202

47

237

50

956

172

1128

- 경찰청

205

3

140

35

123

35

190

43

223

50

881

166

1047

- 대검찰청

25

0

13

2

11

0

12

4

14

0

75

6

81

지자체

27

8

11

14

12

8

13

19

23

31

86

80

166

공공기관 등

3

0

0

1

0

0

0

0

2

1

5

2

7

 

 

 

 

 

 

 

 

 

 

 

1175

387

1562

 

최근 5년간(2015~2019) 부패신고 이첩사건의 기관별 조사·수사결과 평균 통보 기간

(단위 : 일)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평균

감사원

377.6

156.6

-

-

-

 

중앙행정기관

170.4

101.5

299.6

102.6

68.1

148

수사기관

327.7

188.1

229.1

150.9

116.3

202

- 경찰청

287.5

165.2

144.5

141.6

118.6

172

- 대검찰청

368

211.1

313.8

160.3

114

233

지방자치단체

248.1

121.8

157.1

101.5

60.5

138

공공기관 등

280.6

26

0

0

44

70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