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식량작물 노지 디지털농업기술 어디까지 왔나?

- 자동 물·비료 관리로 노동력·농업용수·비료량↓, 생산량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지속적인 농촌 노동인구 감소와 이상기상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디지털농업기술인 자동물관리시스템과 자동관비시스템을 개발, 보급에 힘쓰고 있다.

 

 자동물관리시스템은 수분 감지기(센서)와 제어기, 배수관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빼는 기술이다. 자동관비시스템은 땅속 관으로 물과 비료를 동시에 공급하는 기술이다.

  이 시스템들은 설치와 관리가 간단하며, 현장에 적용했을 때 노동력과 농업용수, 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자동물관리시스템 실행을 위해 물을 주는 ‘지중점적 자동관개제어시스템’(2018년), 물을 빼는 ‘저비용 무굴착 땅속배수기술’(2017년)을 개발했으며, 물주기와 물빼기가 동시에 가능한 ‘관·배수 통합 자동제어 물관리기술’은 개발 중이다.

 

 지중점적 자동관개제어시스템은 땅 속에 관을 묻고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만큼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해 실시간 토양 속 수분 관리가 가능하다. 이 시스템을 적용하면, 콩 수량은 26% 늘고 농업용수는 22%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저비용 무굴착 땅속배수기술은 일반 트랙터에 매설기를 연결해 주행과 동시에 배수관과 충전재를 묻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저렴1) 하고 손쉽게 배수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콩 수량이 27% 느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신기술 시범사업을 통해 지중점적 자동관개제어기술은 전국에 44헥타르(22개소), 저비용 무굴착 땅속배수기술은 42헥타르(21개소)에 적용, 설치돼 있다.

  - 지중점적 자동관개제어시스템은 지중점적관 매설기 제작업체 3곳, 지중점적관개 기반조성 업체 5곳, 지중점적관개 제어기 관련 2곳 등 총 10곳에 기술이전 됐고, 저비용 무굴착 땅속배수 기술은 총 2곳에 기술이전, 시범사업에 지원되고 있다.

 

 자동관비시스템은 땅속에 묻은 관으로 물과 비료를 동시에 공급하는 기술로, 개발이 완료돼 보급을 앞두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에서 자동관비시스템을 적용하면, 노동력은 41%, 비료 투입량은 17%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관비시스템이 보급되면, 적정량 비료주기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저감 정책에도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양분감지기를 개발해 실시간으로 토양 양분상태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필요한 만큼 비료를 주는 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박기도 과장은 “자동물관리시스템과 자동관비시스템 등 노지 디지털농업기술을 농가에 빠르게 보급해 노동력과 농업용수, 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생산량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무굴착 땅속배수 시범사업에 참여한 경기도 평택의 옥수수 농가 박건화 씨는 “논에 땅속배수 시설을 설치한 후 물고임 현상이 줄었고, 편리한 물 관리로 노동력도 줄일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 자동물관리시스템 연구결과

❍ 지중점적 자동관개의 관개효율 및 밭작물의 생육반응 평가

  - 관개량: 스프링클러 관개 대비 22% 물 절약(지중점적 47천톤 < 스프링쿨러 60톤)

  - 관개효율: 스프링클러 관개 대비 2.6%p 향상(지중점적 91.9% > 스프링쿨러 89.3%)

:  - 수량성: 콩(지중점적 356kg/10a > 무관개 282), 참깨(지중점적 142kg/10a > 무관개 104)

 

구 분

기술적용 전

기술적용 후

밭작물 생산성

콩 수량: 282kg/10a

콩 수량: 356kg/10a(26% 증수)

농업용수 절감

스프링클러: 60톤/10a

지중점적관개: 47톤/10a(22% 절약)

관수 노동력

스프링클러: 130만원/ha

지중점적관개: 추가노동력 없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dd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3pixel, 세로 56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8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8pixel, 세로 62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1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7pixel, 세로 411pixel

지중점적 시스템 구성도

지중점적관개 콩 생육

스마트폰 앱

 

❍ 트랙터 부착형 무굴착 땅속배수 기술의 배수개선 효과

  - 일평균 지하 투수량 : 굴착식 63.3mm/d (100%) → 무굴착 69.8mm/d (110%)

  - 일평균 배수량 : 굴착식 155.6천ℓ/ha → 무굴착(3m 간격) 153.6천ℓ/ha

 

배수방법

일평균 지하 투수량(mm/d)

일평균 총 배수량(천ℓ/ha)

단위 시간당 배수량(ℓ/ha)

굴착식(관행)

63.3

155.6

6,484.4

무굴착 땅속배수

69.8

153.6

6,399.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9c001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0pixel, 세로 17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9c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9pixel, 세로 17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9c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9pixel, 세로 17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9c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9pixel, 세로 170pixel

 

일평균 배수량

시공 후 토양 상태

관행(1년 후)

무굴착 땅속배수(1년 후)

❍ 논 콩의 생산성 향상 효과: 관행 291kg/10a → 무굴착 땅속배수 371kg/10a, 27% 증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9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5pixel, 세로 33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9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5pixel, 세로 33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b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4pixel, 세로 37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b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4pixel, 세로 377pixel

관행

무굴착 땅속배수

사양토

식양토

 

 

□ 자동관비시스템 연구결과

❍ 옥수수 비료 시용 시간 및 투입량 증감 비교          

  - 비료 시용시간: 관행 시비 대비 41% 감소 (관행 3.4시간 → 관비 2시간)

  - 비료 투입량: 관행 시비 대비 비료 투입량 17% 감소 (관행 14.5kg → 관비 12kg)

 

구분

관행 시비

관비 시비

절감률

비료 시용시간(h/ha)

3.4

2

41.2

비료 투입량(kg/10a)

14.5

12

17.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d4062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30pixel, 세로 42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d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23pixel, 세로 22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10127_112225 편집.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68pixel, 세로 2299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1월 28일 오후 13:09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A908N 프로그램 이름 : 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 F-스톱 : 2.0 노출 시간 : 1/921초 IOS 감도 : 50 색 대표 : sRGB 35mm 초점 거리 : 25 EXIF 버전 : 02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d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646pixel

 

지중관비시스템 구성도

자동관비시스템

지중관비시스템 옥수수 생육

 *2020년 2년차 연구실험 결과

   비료 살포(기비) 노동투입시간: 3.4h/ha, 영농활용 자료

 

 

 


1)  설치 비용은 헥타르(ha)당 약 650만 원으로, 땅을 파고 관을 묻는 굴착식 땅속배수(1,370만 원)에 비해 53.5% 이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과학과 정책의 협력” 양봉산업 위기 해결 나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한국양봉학회와 함께 8월 28일부터 29일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제41차 한국양봉학회 하계학술대회’를 열고 있다. ‘양봉, 연구와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학의 협력’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꿀벌 감소 문제와 이상기상, 꿀벌응애 등 병해충 피해, 수입 벌꿀 증가와 국내 벌꿀 소비 둔화 등 양봉산업과 농가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 참석한 국내외 연구자, 정책기관, 산업계, 농가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 수립과 연구에 필요한 농업 현장의 의견을 제안하는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첫날(28일) 기조 강연에서는 곽경택 영화감독의 ‘영화 속 꿀벌, 환경과 생명의 메시지’와 정철의 경국대 교수의 ‘최신 양봉 연구 동향’ 발표가 있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산림과학원이 우수 양봉농가와 지자체 담당자, 신규 연구자를 대상으로 최신 양봉 기술을 전수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꿀벌 우수 품종 육성 및 보급 체계 ∆꿀벌 병해충 특성과 양봉용 의약품 사용 기술 ∆디지털 양봉 관리 기술 ∆벌꿀 생산 우수 밀원수 특성 등을 발표했다.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건강기능식품 수출지원 본격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6일(화)부터 27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건강기능식품 글로벌 수출전략 세미나 및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6개국 유통 전문가와 300여 명의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회장 정명수, 건기식협회)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국제적 협력 관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미국,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 대상 국가의 유통사 구매 담당자 10명을 초청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행사 첫날에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34개소가 ‘1:1 수출상담회’에 참여했다. 상담회를 통해 각 업체는 유통사별로 제품 소개 및 수출 애로사항에 대해 구매 담당자와 직접 소통했고, 일부 업체는 별도의 회의까지 연계되는 성과를 거뒀다. 행사 마지막 날에는 ‘수출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에서는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을 통한 일본 시장 진출 전략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 플랫폼 티몰*(Tmall)을 활용한 중국 진출 전략 ▲미국 한인 대표 유통

산림

더보기
산림청, 백두대간법 20주년 맞아 성과 및 미래 방향성 공유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호선 국회의원, 한국환경생태학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녹색연합, 백두대간옛길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20년간 변화상 △백두대간 보호·산림복원의 성과와 미래비전 △백두대간 보전과 시민사회의 역할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내년에 수립되는 10년 기본계획에 반영해 백두대간 보전 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백두대간법은 2005년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산림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전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됐다. 산림청은 현재 6개도, 108개 읍·면·동을 포함하는 27만7,645헥타르(ha)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해 보전·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백두대간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을 통해 도로로 단절됐던 이화령, 육십령 등 13개소를 복원해 야생동물과 국민들의 지역 간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통행자와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한 특수 건축공법을 활용해 백두대간의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