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한우

한우자조금, 2021 HOFEX 에서 한우 위상 높여

홍콩국제식음료무역박람회 참여 인원 17,911명 중 1,120명이 한우 부스에 관심
바이어 상담 202건으로 코로나19에도 여전한 한우 인기 실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지난 달 7일부터 9일까지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1 홍콩국제식음료무역박람회(HOFEX)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34회째를 맞는 2021 HOFEX는 1,500여 개의 참가 브랜드와 70개 이상의 참가국이 서로 교류하는 아시아 최고의 식음료 무역 박람회로 올해는 2021 레스토랑&바 (Restautrant&Bar) 박람회와 동시에 개최됐다.

 

 

한우자조금을 비롯해 577개 업체가 참여한 이번 행사는 17,911명의 관람객이 박람회를 방문했고, 이 중 1,120명의 바이어가 한우 부스를 찾아 202건의 상담 건수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우에 대한 현지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한우자조금은 이번 박람회에서 한우 고기 1++의 등심과 안심, 채끝 등의 주요 부위를 전시해 한우의 마블링과 색감, 육질의 우수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눈길을 끌었다. 또한 현지 유명 셰프이자 소믈리에인 Zachary Yu가 시식 이벤트를 진행하며 한우만의 특별한 맛과 식감을 현지인의 입맛에 맞춘 스테이크와 샌드위치를 제공해 큰 인기를 끌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장내 시식 행사가 금지돼 있어 시식용 메뉴는 도시락 형태로 제공하고 방역지침에 따라 비닐 장갑 등의 위생용품을 지급했다.

 

 

한편 한우자조금은 부스 방문객과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쇠고기의 이름을 묻는 이벤트를 비롯해 한우 캘리그라피가 장식된 장바구니와 한우 캐릭터가 새겨진 마스크 및 도마를 기념품으로 제공했다.

또한 코로나19로 현장 방문 여건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도 박람회 기간 내 줌 등의 온라인 미팅 플랫폼을 활용해 외부와의 다양한 소통을 이어갔다.

 

한우자조금 민경천 위원장은 “아시아 최고의 식음료 무역 박람회로 자리 잡은 34년 역사의 HOEFX에 참여해 한우에 대한 현지의 변함없는 관심과 인기를 실감했다”라며 “한우자조금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우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시장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앞으로도 해외의 다양한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산림

더보기
미래 산림과학을 밝히는 지식의 스위치 ‘ON’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산림과학 연구분야별 현안을 해결하고 가시적인 협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역량강화 소통 프로그램인 산림과학 ‘지식ON 프로젝트’를 이번 6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식ON 프로젝트’는 ‘지식을 켜다/지식이 온다’라는 중의적 의미와 함께, 집단지성을 극대화하고 끊임없이 지식의 순환을 촉진하여 산림과학을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산림생명자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주제를 비롯하여, 산불 등 대형 산림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 기후변화 대응 목조건축 활성화 방안 등 11개로 구성된 산림과학 분야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산림과학 연구 선도를 위하여 농림위성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혁신 방안 등 첨단 과학기술을 연구에 접목하기 위한 역량강화 소통도 진행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식 ON 프로젝트’를 통하여 ▲모든 구성원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수평적 소통 문화를 확산하고, ▲소통을 통해 실효적 성과를 창출하는 협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산림분야의 현안과 미래 이슈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