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우리나라 정보통신망 역사를 집대성한 「대한민국 정보통신망 발전사」발간·배포

- 그간의 정보통신망 발전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기록
- 유·무선 연결망(네트워크) 기술개발, 정책추진 과정 등 총체적으로 다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문용식, 이하 ‘진흥원’) 는 우리나라의 주요 정보통신망 발전 역사와 성과를 집대성한「대한민국 정보통신망 발전사」(이하 ‘정보통신망 발전사‘)를 발간, 배포한다고 밝혔다.

 

’정보통신망 발전사‘는 대한민국 정보통신망 역사를 설명하는 개론서로 민‧관이 하나 되어 이끌어온 정보통신기술(ICT) 기술개발 및 융합·확산의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서, 행정전산화 등 대한민국의 정보통신망 고도화 준비 시기부터 ’86년 전전자교환기(TDX) 국산화, ‘87년 국가기간전산망 사업 등과 ‘04년 광대역통합망(BCN) 사업, ‘96년 세계 최초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상용화, ‘19년 세계 최초 5세대(5G) 상용화 등 인터넷의 대중화와 전 산업에의 정보통신기술 융합확산을 지원해온 주요 기술발전과 시장의 변화를 시대순으로 나누어 총체적으로 정리하였다.

       * 준비기(∼1982년), 태동기(1983∼1995년), 대중화(1996∼2002년), 융합화(2003∼2010년), 개인화(2011∼2018년), 지능화(2019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efc048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7pixel, 세로 85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ef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2pixel, 세로 836pixel

 

 < 대한민국 정보통신망 발전사 프레임 >

구분

핵심 사업·서비스(Keyword)

주요 내용

Intro

  준비기

 

  (~1982년)

· 행정전산화 추진

· 음성전화 서비스

· 정보통신 기관 설립

 

◻ 본격적인 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준비 단계로 외산장비 중심의 음성전화, 저속 데이터 통신 등 제한적 정보통신 서비스 사용 시기

  o 정보통신망 기반 준비를 위한 행정전산화 정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67.9.14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준공식.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90pixel, 세로 141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9월 01일 오후 2:43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1.0 (Windows)
색 대표 : sRGB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70년대 충북도청이 행정전산화를 시연하는 모습.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pixel, 세로 563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4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EXIF 버전 : 0221

 <1967. 9월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준공식>

<1970년대 충북도청의 행정전산화 시연 모습>

1부

  태동기

 

(1983년~

1995년)

· 전전자교환기(TDX) 국산화

· 국가기간전산망 사업

· 1세대(1G) 이동통신 상용화

 

◻ 정보통신 인프라 국산화 및 초고속정보통신망 정책수립 시기

  o 유선 전화망 보급 확대와 TDX 교환기 국산화

  o 데이터 통신 상용화와 무선통신(1G) 서비스의 시작

  o 초고속정보통신망 추진기반 마련 및 국가기간전산망 사업 추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87.09.30 전화 1,000만회선 돌파기념식.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3pixel, 세로 57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3:02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94.12.정보통신부 출범.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0pixel, 세로 907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39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EXIF 버전 : 0221

< 1987.09.30 전화 1,000만회선 돌파기념식 >

 < 1994.12월 정보통신부 출범 >

2부

  대중화 (1996년~

2002년)

·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 초고속인터넷이용(ADSL) 세계1위

· 2G(CDMA) 세계 최초 상용화

 

◻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으로 초고속인터넷 대중화 시기

  o 선도망, 국가망, 공중망 등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 추진

  o 초고속인터넷(ADSL) 경쟁․확산, 학교인터넷 무료(256Kbps)

  o CDMA 세계최초 상용화 성과와 3G 이동통신 서비스 출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96.06.11 정보화추진위원회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321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39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997.10.02 한국전산원 정보연계센터 현판식.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55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26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EXIF 버전 : 0221

<1996.06.11. 정보화추진위원회의>

<1997.10.02. 한국전산원 정보연계센터 현판식>

3부

  융합화

 

(2003년~

2010년)

·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 결합서비스(100M인터넷,IPTV,영상전화)

· 3.5G(WCDMA) 세계최초, 농어촌 BCN

 

◻ 광대역통합(융합)망 구축으로 전 산업․생활에 ICT융합 확산

  o 모든 유선․무선․방송사업자 대상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o 이동통신(3.5G,WiBro)의 광대역화로 멀티미디어 이용 활성화

  o IPTV,영상전화등 결합서비스 제공, 전산업에의 ICT융합 본격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07.11. IT839전략회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99pixel, 세로 113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9월 01일 오후 2:42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1.0 (Windows)
EXIF 버전 : 023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0.12. 2010년도 농어촌광대역통합망 구축 개통식(김천).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68pixel, 세로 211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0년 12월 06일 오후 12:04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F-스톱 : 20.0
노출 시간 : 1/200초
IOS 감도 : 8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플래시 모드 : 플래시 켬
EXIF 버전 : 0221

<2007.11월 IT839전략회의 >

<2010.12월 2010년도 농어촌광대역통합망 구축 개통식(김천)>

4부

  개인화

(2011년~

2018년)

· 4G(LTE)망 구축과 스마트폰 확산

· 기가인터넷(~1Gbps) 상용화

· 학교WiFi 구축, 공공WiFi 구축

 

◻ 스마트폰 확산 등으로 개인의 이동통신 이용 활성화 시기

  o 4G LTE 이동통신 서비스 상용화와 모바일 시장의 확산

  o 초고속인터넷 1Gbps급 보급, 기가인터넷가입자망 구축

  o 학교 WiFi 구축, 공공 WiFi 구축 등 공공인프라 고도화 추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3.05.30 5G포럼 창립총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0pixel, 세로 379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25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7.10.11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72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4월 06일 오후 2:25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s Mark I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Macintosh
F-스톱 : 5.0
노출 시간 : 1/250초
IOS 감도 : 1250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1

<2013.05.30 5G포럼 창립총회>

<2017.10.11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

5부

  지능화

 

  (2019년~)

· 5G 세계최초 상용화

· 10기가인터넷(~10Gbps) 상용화

· 디지털 뉴딜(+ 코로나-19)

 

◻ 인공지능 등 미래 초대용량․초연결․지능형의 차세대망으로 진화

  o 세계최초 5G 상용화, 지능형 차세대망 구축 전략 추진

  o 초고속인터넷 10Gbps 보급, 10기가인터넷가입자망 구축

  o 정부의 정보통신(ICT) 기반 코로나-19 대응과 디지털 뉴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398-3 2018.12.01 SKT 5G개시 기념촬영(유영민 장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8년 12월 05일 오후 10:20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s Mark I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 Windows
F-스톱 : 3.5
노출 시간 : 1/160초
IOS 감도 : 3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켬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417 2020.02.21. 코로나19 관련 ICT분야 대응반 회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0pixel, 세로 8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02월 22일 오후 9:17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 Windows
F-스톱 : 4.5
노출 시간 : 1/200초
IOS 감도 : 16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켬
EXIF 버전 : 0231

  < 2018.12.01. 5G개시 기념촬영>

< 2020.02.21. 코로나19 관련 ICT분야 대응반 회의 >

 

 또한 각 정책이 추진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시장과 제도의 변화를 담고, 각 시대별 주요 변곡점이 되는 역사의 실무와 책임을 맡았던 인물들의 인터뷰를 수록하는 등 풍부한 사료를 통해 시대별 상황과 성과를 생생하고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편찬하였다.

 

 ‘정보통신망 발전사’의 편찬위원장을 맡은 장석권 편찬위원장(KAIST 초빙석학교수)은 “새로운 정보통신망이 개발·구축‧고도화될 때 단계별 개발과정과 성과를 기록한 백서가 발간된 적은 있었지만, 유·무선을 모두 아우르면서 공공과 민간 부문의 정보통신망 발전 역사를 총체적으로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히며, 역사를 되돌아보는 과정에서 “우리가 가진 불굴의 저력과 가능성에 대한 힘찬 도전 이었으며, 이것이 우리 모두의 열정과 헌신”이라고 그간의 정보통신망 발전성과에 대한 노력을 평가하였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발간사를 통해 “오늘이 있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여준 정보통신분야 기업·학계·연구소 및 유관기관 전문가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면서,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6세대(6G) 등 혁신기술을 확보하고 나아가 우리가 지닌 디지털 우위를 계속 유지하고 높여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정보통신망 발전사」는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하여 주요 지자체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www.nia.or.kr) 통해서도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