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3.9% 상승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5.4포인트) 대비 3.9% 상승한 140.7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지수가 상승했으며, 그중 유지류와 유제품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1.2월) 116.6 → (5월) 128.1 → (7월) 124.6 → (11월) 135.3 → (12월) 133.7→ (`22.1월) 135.4 → (2월) 140.7

 

  2022년 2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1월(140.6포인트)보다 3.0% 상승한 144.8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4.8% 상승)하였다. 밀은 흑해 지역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수출에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브라질 작황 우려, 밀 가격 상승, 우크라이나산 수출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일부 수출국 통화가치 상승과 동아시아국가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185.9포인트)보다 8.5% 상승한 201.7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36.7% 상승)하였다. 팜유는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수출량 감소 전망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남미지역 생산 저조 전망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해바라기씨유는 흑해 지역의 수출 저조 우려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2.6포인트)에서 6.4% 상승한 141.1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24.8% 상승)하였다. 서유럽과 오세아니아의 공급량이 예상보다 저조하고 북아시아‧중동의 수입 수요가 높은 점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육류의 경우, 전월(111.5포인트)보다 1.1% 상승한 112.8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5.3% 상승)하였다. 쇠고기는 브라질의 도축량 부족과 세계 수입 수요 강세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돼지고기는 미국‧유럽 내에서 공급이 둔화되고 수요가 증가한 점을 반영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반면, 양고기는 오세아니아 지역의 수출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였고, 가금육은 중국의 수입량 및 브라질의 국내 수요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설탕의 경우, 전월(112.7포인트)에서 1.9% 하락한 110.6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0.4% 상승)하였다. 설탕은 주요 수출국인 인도‧태국의 낙관적인 생산 전망과 브라질의 재배 여건 개선 및 에탄올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다.

 

  FAO는 2021/22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1/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95.6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7%(20.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19.3백만톤(0.2%↑) / 잡곡 1,500.9(1.2%↑) / 밀 775.4(0.1%↓)

 

  2021/22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01.6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1.5%(40.9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20.0백만톤(1.7%↑) / 잡곡 1,508.8(1.4%↑) / 밀 772.8(1.5%↑)

 

  2021/22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35.8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5%(4.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87.7백만톤(0.9%↑) / 잡곡 353.8(0.03%↑) / 밀 291.1(0.1%↑)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곡물 가격이 지속 상승 중에 있어 ‘국제곡물 수급대책위원회’(위원장: 식품산업정책실장)를 중심으로 관련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강구해나가고 있다.

 

 

  또한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업계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 3월 4일 물가 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①사료와 식품 원료구매자금(사료 647억 원, 식품 1,280억 원) 금리를 2.5~3.0%에서 2.0~2.5%로 0.5%p 인하하고, ②사료곡물을 대체할 수 있는 원료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되는 할당물량을 증량(겉보리 4→10만 톤, 소맥피 3→6만 톤)하기로 하였다.

 

  농식품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제곡물 가격 등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업계 재고 및 계약 등 원료 수급 상황을 매일 점검(식품산업 실장 주재 점검 회의 매일 개최)하는 한편, ‘식품수출기업 상담센터’도 운영(3.2.~)하여 업계 애로 사항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제곡물 시장 불안 상황으로 인한 국내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조치도 적극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