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항공교통서비스의 모든 정보를 한눈에

- 21년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 발간… 13일부터 국토부 누리집 열람 -

국토교통부는 다양한 항공교통서비스 정보를 한 곳에 모은「2021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5월 13일부터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에서 누구나 찾아볼 수 있다.

 

 *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 2014년부터 해당연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항공     교통서비스에 관한 보고서를 연 단위로 발간

 

 「2021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는 국적사의 운송실적, 지연・결항률, 피해구제 접수현황 등 정보를 담고 있어 항공사 이용 전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항공사 선택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2021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에는 ‘23년 새로운 지연운항 기준   도입을 위하여 기존 활주로의 이·착륙을 기준으로 측정해오던 지연   기준을 게이트 출발・도착 기준으로 변경하여 인천공항의 지연율   시범조사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향후 다른 공항까지 조사를 확대   할 계획이다.

 

  * 활주로 이륙・착륙 기준은 국내선 30분, 국제선 60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하고,
게이트 출발・도착 기준은 국내선・국제선 모두 15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

 

  이외에도 사전에 이용자들이 알아두면 편리한 항공사 운송약관의 주요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2021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에 수록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운송실적 정보

 

 지난해 항공교통서비스 이용객은 총 3천 636만명으로, 우리 국민 2명 중 1.4명이 항공기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7.7%, ’19년 대비 70.5% 감소한 것으로, 최근 10년 중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국내선 이용객은 3천 315만 명으로 전년 대비 31.7%, 2019년 대비 0.5%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의 실적을 보인 반면, 국제선 이용객은 321만 명으로 전년 대비 77.5%, 2019년 대비 96.4%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 여객 운송실적 >

(단위: 천명, %)

구분

2021년도

총계

국내선

국제선

대형

항공사

대한항공

5,819

4,818

1,001

아시아나항공

5,114

4,477

637

합계

10,933

9,295

1,638

저비용

항공사

에어부산

4,492

4,464

28

에어서울

1,696

1,665

31

제주항공

6,516

6,459

57

진에어

5,846

5,811

35

티웨이항공

5,157

5,100

57

플라이강원

136

136

-

에어로케이

135

135

-

에어프레미아

81

81

-

합계

24,058

23,851

207

외국적 항공사

1,364

-

1,364

합계

36,355

33,146

3,209

 

  한편, 전년 대비 대형항공사의 여객수송실적은 12.1% 증가, 저비용항공사는 41.3% 증가하였는데, 이는 저비용항공사가 급감한 국제선 운항 대신 국내선 공급좌석 수를 크게 확대하였기 때문이다.

     (‘20년 65.7백만→ ’21년 81.1백만)

 

 2. 정시성 정보

 

[ 국내선 ]

 

  ‘21년 국내선 정시율은 92.4%, 지연율(30분 초과)은 6.7%, 결항률은 0.9%를 차지하였다.

 

  국내선 지연율은 전년대비 운송실적 증가(+31.7%)에 따라 2.3%p 증가하였으나, ‘19년 대비 5.0%p 감소하여 국제선 운항 횟수의 감소로 공항 내 혼잡이 적은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 (지연율) ’17년 12.0% → ’18년 13.4% → ’19년 11.7%→ ‘20년 4.4% → ’21년 6.7%

 

  ‘21년의 경우 플라이강원의 지연율이 1.6%로 가장 낮은 반면, 에어서울이 13.2%로 가장 높은 지연율을 기록하였다.

 

< 항공사별 국내선 지연율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77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9pixel, 세로 332pixel

 

  - 지연사유는 모든 항공사에서 접속 지연사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국토부의 항공기 지연운항 개선 T/F를 통해 마련된 첫 출발편 정시성 집중관리, 운항 여유시간(1시간) 확보 등 지연 감소방안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접속) ’17년 91.7% → ’18년 90.5% → ’19년 89.0%→ ‘20년 80.4% → ’21년 77.4%

 

 국내선 결항은 총 3,521건으로, 전년 대비 0.05%p 증가하였다. 주요 결항사유는 기상에 의한 영향, 항공기 연결 접속 순으로 에어프레미아가 0.37%로 가장 낮은 결항률*을 보였다.

 

   * 에어프레미아 0.37%, 제주항공 0.54%, 티웨이항공 0.70%, 아시아나항공 0.81%, 에어부산 0.87%, 대한항공 0.90%, 에어서울 0.93%, 진에어 1.34%, 에어로케이 1.90%, 플라이강원 2.30%

 

[ 국제선 ]

 

 ‘21년 국적사의 국제선 정시율은 97.3%로, 지연율(1시간 초과)은 2.7%, 결항률은 0.07%를 차지하였고, 외국적항공사의 국제선 정시율은 96.3%, 지연율은 3.5%, 결항률은 0.21%로 나타났다

 

 국적사의 경우, 전체 항공사의 지연율은 ’20년 대비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저비용항공사의 지연율이 증가하였으나, 국제선 운항편의 대부분이 대형항공사에 의해 이뤄져(92.7%) 영향이 미미하고, 국제선 운항 횟수의 감소로 인천공항의 혼잡도가 낮아져 대형항공사의 지연율이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외국적항공사 중에서는 ‘21년 500회 이상 운항한 8개사 중 싱가폴항공이 0.8%로 가장 낮고, 델타항공이 3.8%로 가장 높았다.

 

< 항공사 국제선 지연율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52c032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2pixel, 세로 286pixel

 *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는 국제선 미운항

 

 국제선 결항은 국적사 중 에어서울이 1.45%로 가장 높았으나, 결항건수 모두 기상에 의한 결항으로 높은 결항률이 기록되었다.

 

  - 외국적항공사는 ‘21년 500회이상 운항한 외국적항공사 8개사 중 델타항공이 0.27%로 가장 높았다.

 

[ 인천공항 지연시간 측정 ]

 

 ’21년에는 앞으로 도입될 국제 통용 지연기준을 시범 조사하기 위해 지연 측정기준을 기존 활주로 이륙ㆍ착륙 기준에서 게이트 출발ㆍ도착 기준으로 변경하고, 인천공항의 지연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 활주로 이륙・착륙 기준은 국내선 30분, 국제선 60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하고,
게이트 출발・도착 기준은 국내선・국제선 모두 15분을 초과시 지연으로 측정

 

  - 현행 활주로 이・착륙 기준의 국제선 출발 지연율*은 2.1%이었으나,  새로운 기준인 게이트 출・도착 기준(15분 초과 지연)으로 변경 시 4.6%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 60분 초과 지연된 항공편의 비율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5분 초과~60분 이내 이륙한 항공편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게이트 출발 후 지상활주 및 이륙대기 시간이 지연율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이용자 피해 신청절차 정보

 

 ‘21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항공 관련 피해구제 접수건수는  484건으로 전년 대비 약 81% 감소하였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운항 횟수 및 이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피해유형별로는 팬데믹 장기화에 따른 항공권 계약해제 및 환급 요구 사례가 대부분으로, 취소‧환불위약금 관련 피해가 407건(8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연‧결항 피해가 30건(6.2%)으로 2위를 차지했다.

 

  - 특히, 코로나-19 이후 외항사의 응답 지연 등 대응이 미흡하여 이용자 백만명당 피해구제 접수건수 환산 시 국적사가 3.3건인 반면 외항사는 187.0건으로 집계되었다.

 

 국적사 중 이용자 백만명당 피해구제 접수건수는 티웨이항공이 4.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주항공이 1.5건으로 가장 적었다.

 

 항공이용 시 발생한 피해는 항공사, 한국소비자원(☏1372), 공항공사, 국토교통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문의 또는 접수할 수 있으며,

 

  - 항공사와 상호협의를 통한 합의,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등을 통해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

 

 국토교통부 심지영 항공산업과장은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항공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만큼, 「2021 항공교통서비스 보고서」가 항공교통이용자들의 항공사 선택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항공사 정시율, 항공서비스 이용 시 정보제공 강화, 시의적절한 서비스 정보 공개 등 항공교통이용자 서비스 제고에 주안점을 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