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농식품부, 추석 장바구니 물가 안정 총력 대응

- 성수품 역대 최대 144천톤(평시 대비 1.5배 확대) 공급 -

- 농축산물 할인쿠폰 지원규모 확대(월 90억 원 → 최대 450) -

1. 성수품 수급 동향 및 전망

 

  설 명절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농축산물 물가는 노지채소류 생산량 감소, 축산물 수요 증가 등 영향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 농산물(전년동월비, %): (’22.3) △3.8 → (4) △1.5 → (5) △0.6 → (6) 1.6 → (7) 8.5, 전월비 6.8

   * 축산물(전년동월비, %): (’22.3) 7.6 → (4) 7.1 → (5) 12.1 → (6) 10.3 → (7) 6.5, 전월비 △2.4

 

  추석 명절 수요 대비 과일류 및 축산물 공급은 양호하나 배추․무 등 채소류는 생산량 감소 및 기상 여건에 따라 수급상황이 유동적이다.

 

  첫째, 과일류는 공급 여건이 양호하나, 채소류는 생산량 감소, 기상 여건에 따라 수급 변동성이 잠재되어 있다.

 

  (배추․무) 생산량 감소 및 장마‧고온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 영향으로 가격은 평년보다 높은 수준이다. 8~9월 생산되는 여름배추‧무 재배면적 감소 및 고온 등에 따른 생산량 변동 가능성 등으로 가격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배추 생산량: (봄배추) 217천톤(평년비 12.0%↓), (여름배추) 409천톤(평년비 3.8%↓)

   * 무 생산량: (봄무) 95천톤(평년비 22.1%↓), (여름무) 242천톤(평년비 2.0%↓)

   * 재배면적: (여름배추) 5,317ha(평년비 0.3%↓), (여름무) 2,650ha(평년비 3.0%↓)

 

* 배추(도매) : (6월) 2,895원/포기 → (7월) 4,720 → (8.상) 4,,668 (평년비 28.0%↑, 전년비 36.0%↑)

* 무  (도매) : (6월) 1,387원/개 → (7월) 1,884 → (8.상) 2,201 (평년비 46.6%↑, 전년비 58.5%↑)

 

  (사과․배) 현재 햇과일(사과 아오리, 배 원황)이 수확되고 있으나 출하 초기로 물량이 많지 않아 사과 가격은 다소 높은 편이고 배는 낮은 시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기상 조건이 양호하여 추석 수요량 공급은 충분하고, 가격도 8월 중순 이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나, 이른 추석 영향으로 크기‧색택 등이 양호한 상품(上品) 비율이 낮아져 상품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 추석 성수기 출하가능물량(전망): (사과-홍로) 70~75천톤(수요량 60천톤 대비 16~25%↑)
(배) 65~70천톤(수요량 56천톤 대비 16~26%↑)

 

* 사과(도매) : (6월) 34,202원/10kg → (7월) 34,039 → (8.상) 32,173 (평년비 15.5%↑, 전년비 31.1%↑)

* 배  (도매) : (6월) 62,750원/15kg → (7월) 52,786 → (8.상) 43,800 (평년비 16.9%↓, 전년비 43.5%↓)

 

 (양파․마늘) 양파 중만생종 및 마늘 생산 감소 영향으로 가격은 전‧평년보다 높은 수준이다. 양파는 8월 이후 저장물량 출하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마늘은 산지 거래가격이 평년 대비 높음에 따라 깐마늘 가격도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생산량(7.20.통계청): (중만생양파) 1,042천톤(평년비 15.6%↓), (마늘) 273천톤(평년비 18.1%↓)

   * 마늘 산지 거래가격(8.9.): 5,078원/kg(평년비 33.4%↑, 전년비 3.0%↑)

 

* 양파(도매) : (6월) 1,343원/kg → (7월) 1,356 → (8.상) 1,432(평년비 53.4%↑, 전년비 57.0%↑)

* 깐마늘(도매) : (6월) 8,773원/kg→ (7월) 8,779 → (8.상) 8,636(평년비 37.1%↑, 전년비 6.7%↑)

 

  (감자) 노지봄감자(5~7월 출하) 생산이 감소(평년비 19%↓, 30.9만 톤)하여 가격이 높은 수준이다. 고랭지감자(8~11월 출하)는 현재까지 작황이 양호한 상황이나, 생산 감소 등 영향으로 가격 강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 감자(도매) : (6월) 35,775원/20kg → (7월) 33,881 → (8.상) 36,907 (평년비 27.5%↑, 전년비 30.6%↑)

 

  둘째, 축산물은 사육 마릿수 증가 등으로 성수기 공급 여력은 충분한 상황이다.

 

  (소고기․돼지고기) 사육마릿수 증가 등으로 공급 여력은 충분하나 소비 증가, 사료비 상승 및 수입육 가격 동향 등이 수급의 주요 변수이다. 8월 도축 마릿수 증가 등 공급여력이 충분하여 도매가격은 전년 수준(돼지) 또는 전년보다 낮은 수준(한우)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사육마릿수(’22.6월기준, 통계청): (한우) 367만(전년비 3.0%↑), (돼지) 1,117만(전년비 0.1%↑)

   * [한우] 도축마릿수(7월): (평년) 5.6만마리, (’21) 5.6 → (‘22) 6.2 (평년비 11.1%↑, 전년비 10.5%↑)
[돼지] 도축마릿수(7월) : (평년) 137.1만마리, (’21) 134.7 → (‘22) 130.8 (평년비 4.6%↓, 전년비 2.9%↓)

   * 8월 도축: 〔한우〕 (평년) 68.6천마리, (`21) 75.1 → (`22p) 102.4 (전년비 36.5%↑)
〔돼지〕 (평년) 135.6천마리, (`21) 141.5 → (`22p) 147.4 (전년비 4.2%↑)

 

* 소고기(도매) : (6월) 19,644원/kg → (7월) 19,086 → (8.상) 19,614 (평년비 3.5%↑, 전년비 10.4%↓)

* 돼지고기(도매) : (6월) 5,861원/kg → (7월) 5,613 → (8.상) 5,599 (평년비 19.0%↑, 전년비 9.6%↑)

 

 (닭고기‧계란) 닭고기는 사료비 등 생산비 상승에 따른 도축마릿수 감소 등으로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고, 계란은 공급 안정으로 가격은 약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닭고기는 계열업체 입식 감소, 7~8월 수요 증가 및 폭염 등에 따른 생산성 감소 등 영향으로 가격 강세를 보이다 9월 이후 약보합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계란은 안정적 공급 지속으로 추석 성수기(추석 전 4주) 가격 약보합세가 예상되나, 사료가격 강세 등 영향으로 가격 하락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 평년 도매가격(원/kg): (연평균) 2,664, (6월) 2,346 → (7월) 2,849 → (8월) 2,728 → (9월) 2,543

   * 추석 성수기 일일 계란공급량은 약 4,550만개로 예상(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평년 계란생산량: (3.1.) 4,158만개/일 → (6.1.) 4,220 → (9.1.) 4,378 → (12.1.) 4,483

 

* 닭고기(도매) : (6월) 3,505원/kg → (7월) 3,732 → (8.상) 3,355(평년비 21.2%↑, 전년비 9.6%↑)

* 계란(산지) : (6월) 5,218원/30개 → (7월) 5,092 → (8.상) 4,999 (평년비 38.7%↑, 전년비 15.1%↓)

 

  셋째, 임산물은 저장물량이 충분하여 성수기 공급은 원활할 전망이다.

 

  (밤․대추․잣) 주산지 저장물량이 충분하고, 9월 초 햇밤·대추가 출하될 예정으로 추석 성수기 공급은 원활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격도 평년 수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밤 연간 생산량(46천톤) 중 조생종은 약 15%, 7천톤, 매년 8.25~9.10 수확

   * 저장물량: (밤) 1,040톤(전년비 1.8배), (대추) 154톤(전년비 1.7배), (잣) 297톤(전년비 1.5배)

 

* 밤(산지) : (6월) 2,500원/kg → (7월) 2,493 → (8.상) 2,508 (평년비 13.1↓, 전년비 24.7%↓)

* 대추(산지) : (6월) 11,330원/kg → (7월) 11,408 → (8.상) 11,536 (평년비 23.4%↑, 전년비 11.7%↑)

* 잣(산지) : (6월) 82,011원/kg → (7월) 81,273 → (8.상) 81,122 (평년비 29.0%↑, 전년비 9.9%↓)

 

2. 성수품 구매의향

 

  추석 성수품 구매 의향 조사(3,018명 대상 7.19.~ 7.25. 온라인 설문) 결과에 따르면, 올해 추석 귀성 의향은 44.8%로 지난해 추석의 26.6% 대비 큰 폭으로 상승(18.2%p)하였고, 올해 설의 34.9% 대비 약간 상승(9.9%p)하였다.

 

  또한 추석 성수품의 구매는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오프라인 구매방식에 대한 선호가 여전히 높으며, 선물꾸러미는 온라인 이용 의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2022년 추석 성수품 구매의향 조사 결과(붙임5) 참조

 

 

3.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

 

 

① 성수품 역대 최대 144천톤(평시 대비 1.5배, 추석 3주 전부터) 공급
품목별 특성에 따라 수요 집중 시기별 공급량 배분, 가격 안정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추석 물가 안정을 위해 명절 수요가 많은 14개 성수품*에 대하여 추석 3주 전인 8월 18일부터 정부 비축,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을 활용하여 평시 대비 1.5배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 (농산물) 배추·무·사과·배·마늘·양파·감자, (축산물)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계란, (임산물) 밤·대추·잣

   ** 농산물 2.2배, 축산물 1.3배, 임산물 3.1배, 144천 톤 공급(평시 95천 톤 比 51.3%↑)

 

  특히 사과․배 등 선물꾸러미 수요가 집중되는 추석 전 2주 차에 전체 공급량의 40.7%(58,848톤)를 집중 공급하고, 추석 전 3주 차에  31.4%(45,299톤), 추석 전 1주 차에 27.9%(40,334톤) 순으로 공급량을 배분하여 가격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14개 추석 성수품의 품목별 공급 계획은 다음과 같다.

 

 (배추·무) 정부 비축,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을 활용하여 추석 성수기에 집중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안정적 공급물량 확보를 위해 여름철 폭염·집중호우로 따른 고사·유실에 대비하여 예비묘를 준비(배추 150만 주, 농협)하고, 농가 기술지도(농촌진흥청), 약제 지원(25~50%, 농협·지자체) 등을 지속 추진(7~9월)할 계획이다.

 

배추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5,890톤 공급(평시 대비 1.6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2,170톤, D-2주 1,860톤, D-3주 1,860톤 공급

o 농협 계약재배 75천톤

o 농협 출하조절시설 2.6천톤

o 정부 비축 6천톤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4,940톤 공급(평시 대비 1.3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1,820톤, D-2주 1,560톤, D-3주 1,560톤 공급

o 농협 계약재배 70천톤

o 정부 비축 2천톤

 

 (사과·배) 농협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하여 제수용품, 선물꾸러미 등 유형별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석 전 2주 차에 집중 방출할 계획이다. 또한 조기 수확, 상품(上品) 확대를 위한 농가 기술지도, 폭염 예방, 생육 회복을 위한 탄산칼슘제‧영양제 지원 등 생육 관리 및 재해 대비 조치도 지속 추진(7.11.~9.8.)할 계획이다.

 

사과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4,000톤 공급(평시 대비 3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2주 8,400톤, D-1주 3,851톤, D-3주 1,749톤 공급

o 농협 계약재배 14천톤

▸ 선물세트 2,866톤(예정)

 * D-1주 860톤, D-2주 1,720톤, D-3주 287톤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2,000톤 공급(평시 대비 3.1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2주 7,200톤, D-1주 3,300톤, D-3주 1,500톤 공급

o 농협 계약출하 12천톤

▸ 선물세트 3,503톤(예정)

 * D-1주 1,051톤, D-2주 2,102톤, D-3주 350톤 

 

 ○ (양파·마늘) 추석 성수기에 정부 비축물량을 우선 방출하고, 생산 부족에 따른 2022년 하반기 수급 안정을 위해 양파 할당관세 적용(9.2만 톤, 50%→10), 마늘 TRQ 물량 증량(1.4만 톤→2.4)도 추진할 계획이다.

 

양파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3,000톤 공급(평시 대비 1.9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1,200톤, D-2주 1,000톤, D-3주 800톤

o 정부 비축 20천톤

o 저율관세할당물량(이하 TRQ) 물량 4천톤

o 할당관세 물량 92천톤

 

마늘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300톤 공급(평시 대비 1.9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120톤, D-2주 100톤, D-3주 80톤 공급

o 정부 비축 6천톤

o TRQ 물량 20천톤

 

  (감자) 추석 성수기에 노지봄감자 정부 비축물량과 농협 계약재배 물량을 우선 방출하고, 필요 시 수입 비축물량을 방출할 계획이다.

 

감자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4,700톤 공급(평시 대비 1.5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1,730톤, D-2주 1,500톤, D-3주 1,470톤 공급

o 정부 비축 1,440톤

o 농협 계약재배 2,560톤

o TRQ(호주산) 700톤

 

 (소고기·돼지고기) 농협 계통 출하 물량을 평시 대비 소는 30~40%, 돼지는 20% 확대하고, 돼지(84만 마리)와 한우 암소(4만 마리)에 대한 도축수수료 지원* 및 도축장 휴일·주말 정상 운영(8~9월) 등을 통해 국내산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수입산 할당관세 적용 물량(소고기 10만 톤, 돼지고기 7만 톤)도 신속히 도입할 계획이다.

 

   * 8.22.~9.8. 기간 중 돼지 1만 원/마리, 한우 암소 10만 원/마리 지원(총 130억 원)

 

소고기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21,000톤 공급(평시 대비 1.7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3주 9,430톤, D-2주 7,245톤, D-1주 4,325톤

o 농협 계통출하 7,500톤

o 도축장 일반 출하 13,500톤

 - 한우 암소 도축수수료 지원(10만 원/마리)

o 명절 전 주말․휴일 도축

 

돼지고기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61,222톤 공급(평시 대비 1.3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2주 24,489톤, D-3주 21,428톤, D-1주 15,305톤

o 농협 계통출하 3,391톤

o 도축장 일반 출하 57,831톤

 - 모든 돼지 도축수수료 지원(1만 원/마리)

o 명절 전 주말․휴일 도축

 

  (닭고기·계란) 닭고기는 계열업체의 출하량 확대를 유도하고, 계란은 양계농협 가공용 출하 물량을 시중 출하용으로 전환하여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안정적 공급물량 확보를 위해 폭염에 따른 생산성 감소 방지 대책*과 계열업체에 대한 추가 입식 협의 및 점검**도 지속 추진(6월 말~)할 계획이다. 또한 수입산 할당관세 적용 물량(닭고기 82,500톤, 계란가공품 6,720톤)도 신속히 도입할 계획이다.

 

   * 농가 대응요령 지도‧홍보(6.22~), 폭염 예방시설 지원(축사시설현대화, 금리 1%, 5년거치 10년 상환)

   ** 닭고기 수급조절협의회(7.6.), 육계 생산주령 한시적 해제(7.8.), 계열화사업 자금 지원(7.18, 300억 원)

 

닭고기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6,153톤 공급(평시 대비 1.3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5,077톤, D-2주 5,077톤, D-3주 4,615톤 공급

o 한국육계협회 회원사 물량 16,153톤

 

계란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035톤 공급(약 1,725만개, 평시 대비 1.2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414톤, D-2주 345톤, D-3주 345톤 공급

o 한국양계농협, 대전충남양계농협 공급 1,035톤

 

 

  (밤·대추·잣) 산림조합 수매 비축물량, 주산지 저장물량을 활용하여 성수기에 집중 공급할 계획이다.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60톤 공급(평시 대비 3.0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93톤, D-2주 67톤 공급

o 산림조합 수매물량 160톤

 * 주산지 비축물량 1,040톤

 * 비상상황시 산림조합 주산지 비축량 추가 수매 360톤 내외

 

대추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12톤 공급(평시 대비 10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7톤, D-2주 5톤 공급

o 산림조합 수매물량 12톤

 * 주산지 비축물량 154톤

 * 비상상황시 산림조합 주산지 비축량 추가 수매 24톤 내외

 

공급계획

활용 수단

o 0.12톤 공급(평시 대비 1.0배)

o 수요 집중도에 따라 D-1주 0.07톤, D-2주 0.05톤 공급

o 산림조합 수매물량 0.12톤

 * 주산지 비축물량 297톤

 

 

② 할인쿠폰 지원, 자조금 할인 판매 등 소비자 체감 물가 안정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소비자의 실질적인 물가 체감도를 낮추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농축수산물 할인대전”을 개최할 계획이다.

 

  행사기간(8.15.~9.12.) 내 농축산물 할인쿠폰 예산을 월 90억 원에서 최대 450억 원까지 확대하고, 14개 추석 성수품 및 물가부담 경감을 위해 필요한 품목을 추가로 선정하여 20~30% 할인할 계획이다.

 

   * 할인품목: [농축산물] 배추, 무, 사과, 배, 양파, 마늘, 감자, 소고기(설도, 양지), 돼지고기(삼겹·목살, 갈비, 앞다리), 닭고기, 계란, [임산물] 밤, 대추, 잣

 

  또한 할인행사별 1인당 할인 한도를 1만 원에서 2만 원(전통시장·로컬푸드 직매장은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행사 품목에 대한 유통업체 자체 할인(10~20% 추가)과 연계하여 할인 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추석 성수기 농축산물 할인쿠폰 행사에는 5개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지역농산물(로컬푸드) 직매장 25개, 전통시장 588개 등 전국 2,952개 유통업체가 명절 소비자물가 안정에 동참한다.

 

  또한 명절을 앞둔 소비자의 가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농․축협․산림조합과 한우․한돈자조금 등 생산자 단체가 주관하는 할인․특별기획전도 함께 추진한다.

 

  (농․축협) 제수용품, 과일·한우 선물꾸러미 등 5~40% 할인 판매

 

   * 농협경제지주 판매장(유통센터 등 67개소) 및 농·축협 하나로마트(2,215개)에서 성수품 할인 판매(8.26.~9.9. 15일간)

    * 과일 선물꾸러미 할인(8.22.~9.8. 하나로마트, 농협몰, 시중가 대비 10~20%↓)

 

  (직거래장터) 지역 농특산물 5~40% 할인 판매

 

   * 농협, 농업법인, 생활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지자체 등이 전국 시·구청, 공공장소 등에서 직거래 장터 운영(8.30.~9.10. 25개소)

 

  (산림조합, 한국임업진흥원)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임산물 할인행사 및 임산물 요리책 배포 등 맞춤형 소비활성화 유도

 

   * 산림조합중앙회 직거래장 활용 / 숲에서 자란 임산물 할인판매(8.26.~9.8. 10~20%↓)

   * 청정임산물 온·오프라인 특별기획전(제수용품, 임산물 선물꾸러미, 8.26.~9.8. 10~20%↓)

 

  (한우・한돈자조금) 한우 불고기・국거리, 돼지 삼겹 등 제수품 20~30% 내외 할인 판매

 

   * 한우·한돈 8.18.~9.8. 대형 유통업체 3사, 농협 하나로마트 등 참여

   * 자조금 할인: 행사기간 매출액의 5% 범위내 지원(자조금) → 대형마트 자체 할인(20% 이내)

 

 

③ 소비 정보 제공, 생산자-소비자 보호 강화

 

 

  농식품부는 성수품 가격 등 알뜰 소비정보를 제공하고, 유통질서 확립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보호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소비자들의 알뜰 소비를 돕기 위해 성수품 가격 및 선물꾸러미 구입비용에 대한 조사 결과*와 주변 장터 정보 등의 유용한 소비정보를 “농산물유통정보(www.kamis.or.kr)” 및 “바로정보(www.baroinfo.com)” 누리집과 라디오, 지역방송,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시로 제공한다.

 

   * (성수품) 8.18일, 8.25일, 9.1일 3차례, (선물꾸러미) 8.24일, 9.1일 2차례 조사 발표(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추석 성수기에 농축산물 부정유통 행위로 인해 농업인과 소비자가 피해를 받지 않도록 원산지․축산물이력관리 등 부정유통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이와 함께 포유류․가금류 도축장에 대한 특별 위생점검 및 제수․선물용 농축산물에 대한 안전성 특별조사도 실시한다.

 

   * 원산지‧축산물이력‧양곡·지리적표시 등 부정유통행위 특별 단속(’22.8.16~9.9. 25일간), 도축장 특별 위생점검(’22.8.16~9.8. 24일간), 농산물 안전성 조사(’22.8.8.~9.8. 32일간)

 

 

④「수급안정 대책반」구성, 성수품 수급상황 집중 관리

 

  농식품부는 추석 명절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추석 전 4주 차(8.16.)부터 농식품부차관을 대책반장으로 하는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반”을 구성하여 성수품 수급상황을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 대책반(4개 반): 총괄반(배추, 무, 마늘, 양파, 감자), 과일반(사과, 배), 축산물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임산물반(밤, 대추, 잣)

 

 대책 기간에 품목별 생육 상황, 비축 현황, 수입 동향 등 공급 상황과 도매 및 소비자가격 동향 등을 매일 점검하고, 장애요인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