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겨울 재배 멜론’ 온도, 빛 관리 철저히

- 이산화탄소로 광합성 효율 높이고, 밤 온도 14~18도 유지 -

 고급 과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멜론은 2000년대 이후 재배가 많이 늘어난* 작목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본격적인 추위**에 대비해 시설에서 재배하는 멜론의 생육 관리 요령을 제시했다.

 

 * 재배면적(ha): (’01) 792 → (’06) 1,401 → (’11) 1,425 → (’16) 1,498 → (’21) 1,510

** 12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을 것으로 예측: 기상청 날씨누리 장기전망-1개월 전망(11.17. 발표)

 

 경남 창원, 진주, 함안, 전남 나주 등 겨울철 시설 멜론 주 생산지인 남부지역에서는 밤 최저기온이 멜론의 생육 한계온도인 14도(℃) 이하로 떨어지는 때가 많다.

 

 멜론의 생장점이나 잎이 냉해를 받지 않게 하려면 온실(하우스) 비닐을 밀폐해 낮 온도는 30~35도(℃), 밤 온도는 14~18도(℃) 이상으로 관리해야 한다. 뿌리가 자라는 데 중요한 토양 온도는 낮과 밤 모두 최소한 16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밤에는 따로 보온덮개를 마련해 소형 비닐 터널 위에 한 번 더 덮어줘야 한다. 터널 안에 온도를 높이는 전열선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8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9pixel, 세로 465pixel

<멜론에 이산화탄소를
공급 중인 모습>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2)가 꼭 필요하다. 겨울에는 볕이 내리쬐는(일조) 시간이 짧고 오전에는 바깥 기온이 낮아 해가 떠도 환기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 온실 내부의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낮아지면 광합성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연소식 탄산가스(백등유, LPG)나 액화탄산가스 등 ‘탄산가스 공급 장치’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해야 한다.

 

 

 겨울철 멜론에 알맞은 이산화탄소 농도는 800~1,000ppm으로, 해가 뜬 뒤부터 12시까지 4시간가량 연속으로 공급한다. 기존 연구 결과, 멜론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면 아무 처리를 안 했을 때보다 수량이 10%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겨울에 재배하는 멜론의 광합성을 위해서는 아주심기를 할 때 심는 거리(재식거리)를 25~40cm 정도 간격으로 조절해 각 포기가 받는 빛의 양이 많아지도록 한다.

 

 멜론 재배와 관련된 최신 정보는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 ‘농업기술길잡이-멜론’ 편을 검색, 참고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이충근 소장은 “멜론은 딸기 등 다른 열매채소류와 달리 따뜻한 온도에서 생장이 왕성하다.”라며 “겨울철 상품성 있는 멜론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온도, 빛, 이산화탄소 등 온실 내부의 환경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