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11월 주택 통계 발표

[1] 미분양 주택

(미분양) ‘22.1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58,027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47,217호) 대비 22.9%(10,810호) 증가하였다.

(지역별) 수도권은 10,373호로 전월(7,612호) 대비 36.3%(2,761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47,654호로 전월(39,605호) 대비 20.3%(8,049호) 증가하였다.

(규모별)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6,003호로 전월(4,745호) 대비 26.5%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52,024호로 전월(42,472호) 대비 22.5% 증가하였다.

(준공 후 미분양) 7,110호로 전월(7,077호) 대비 0.5%(33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① 주택 매매거래량

(종합) ‘22.1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30,220건으로 집계되었다.

(11월) 전월(‘22.10월, 32,173건) 대비 6.1% 감소, 전년 동월(‘21.11월, 67,159건) 대비 55.0% 감소하였다.

(11월 누계) 480,187건으로 전년 동기(961,397건) 대비 50.1% 감소하였다.

* 연도별 11월 누계(만건):(‘18)80.1→(‘19)68.7→(‘20)113.9→(‘21)96.1→(‘22)48.0


(지역별) 수도권(11,428건)은 전월 대비 5.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6.7% 감소, 지방(18,792건)은 전월 대비 6.4%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3.9% 감소하였다.

(11월 누계) 수도권(190,587건)은 전년 동기 대비 58.4% 감소, 지방(289,600건)은 42.5% 감소하였다.

(유형별) 아파트(18,275건)는 전월 대비 1.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5.6% 감소, 아파트 외(11,945건)는 전월 대비 12.2%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4.1% 감소하였다.

(11월 누계) 아파트 거래량(280,359건)은 전년 동기 대비 56.1% 감소, 아파트 외(199,828건)는 38.1% 감소하였다.

② 전월세 거래량

(종합)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11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03,420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닌 계약의 경우 종전 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4.2만 건 + 확정일자 6.1만 건


(11월) 전월(204,403건) 대비 0.5% 감소, 전년 동월(192,990건) 대비 5.4% 증가하였다.

* 연도별 11월 거래량(만건) :(‘18)15.2→(‘19)15.3→(‘20)17.4→(‘21)19.3→(‘22)20.3


(11월 누계) 2,621,989건으로, 전년 동기(2,136,182건) 대비 22.7% 증가 하였다.

* 연도별 11월 누계(만건) : (‘18)168.8→(‘19)178.8→(‘20)200.6→(‘21)213.6→(‘22)262.2


(지역별) 수도권(135,910건)은 전월 대비 1.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 지방(67,510건)은 전월 대비 2.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하였다.

(유형별) 아파트(102,245건)는 전월 대비 0.3% 감소,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 아파트 외(101,175건)는 전월 대비 0.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2.7% 증가하였다.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97,242건)은 전월 대비 1.2% 감소, 전년 동월 대비 8.6% 감소하였다.

월세 거래량*(106,178건, 보증부월세·반전세 등 포함)은 전월 대비 0.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2.6% 증가하였다.

‘22.11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51.8%로 전년 동월(43.3%) 대비 8.5%p 증가하였다.

* 연도별 11월 누계(%) : (‘18)40.4→(‘19)40.1→(‘20)40.5→(‘21)43.3→(‘22)51.8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유의사항) ’21년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전월세거래량 시계열 데이터(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평균比) 사용에 유의할 필요


[3] 주택 건설실적

① 인허가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11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467,036호로 전년 동기 대비(448,092호) 4.2% 증가하였다.

(지역별) 수도권은 167,26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6.5% 감소, 지방은 299,776호로 전년 동기 대비 35.9% 증가하였다.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79,1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87,894호로 전년 동기 대비 19.3% 감소하였다.

② 착공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11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358,098호로 전년 동기 대비(501,878호) 28.6% 감소하였다.

(지역별) 수도권은 173,356호로 전년 동기 대비 30.5% 감소, 지방은 184,7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6.8% 감소하였다.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278,566호로 전년 동기 대비 27.6%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79,532호로 전년 동기 대비 32.1% 감소하였다.

③ 분양(승인) 실적

* 공동주택 대상(주택법상 입주자모집 승인 대상)


(종합) 11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260,641호로 전년 동기 대비(289,022호) 9.8% 감소하였다.

(지역별) 수도권은 118,936호로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 지방은 141,705호로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하였다.

(유형별) 일반분양은 202,217호로 전년 동기 대비 7.7% 감소, 임대주택은 23,4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33.8% 감소, 조합원분은 34,982호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였다.

④ 준공(입주)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11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61,056호로 전년 동기 대비(356,036호) 1.4% 증가하였다.

(지역별) 수도권은 198,89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 지방은 162,162호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하였다.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278,382호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82,674호로 전년 동기 대비 7.0% 감소하였다.


농업

더보기
더위에도 푸른 생기 가득 ‘열대풍 화단 전시회
이색 열대식물로 꾸민 여름 화단을 둘러보며 무더위를 식힐 수 있는 청량한 전시회가 열린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9월 9~21일까지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월요일 휴원)에서 ‘열대식물의 유혹, 색(色)과 선(線)’ 전시회를 연다고 밝혔다. 지난해 ‘색(色)’ 전시에 ‘선(線)’이라는 주제를 더해 화려하면서도 모양이 대담한 40여 종 열대 꽃식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이번에 선보이는 식물은 전국 24곳 현장 실증에서 아름다움과 적응성을 확인했다. 칸나, 콜레우스, 관상용 고구마는 고온에 강하고 싱그러운 느낌이 일품이다. 열대 지역 원산인 야자류, 파초류, 천남성과 식물은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잘 자라 풍성한 느낌을 풍긴다. 열대풍 화단을 꾸밀 때, 뒤쪽부터 ‘중심 꽃-모양 꽃-무늬잎 꽃-덩굴 꽃’ 순서로 식물을 배치해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한껏 살렸다. ‘색(色)’이 주제인 화단‧화분에는 △중심 꽃으로 키가 크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칸나 △모양 꽃으로 화려한 꽃베고니아 △무늬잎 꽃으로 콜레우스 △덩굴 꽃으로 관상용 고구마를 심어 눈을 즐겁게 한다. ‘선(線)’ 화단‧화분은 △중심 꽃으로 야자류와 파초류 △모양 꽃으로 드라세나 △무늬잎 꽃으로 디펜바키아 △

축산

더보기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