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한우고기 부위, 등급에 따라 유통채널별 가격 최대 약 3배까지 차이나

사단법인 소비자공익네트워크(회장 김연화)는 2023년 7월 11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 총 120개 매장(40개 대형유통업체, 40개 식육판매장, 40개 식육식당)에서 한우 등심, 안심, 채끝, 국거리, 불고기, 찜갈비 이상 6개 부위를 대상으로 등급별 소비자가격을 조사하였다.

 

 이번 보도자료는 소비자 선호가 높은 주요 부위·등급별 가격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되었으며, 당일 할인가격을 포함하여 조사됐다.

 

 2023년 4월과 7월 등심(1등급, 100g) 평균가격을 비교한 결과 ▶도매가격의 경우 4월에는 5,083원, 7월에는 5,293원으로 210원(↑4.13%) 상승에 불과하였으나, ▶대형유통업체 소비자가격의 경우 4월에는 9,429원, 7월에는 10,087원으로 658원(↑6.98%) 상승했고, ▶식육판매장 소비자가격 조사 결과 4월에는 9,165원, 7월에는 9,645원으로 480원(↑5.24%) 상승했다. ▶식육식당 소비자가격의 경우 4월에는 17,067원, 7월에는 19,863원으로 2,796원(↑16.3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모든 유통채널에서 도매가격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표1 참조)

 

  * 식육식당은 4월 대비 7월 가격 상승폭이 가장 컸지만, 식당마다 서비스가 다르고 동일 장소를 조사하여 비교한 데이터가 아님을 감안해야 함

 

[표1] 등심(1등급) 도매․소비자 평균가격(100g/원)

 

구분

2023년

B-A

B/A

(%)

1월

4월(A)

7월(B)

도매가격

5,447

5,083

5,293

210

+4.13

소비자가격

대형유통업체

10,500

9,429

10,087

658

+6.98

식육판매장

9,842

9,165

9,645

480

+5.24

식육식당

20,917

17,067

19,863

2,796

+16.38

 

 유통채널별 각 부위의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작게는 1.7배에서 많게는 4.8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식육식당의 가격 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형유통업체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6,990원) 대비 최저가(10,000원) 약 1.7배(6,990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7,380원) 대비 최저가(9,990원) 약 1.7배(7,390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19,590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1.8배(8,59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1 참조)

 

  - 식육판매장(정육점)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7,480원) 대비 최저가(6,900원) 약 2.5배(10,580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25,000원) 대비 최저가(9,800원) 약 2.6배(15,200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23,000원) 대비 최저가(9,900원) 약 2.3배(13,10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2 참조)

 

  - 식육식당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47,333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4.3배(36,333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52,666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4.8배(41,666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32,000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2.9배(21,00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3 참조)

 

  * 식육식당은 가격 차이가 최대 4배 이상이었으나 식당마다 서비스가 다르고 동일 장소를 조사하여 비교한 데이터가 아님을 감안해야 함

 

 

[표2] 2023년 7월 유통업체별 등심 등급별 평균최고최저가격(100g/원)

 

구분

1++

1+

1

대형유통업체

평균가격

14,195

12,298

10,087

최고가(A)

16,990

15,500

11,990

최저가(B)

10,000

9,300

6,228

차이(A-B)

6,990

6,200

5,762

식육판매장

평균가격

13,996

12,253

9,645

최고가(A)

17,000

17,480

9,980

최저가(B)

11,000

6,900

8,900

차이(A-B)

6,000

10,580

1,080

식육식당

평균가격

24,050

23,550

19,863

최고가(A)

47,333

31,330

30,000

최저가(B)

11,000

11,800

12,250

차이(A-B)

36,333

19,530

17,750

 

 이번 조사 결과 한우고기 도매가격 변화가 소비자가격에도 어느정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통업체별 부위등급의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차이가 아직 크기에 소비자는 여전히 한우고기가 비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한우고기 소비촉진 및 소비자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는 안정적 공급과 합리적 가격 형성에 적극 노력해야 하고, 생산가공유통업체는 경영 혁신을 통한 고품질 한우고기 공급과 안정적이고 합리적 가격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소비자는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소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지속적인 가격 모니터링 및 정확한 정보 전달과 한우시장의 안정화로 소비자가 합리적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힘쓸 것이다.

 


농업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 … 미래 세대와 친환경 가치 나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12일, 당진시‘대주 농장’에서 학교 급식 관계자, 학부모 지킴이, 정책 관계자들과 함께하는‘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도입 배경 설명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 생산 과정 견학 △저탄소 축산물 학교 급식 확대를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해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지난해 저탄소 인증을 받은 대주농장에서 탄소 감축 기술과 분뇨 악취 저감 시설 등을 살펴보고,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를 현장에서 시식하는 등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급식에 사용하는 지자체는 △아산시 △천안시 △논산시이며 하반기까지 △부여군 △홍성군 △세종시 △경기도까지 확대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와 ‘저탄소 급식데이’를 시범 운영하고 미래 세대에게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필요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나누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급식에서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접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세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