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1 (화)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8.0℃
  • 연무서울 5.2℃
  • 연무대전 7.8℃
  • 맑음대구 9.0℃
  • 연무울산 9.0℃
  • 맑음광주 8.5℃
  • 연무부산 10.1℃
  • 맑음고창 5.9℃
  • 맑음제주 10.4℃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6.2℃
  • 맑음금산 6.9℃
  • 맑음강진군 9.1℃
  • 맑음경주시 8.6℃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세계 곡물 시장동향 및 정부 대응 방안

- 2024/2025년 세계 주요 곡물 예상 생산량은 29억 67백만톤으로 전년대비 1.3% 증가, 기말재고량은 8억 70백만톤으로 전년대비 1.5% 증가 전망

- 정부는 업계와 소통 강화, 전문가 협의체를 통해 시장 모니터링 강화 및 적정 재고 확보로 선제적으로 대비 중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브라질 홍수, 라니냐 등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슈 등을 감안하여 국제 곡물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조기경보시스템 운영, 적정재고 확보 등을 통해 수급 불안 요인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농무부에 의하면 2024/2025년 밀, 콩 등 세계 주요곡물 예상 생산량은 29억 67백만톤으로 전년대비 1.3%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기말 재고량은 8억 70백만톤으로 전년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세계 주요 곡물 수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업계는 재고 3개월분 계약 완료분까지 포함하면 6개월분의 원료를 확보하고 있다.

 

  세계 밀, 콩, 옥수수의 시카고선물가격(5월 8일자 기준)은 전년대비 모두 낮은 상황(밀 △0.7%, 콩 △12.5%, 옥수수 △26.9%)이다.

 

《선물가격 추세(시카고 선물거래소, 단위 : $/톤)》

 

구분

평년

2023년

5월

평균

2024년

등락률(%)

‘24.4월

(전월)

4.29주간

(전주)

5.7.

(전일)

5.8.

전일

대비

전주

대비

전월

대비

전년

대비

226

228

208

217

230

226

△1.4

4.3

8.8

△0.7

466

509

428

430

453

446

△1.6

3.5

4.1

△12.5

옥수수

222

240

171

175

179

175

△1.8

0.2

2.6

△26.9

 

 

  브라질 2위 대두생산지역인 리오그란두술주(州)에서 4월 29일부터 3일간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피해로 대두 수확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피해규모는 파악중이나, 예상 피해규모는 200~500만톤 정도로 세계 콩 생산량의 0.5~1.3% 수준이다. 홍수 발생 이후 콩 선물가격이 일시 상승하기도 하였으나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이며 근래 다시 하락추세를 보이는 등 홍수 피해가 콩 수급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인다.

 

   * 콩 선물가격($/톤, 시카고선물거래소): (4.22주간) 427 → (4.29.) 427 → (5.6.) 454 → (5.7.) 453 → (5.8.) 446(전주대비 3.5%↑, 평년대비 4.4%↓)

 

  국내 수급 영향은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업계의 주요 곡물 구매가 완료되어 수급은 안정적인 상황이며, 2023년 하반기 구입물량이 도입되고 있어 하락세가 반영되면서 밀, 콩, 옥수수 수입가격도 하락추세에 있다.

 

   * 수입가격($/톤):  (밀(제분용) 평년4월 334 → ’22.9월 496(최고치) → ’24.4월 3주 336(평년대비 △0.6%)

                  (대두채유용) 평년4월 521 → ’22.9월 749(최고치) → ’24.4월 3주 582(평년대비 11.7%)

  (옥수수(사료용)  평년4월 263 → ’22.7월 449(최고치) → ’24.4월 3주 257(평년대비 △2.3%)

 

  정부는 제분협회, 전분당협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료협회 등 업계와 소통하면서 적정 재고물량 확보와 국제곡물가격 특이사항을 점검하고, 농촌경제연구원과 협력하여 업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회의를 통해 매월 국제곡물 수급현황 및 전망을 점검하고 있다. 전문가는 계절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는 웨더마켓 기간*(4~8월)에 진입하며 기상여건 등에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인 세계 수요·공급 상황이 안정적인 점 등을 고려할 때 큰 폭의 가격상승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 웨더마켓(Weather Market): 북반구 대두·옥수수 파종이 시작되는 4월부터 생육기인 초여름까지를 일컬음. 이 시기는 기상 및 파종·생육 상황에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곡물 시장 위험 요인을 지속 모니터링하여 위험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업계와 협력하여 적정 재고물량 확보 및 안정적인 해외 공급망 구축을 통해 국제곡물 수급 위기에 대응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안정적인 해외 공급망 구축을 위하여 민간 기업 대상 현지 해외 곡물 유통망 확보에 대한 지원(500억원 융자, 이율 1.5%)도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농업

더보기
농식품 창업기업의 미래를 여는 기회! 2025년 농식품 벤처창업활성화 지원기업 모집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5년 농식품 벤처창업활성화 지원을 위해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사업」 및 「민간투자기반 스케일업 지원사업」 참여 (예비)기업을 1월 20일(월)부터 모집한다. 「농식품 벤처육성지원사업」은 농식품 및 농산업 분야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와 우수 기술을 보유한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예비창업자 40팀과 창업 5년 이내 기업 120개, 창업 7년 이내 첨단기술(스마트농업, 그린바이오 분야) 기업 30개를 신규로 선발하여, 예비창업자에게는 팀 당 최대 1,430만원(자부담 30%포함), 창업기업은 기업 당 3,000만원에서 최대 6,000만원(자부담 30%포함), 첨단기술기업은 기업 당 3억원(자부담 30%포함)을 지원한다. 「민간투자기반 스케일업 지원사업」은 우수기술과 참신한 생각(아이디어)으로 사업화에 성공한 농식품 분야 창업기업의 도약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민간투자사로부터 투자·추천을 받은 우수기업(스케일업)에 최대 5억원의 사업화자금을 지원하며, 15개 기업 내외로 선발한다.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사업」과 「민간투자기반 스케일업 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은 농식품벤처창업센터 등을 통해 사업화 지원금과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겨울의 낭만이 있는 가족 휴양명소, 국립자연휴양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21일 전국 46개 국립자연휴양림이 겨울철 휴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자연휴양림은 전국에 46개가 있으며, 휴양림별로 독립 숙박 공간인 숲속의집과 단체가 이용하기 좋은 산림휴양관, 텐트 없이 야영할 수 있는 캐빈하우스, 반려견을 동반할 수 있는 야영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립자연휴양림은 면적과 이용 가능 인원수에 따라 객실은 주중 36,000원, 주말 60,000원부터 이용할 수 있고, 야영장의 경우 주중 10,000원, 주말 11,000원부터 이용 가능하다. 국가보훈대상자, 장애인, 다자녀 가구, 지역주민 등에 대하여는 10~50%까지 시설 이용요금을 감면하며, 숲나들e를 통해 예약하여 이용하면 된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오래된 휴양림 객실을 새롭게 단장해 재개장하고, 위생복합시설(화장실, 샤워장, 취사장)을 개선하며, 최근 추세에 따라 야영데크의 크기를 확대하고 데크 간 간격을 넓히는 등 쾌적한 산림 휴양공간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이용객에게 고품질 산림휴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후시설을 현대화하고 다양한 산림문화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