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중·북부 지역 벼 수발아, 이렇게 대응해요

- 중·북부 수발아 대응 벼 조생종 ‘해들’, 중생종 ‘해강’, ‘나들미’ 추천
- 모내는 시기 늦추고 이삭 여문 뒤 비 예보 잦으면 조금 일찍 수확
- 수발아 발생 줄이는 품종·재배 기술 교육 지속 추진
- 기존 품종·육성 계통으로 수발아 검정시험 확대 적용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수발아에 대응하기 위해 ‘해들’·‘나들미’ 등의 보급을 늘리고 농업인 대상 안전 재배 기술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년 우리나라 벼 재배기간(5~10월) 평균기온은 평년(2014∼2023년)보다 1.7도(℃) 높았고, 평균 강수량도 0.8mm 증가했다. 특히 이삭이 여무는 시기인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의 평균기온이 3.7도 상승*하면서 벼 알곡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 피해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8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의 일평균 기온(2014년: 20.6℃, 2024년 24.3℃, 수원기상지청 데이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5cbda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2pixel, 세로 41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9pixel, 세로 606pixel

수발아에 강하고 밥맛 우수한 ‘해들’

강원특별자치도 기존 품종 수발아 피해

 특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지역에서 이삭이 여무는 시기에 비 오는 날이 길어지고 강수량도 증가하면서 전체 벼 재배면적(7,557ha) 가운데 수발아 피해가 약 17~22%에 달했다.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수발아 피해 면적(ha): (2021) 1,300 (2023) 1,698 (2024) 1,362

 

 이에 농촌진흥청은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및 강릉, 양양, 속초, 고성 지자체와 협력해 2년간 적응성 시험을 거쳐 2023년 동해안 지역에 적합한 수발아 안정성 품종으로 조생종 ‘해들’을 선정*했다. 이어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등 종자생산 기관과 협력해 ‘해들’을 국가 보급종으로 편입하고, 동해안 지역에 신속히 보급했다. 그 결과, 2024년 수발아에 약한 기존 품종의 60%(1,180ha)를 ‘해들’로 대체했다.

 * 식량원-센터고성 현지 수발아 검정시험(’22~‘23) 수발아율(%) 결과: (‘해들’) 1, (기존 품종) 8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66pixel, 세로 1125pixel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중·북부지역에 잘 적응하고 밥맛도 우수한 밥쌀용 품종 중에서 상대적으로 수발아에 강한 품종인 조생종 ‘해들’(2017)과 중생종 ‘해강’(2023), ‘나들미’(2021) 등을 개발해 보급 중이다. 더불어 새해농업인실용교육 등을 통해 수발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품종과 재배 기술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해들’은 고품질 조생종 벼로 밥맛이 우수하며, ‘해강’은 병해충에 강하고 재배 안정성을 갖춘 품종이다. ‘나들미’는 인천시 강화군과 농촌진흥청이 ‘수요자 참여형 품종개발 연구’*를 통해 개발한 품종으로, 밥맛과 완전미 도정수율이 우수하며 병에 강하다.

*‘수요자 참여형 품종개발 연구(SPP)’: 지역 기관과 생산자(농업인), 유통업자, 지역주민, 소비자 등과 함께 참여해 품종을 개발하는 현장 중심 연구

 

 올해 종자 분양 신청은 마감됐고, 내년 1월 국립식량과학원 정기 종자 분양을 통해 종자를 신청할 수 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수발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재배 기술도 병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표준비료량 지키기*= 각 지역 토양을 고려하여 표준비료량*을 준수하고, 이삭거름을 지나치게 많이 주지 않는다. ▲모내기 늦추기= 벼 이삭 여무는 시기, 고온을 피하려면 모내는 시기를 10~15일 정도 늦추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난해 강릉지역에서 동일 품종을 5월 10일에 모내기한 것보다 5월 20일 이후에 했을 때 수발아 발생률이 60배 감소**했다. ▲수확시기= 이삭이 여문 후 비 예보가 잦아질 경우, 비 오는 날을 피해 조금 일찍 수확하는 것도 수발아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재배지역 표준비료량(질소-인산-칼리 ㎏/1000㎡): 중부, 호남, 영남평야(9-4.5-5.7), 북부평야 및 중산간지(10-6.4-7.8). 동남부해안(9-4.5-5.7), 서남부해안(11-5.1-5.7)

 ** 모내기 시기에 따른 수발아 피해율(%): (5.10) 12.9% (5.20) 0.2% (60배 상승)

 

 농촌진흥청은 올해 중·북부 지역 도 농업기술원 및 시군센터와 협력해 수발아에 강한 중생종 품종을 홍보하고 시범 재배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품종과 육성 계통을 대상으로 정밀한 수발아 검정시험을 실시, 기후변화에 따른 벼 수발아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중북부작물연구센터 이병규 센터장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라 벼 수발아 발생 비율이 점차 늘고 있다.”라며, “수발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저항성을 갖춘 신품종 보급을 확대하고 재배 기술 교육에도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인삼, 약용작물’ 집중호우 피해 치명적…예방 철저
농촌진흥청은 최근 장마철마다 자주 나타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삼과 약용작물 재배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철저한 정비와 병 예방을 당부했다. 우리나라는 6~8월에 전체 강수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비가 집중해서 내린다. 장마 기간에 국지성 폭우가 내리면 인삼과 약용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재배지가 유실되는 등의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인삼은 습기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장기간 비가 내리면 지상부가 시들고 잎이 일찍 떨어진다. 뿌리의 경우 털이 탈락하거나 전체적으로 부패해 싹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뿌리를 약재로 쓰는 황기, 지황, 천궁도 침수에 취약해 물 빠짐이 좋지 않은 밭에 오래 두면 시듦 증상과 뿌리 부패 관련 병 등이 확산하게 된다. 특히, 침수 피해를 본 식물체는 잎 표면에 앙금과 오물이 쌓여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잎이 데쳐진 듯 물러져 시듦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 번 물에 잠긴 인삼과 약용작물은 회복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가에서는 재배지 물길을 정비하고 자동 양수기를 설치해 대비한다. 인삼은 6시간 이상 침수되면 뿌리 부패 정도를 판단해 조기 수확을 고려해야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편하게 집보신하세요” 하림 더미식, 여름철 보양식 삼계탕 2종 출시
올 여름 역대급 더위가 예고된 가운데,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림이 국물요리 제품을 앞세워 여름철 보양식 시장 공략에 나섰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간편식 브랜드 ‘The미식(더미식)’은 여름 보양식의 대표 메뉴인 삼계탕 2종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제품은 ‘삼계탕’과 ‘닭다리 삼계탕’으로 100% 국내산 신선한 닭을 사용했으며, 더미식만의 차별화된 조리 기술로 맛을 한층 끌어올렸다. 끓이기 전 닭고기를 한 번 쪄내는 ‘자숙’ 공정을 통해 기름기를 제거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국물 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삼계탕’은 45호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사용했으며, 얼리지 않은 냉장육으로 닭고기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생강, 양파, 마늘 등을 넣고 정성껏 4시간 이상 고아낸 육수에 국내산 수삼, 밤, 잣, 은행, 찹쌀 등을 더해 깊은 풍미와 풍부한 식감을 살렸다. ‘닭다리 삼계탕’은 큼직한 통닭다리만을 사용해 한 마리 삼계탕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삼계탕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아낸 국물에 찹쌀을 듬뿍 넣어 구수한 맛을 더했다. 더미식 삼계탕 2종은 상온 파우치 형태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며, 각 900g,

산림

더보기
동부산림청,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여름철 산간 계곡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림오염 및 훼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기간(2025. 7. 1.∼ 8. 31.)”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점단속 대상은 산림 내 취사, 오물·쓰레기 투기, 무허가 물놀이 시설 등 불법 시설물 설치, 산림 무단점유 등 여름철 다수 발생하는 산림 내 불법행위로 동부지방산림청 및 소속 7개 국유림관리소 산림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효과적인 단속을 위하여 산림 드론도 투입할 계획이다. 단속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산림 내 취사, 흡연 등에 대해서는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동부지방산림청은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을 실시하여 임산물 불법채취 등 29명을 입건하였으며, 110명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산림 내 불법행위로 인해 산을 찾는 휴양객들이 즐거움을 잊지 않도록 단속을 엄중히 실시하여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며, “올바른 산림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