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 수확 시기 늦은 만생종 ‘추희’, 폭염 지속 시 육질 퍼석해지고 내부 갈변
- 햇빛차단망 설치, 미세살수 가동… 조기 수확으로 피해 최소화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6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64pixel, 세로 244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6년 09월 13일 오후 2:59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G906S 프로그램 이름 : G906SKSU1CPF3 F-스톱 : 2.2 노출 시간 : 1/30초 ISO 감도 : 125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31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e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6pixel, 세로 430pixel

만생종 ‘추희’

생리장해(바람들이)

생리장해(내부갈변)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경우, 한낮에 가동하면 열매 데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온이 떨어진 저녁에 가동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수원에 풀을 기르면(초생재배) 토양 온도 상승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적정 관수량: 주2∼3회, 20∼30mm/1회, 고온 지속 시 18시, 20시경 미세살수

 

 아울러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겉으로 수확 시기를 판단하지 말고 경도(단단한 정도)를 확인해 말랑해지면 수확해야 한다. 또한, 성숙기에 열매 안 상태를 수시로 관찰해 바람들이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내부 갈변으로 진행되기 전 일찍 수확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기초기반과 윤수현 과장은 “올해 과수 주산지 폭염 누적 발생일은 22.2일로 최근 5년(11.4일) 대비 10.8일 더 많아 뜨거운 여름이 지속되고 있다.”라며 “자두 농가에서는 고온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국산 로봇착유기’ 대만 수출 … 세계 시장 진출 발판
국산 로봇착유기가 아시아 수출길에 올랐다. 농촌진흥청은 민간기업 ㈜다운과 공동 개발한 '데어리봇(Dairy Bot)' 7대를 대만에 수출하며, 아시아 낙농 시장 본격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출은 국내외 박람회 참가, 기술 홍보, 제품 실증 등 다각적인 현장 활동을 통해 국제 무대에서 우리 낙농 기술에 대한 신뢰를 쌓은 결과다. 특히 대만 낙농기자재 유통업체가 여러 차례 우리나라를 방문해 제품 성능과 데이터 처리 체계를 확인했고, 최종적으로 운영 안정성과 기능 유연성, 가격 경쟁력 등을 높이 평가하며 수출 계약으로 이어졌다. 양측은 향후 지속적인 수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도 지난해 체결했다. 대만은 농가당 사육 규모가 우리나라보다 크고, 고령화와 인력 부족 등의 영향으로 최근 로봇착유기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도입에 관심이 크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노동시간을 약 40% 단축할 수 있는 국산 로봇착유기의 실용성과 가격 경쟁력은 현지 유통사와 낙농가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농촌진흥청과 ㈜다운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형 로봇착유기를 개발했다. 두 차례 상용화 실패를 겪은 뒤 세 번째 도전에서 성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광복 80년, 사진 공모전을 통해 100년 전 한반도 식물채집 기록의 수수께끼를 풀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광복 80년을 맞아, 지난 7월 중 진행한 온라인 사진 공모 캠페인 ‘우리식물의 잃어버린 기록을 찾아서: 이제 당신의 사진으로 이어갑니다’를 통해, 단순한 사진 재현을 넘어 100여 년 전 식물채집 기록의 역사적 퍼즐을 푸는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1917~1918년 미국 식물학자 어니스트 헨리 윌슨(E.H.Wilson)이 한반도 전역에서 식물채집을 하며 남긴 사진과 기록을 바탕으로, 일반 국민이 같은 장소의 사진이나 같은 장소를 찾아 다시 촬영한 사진을 공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을 통해 수집된 참가자들의 사진들은 뜻밖의 중요한 사실들을 밝혀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제주도에서 촬영되어 정방폭포로 기록된 사진 속 장소가 실제로는 천지연폭포로 확인되었으며, ▲울릉도 도동 지역의 107년 전 사진과 현재 사진을 비교한 결과, 현저한 생태환경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당시에 촬영된 한 사찰에 대한 기록은, 지명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표기한 것을 해석하는 중에 ▲‘서울 성북구 관음사’로 기록되었는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서울이 아닌 북한 개성의 관음사였음이 밝혀졌다. 이는 당시 윌슨의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