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낙농육우

푸석푸석~ 건조해진 피부에는 우유가 딱!

깊어지는 가을만큼 전국적으로 일교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아침은 20도 정도로 다소 쌀쌀하지만 한낮에는 26도 정도를 유지하면서 덥다고 느낄 수도 있는 날씨다. 이렇게 심해진 일교차와 건조해진 날씨가 겹쳐 피부 문제를 호소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집에서도 할 수 있는 피부 관리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은 요즘과 같은 환절기 피부 관리법으로 우유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우유에는 AHA(Alpha Hydroxy Acids, 알파하이드록신산)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우유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천연 보습인자인 AHA 성분은 피부의 묵은 각질을 부드럽게 만들어 자극 없이 탈락시키고, 건강한 각질을 생성시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끈하게 만들어준다.

 

뿐만 아니라 우유 속 칼슘과 칼륨 역시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된다. 이에 연세리앤피부과 이세원 원장은 “칼슘은 각질층을 건강하게 해줘 피부 장벽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칼륨은 나트륨을 배설하는 역할로 짠 음식을 먹고 우유를 마시면 우유 속 칼륨이 나트륨과 함께 배설되어 피부가 붓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전한 바 있다.

한편,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집에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우유빛깔 피부관리법’을 소개했다.

▲촉촉한 우유 세안법

1. 우유를 화장솜에 묻혀 피부 결을 따라 마사지하듯 닦아낸다.

2. 미온수로 깨끗하게 헹궈준다.

Tip. 체온과 비슷한 온도의 우유를 사용하면 흡수를 높일 수 있다.

 

▲꿀 피부 준비물 우유 꿀팩

1. 우유, 꿀, 밀가루를 1:1:1 비율로 잘 섞어준다.

2. 얼굴 전체에 펴 바른다.

3. 20분 후 미온수로 깨끗하게 헹궈준다.

 

▲묵은 각질은 이제 안녕~ 우유 오트밀팩

1. 볼에 우유, 오트밀가루 1:1 비율에 꿀을 약간 넣고 잘 섞어준다.

2. 얼굴 전체에 펴 바른다.

3. 15~20분 후 미온수로 깨끗하게 헹궈준다.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