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어기구 의원, “지난해 해역 6곳 전년대비 해수수질 나빠져”

31곳 해역 중 6곳 해수수질 등급 하락…천수만, 금강하구, 도암만, 삼척오십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동해연안 등
해양측정망 425정점 중 수질평가지수 Ⅰ·Ⅱ등급 2017년에 비해 지난해 16개 감소
- 어 의원 “깨끗한 어장환경을 위해 하천과 하구, 해양과의 통합적 수질관리체계 구축필요”

지난해 31곳의 해역 중 6곳이 전년대비 해수수질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해역별 수질평가지수 등급별 현황〉에 따르면 31개 해역 중 천수만, 금강하구, 도암만, 삼척오십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동해연안 등 6곳은 전년보다 수질등급이 하락했다. <표1>

 

해수부는 「해양환경관리법」제9조에 따라, 해양환경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해양환경측정망을 운용하고 있는데, 전국을 31개 해역으로 세분화하여 425개 정점을 측정한 수질평가지수(Water Quality Index, WQI)에 따라 해수수질을 Ⅰ등급(매우좋음), Ⅱ등급(좋음), Ⅲ등급(보통), Ⅳ등급(나쁨), Ⅴ등급(아주나쁨)으로 나누고 있다.〈그림1〉

 

현재 우리나라 연안수질은 2015년보다 나아졌으나 최근 3년간 악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425곳 해양환경측정망의 수질평가지수 등급평가 결과 해수수질이 우수한 Ⅰ(매우좋음)·Ⅱ등급(좋음) 정점은 2017년 362개에서 지난해 346개로 16개 감소했으며, Ⅳ등급(나쁨)·Ⅴ등급(아주나쁨) 개수는 4개에서 16개로 증가했다. <표2>

 

어기구 의원은 “바다를 깨끗하고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은 수산물 먹거리의 안전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면서“육지에서 흐르는 하천,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하구, 하천이 흘러 들어가는 해양 등에 대한 통합적 수질관리체계 구축 등을 모색하여 깨끗한 어장환경 조성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1 연도별 해역별 수질평가지수 등급현황〉

 

해역명칭

해수수질(등급) 결과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한강하구

III

II

I

가로림만

I

II

I

천수만

II

II

II

금강하구

II

II

II

함평만

I

I

I

영산강하구

III

III

I

도암만

I

II

I

득량만

I

I

I

여자만

II

I

II

가막만

I

I

I

섬진강하구

II

II

I

진주만

II

II

II

진해만

II

I

I

낙동강하구

II

II

II

태화강하구

II

I

I

영일만

II

II

III

영덕오십천하구

II

II

II

왕피천하구

 

 

II

삼척오십천하구

 

 

II

강릉남대천하구

 

 

II

양양남대천하구

 

 

I

서해중부연안

I

I

I

서남해역연안

I

I

I

대한해협연안

I

I

I

동해연안

I

I

I

제주연안

I

I

I

※ 왕피천하구, 삼척오심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양양남대천하구는 2017년에 정점추가

※ 서해중부외해, 서남해역외해, 대한해협외해, 제주외해, 동해외해 제외

자료: 해양수산부

 

 〈그림1 해역구분표(총 31개소)〉

자료: 해양수산부고시 제2018-10호(2018. 1. 23.) 발췌

 

〈표2 수질평가지수(WQI)에 따른 연안수질 현황〉

(단위: 개, %)

구분

Ⅰ등급

(매우좋음)

Ⅱ등급

(좋음)

Ⅲ등급

(보통)

Ⅳ등급

(나쁨)

Ⅴ등급

(아주나쁨)

ⅠㆍⅡ

등급 비율

합계

2015

204

(48.9)

123

(29.5)

74

(7.7)

14

(3.4)

2

(0.5)

78.4

417

(100.0)

2016

205

(49.2)

146

(35.0)

58

(13.9)

8

(1.9)

0

(0.0)

84.2

417

(100.0)

2017

199

(46.8)

163

(38.4)

59

(13.9)

4

(0.9)

0

(0.0)

85.2

425

(100.0)

2018

218

(51.3)

130

(30.6)

59

(13.9)

17

(4.0)

1

(0.2)

81.9

425

(100.0)

2019

222

(52.2)

124

(29.2)

63

(14.8)

12

(2.8)

4

(0.9)

81.4

425

(100.0)

주: 수질평가지수(Water Quality Index)는 저층산소포화도(DO), 식물플랑크톤 농도(Chl-a), 용존무기

질소 농도(DIN), 용존무기인 농도(DIP)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WQI 23이하가 Ⅰ등급, 24~33은 Ⅱ

등급, 34~46이 Ⅲ등급, 47~59는 Ⅳ 등급, 60 이상은 Ⅴ등급에 해당됨     

자료: 해양수산부


농업

더보기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물・그늘・휴식 3대 수칙 지켜주세요”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령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후 민감 직업군인 농업인이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작업 전 준비 사항= 농작업 당일 날씨와 체감온도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농작업 중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을 준비한다.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고, 휴대용 선풍기나 보냉 장비(얼음 주머니, 냉각 목밴드 등)를 챙긴다.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은 되도록 피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농작업 중 점검 사항= 농작업 중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마다 시원한 물을 마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오르는 폭염경보가 발효되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한다. 더운 날에는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농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작업을 멈추고 쉰다. 농작업 중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피로감 등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농작업이 끝나면 그늘에서 잠시 쉬면서 수분을 보충한다. 작업 후에는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체온을 낮춘다.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식품과학회에서 미래식품 안전전략 연구 성과 공유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7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주요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식품안전 연구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위해요소 정보 역량: 데이터 융합이 이끄는 미래 식품 안전 전략’를 주제로 7월 3일(목)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 회의실 201호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해썹 데이터 분석기술 발전(고려대학교 조태진 교수) ▲공공데이터 기반 맞춤형 온라인 위해 분석 서비스(해썹인증원 손영훈 팀장) ▲식품 제조 및 유통 전 단계의 통합적 위해요소 분석을 통한 예측가능한 식품안전 시스템 구축(아워홈 엄태건 부문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에서는 식품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에 기반한 위해요소 분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를 통해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미래 식품안전 전략을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