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1곳의 해역 중 6곳이 전년대비 해수수질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해역별 수질평가지수 등급별 현황〉에 따르면 31개 해역 중 천수만, 금강하구, 도암만, 삼척오십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동해연안 등 6곳은 전년보다 수질등급이 하락했다. <표1>
해수부는 「해양환경관리법」제9조에 따라, 해양환경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해양환경측정망을 운용하고 있는데, 전국을 31개 해역으로 세분화하여 425개 정점을 측정한 수질평가지수(Water Quality Index, WQI)에 따라 해수수질을 Ⅰ등급(매우좋음), Ⅱ등급(좋음), Ⅲ등급(보통), Ⅳ등급(나쁨), Ⅴ등급(아주나쁨)으로 나누고 있다.〈그림1〉
현재 우리나라 연안수질은 2015년보다 나아졌으나 최근 3년간 악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425곳 해양환경측정망의 수질평가지수 등급평가 결과 해수수질이 우수한 Ⅰ(매우좋음)·Ⅱ등급(좋음) 정점은 2017년 362개에서 지난해 346개로 16개 감소했으며, Ⅳ등급(나쁨)·Ⅴ등급(아주나쁨) 개수는 4개에서 16개로 증가했다. <표2>
어기구 의원은 “바다를 깨끗하고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은 수산물 먹거리의 안전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면서“육지에서 흐르는 하천,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하구, 하천이 흘러 들어가는 해양 등에 대한 통합적 수질관리체계 구축 등을 모색하여 깨끗한 어장환경 조성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1 연도별 해역별 수질평가지수 등급현황〉
해역명칭 |
해수수질(등급) 결과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한강하구 |
III |
II |
I |
Ⅲ |
Ⅱ |
가로림만 |
I |
II |
I |
Ⅰ |
Ⅰ |
천수만 |
II |
II |
II |
Ⅰ |
Ⅱ |
금강하구 |
II |
II |
II |
Ⅰ |
Ⅱ |
함평만 |
I |
I |
I |
Ⅱ |
Ⅰ |
영산강하구 |
III |
III |
I |
Ⅰ |
Ⅰ |
도암만 |
I |
II |
I |
Ⅰ |
Ⅱ |
득량만 |
I |
I |
I |
Ⅰ |
Ⅰ |
여자만 |
II |
I |
II |
Ⅰ |
Ⅰ |
가막만 |
I |
I |
I |
Ⅰ |
Ⅰ |
섬진강하구 |
II |
II |
I |
Ⅱ |
Ⅰ |
진주만 |
II |
II |
II |
Ⅰ |
Ⅰ |
진해만 |
II |
I |
I |
Ⅱ |
Ⅰ |
낙동강하구 |
II |
II |
II |
Ⅱ |
Ⅱ |
태화강하구 |
II |
I |
I |
Ⅰ |
Ⅰ |
영일만 |
II |
II |
III |
Ⅱ |
Ⅱ |
영덕오십천하구 |
II |
II |
II |
Ⅲ |
Ⅱ |
왕피천하구 |
|
|
II |
Ⅱ |
Ⅱ |
삼척오십천하구 |
|
|
II |
Ⅱ |
Ⅲ |
강릉남대천하구 |
|
|
II |
Ⅱ |
Ⅲ |
양양남대천하구 |
|
|
I |
Ⅱ |
Ⅱ |
서해중부연안 |
I |
I |
I |
Ⅰ |
Ⅰ |
서남해역연안 |
I |
I |
I |
Ⅰ |
Ⅰ |
대한해협연안 |
I |
I |
I |
Ⅰ |
Ⅰ |
동해연안 |
I |
I |
I |
Ⅰ |
Ⅱ |
제주연안 |
I |
I |
I |
Ⅰ |
Ⅰ |
※ 왕피천하구, 삼척오심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양양남대천하구는 2017년에 정점추가
※ 서해중부외해, 서남해역외해, 대한해협외해, 제주외해, 동해외해 제외
자료: 해양수산부
〈그림1 해역구분표(총 31개소)〉
자료: 해양수산부고시 제2018-10호(2018. 1. 23.) 발췌
〈표2 수질평가지수(WQI)에 따른 연안수질 현황〉
(단위: 개, %)
구분 |
Ⅰ등급 (매우좋음) |
Ⅱ등급 (좋음) |
Ⅲ등급 (보통) |
Ⅳ등급 (나쁨) |
Ⅴ등급 (아주나쁨) |
ⅠㆍⅡ 등급 비율 |
합계 |
2015 |
204 (48.9) |
123 (29.5) |
74 (7.7) |
14 (3.4) |
2 (0.5) |
78.4 |
417 (100.0) |
2016 |
205 (49.2) |
146 (35.0) |
58 (13.9) |
8 (1.9) |
0 (0.0) |
84.2 |
417 (100.0) |
2017 |
199 (46.8) |
163 (38.4) |
59 (13.9) |
4 (0.9) |
0 (0.0) |
85.2 |
425 (100.0) |
2018 |
218 (51.3) |
130 (30.6) |
59 (13.9) |
17 (4.0) |
1 (0.2) |
81.9 |
425 (100.0) |
2019 |
222 (52.2) |
124 (29.2) |
63 (14.8) |
12 (2.8) |
4 (0.9) |
81.4 |
425 (100.0) |
주: 수질평가지수(Water Quality Index)는 저층산소포화도(DO), 식물플랑크톤 농도(Chl-a), 용존무기
질소 농도(DIN), 용존무기인 농도(DIP)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WQI 23이하가 Ⅰ등급, 24~33은 Ⅱ
등급, 34~46이 Ⅲ등급, 47~59는 Ⅳ 등급, 60 이상은 Ⅴ등급에 해당됨
자료: 해양수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