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지방 공무원 연간 시간외근무수당, 4인가구 재난지원금 100만원의 최대 7배

- 충남도청 공무원, 매일 2시간 이상 시간외 근무하고 매년 650여만원 더 받아가
한정애 “근무시간 단축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역행, 철저한 관리·감독 이뤄져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국회의원(서울 강서병, 정책위원회 의장)이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에게 지급한 시간외근무수당이 1인당 최대 650여 만원에 달했다. 이는 올해 5월 전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 100만원(4인 가구 기준)의 7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1인당 연평균 가장 많은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 받은 지자체는 충청남도로 650여 만원이었고, 가장 적은 지자체는 147여 만원인 강원도 정선군으로 두 곳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같은 지방공무원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수령한 시간외근무수당은 4배 이상 차이가 났다. 수당 지급 규모로도 충청남도가 약 11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 송파구가 약 115억원, 전라북도가 약 11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2019년 지자체 소속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

순위

자치

단체명

총 지급액(원)

근무시간

1인당 연평균

1인당 월평균

지급액(원)

근무시간

지급액(원)

근무시간

1

충남본청

11,839,555,870

1,020,739

6,559,310

565

546,609

47

2

서울송파

11,567,209,350

943,779

6,317,427

515

526,452

43

3

전북본청

11,124,535,240

823,572

5,818,270

430

563,780

41

5

전북남원

5,978,528,540

473,487

5,571,780

441

515,920

40

6

경북영천

5,493,086,740

413,431

5,537,385

416

461,448

34

7

경북구미

8,810,134,710

706,490

5,506,330

441

522,850

41

8

전북정읍

6,483,822,070

511,056

5,480,830

432

511,900

40

9

충남서천

3,563,865,980

270,912

5,438,940

414

453,245

34

10

서울광진

7,716,836,090

610,660

5,381,336

426

448,445

35

10

서울중랑

8,756,041,700

701,293

5,361,936

429

446,828

36

 (자료: 행정안전부)

 

특히, 1인당 월평균 시간외 근무시간은 최소 11시간(전남 구례군)에서 최대 47시간(충청남도)에 달하는 등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르면 공무원의 1주간 근무시간은 40시간을 원칙으로 하며,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5조에는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사람에게 시간외근무 수당을 최대 57시간 이내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과도한 시간외근무와 수당지급은 매년 비슷하게 반복되어온 일이었다. 충청남도, 서울 송파구, 서울 광진구, 서울 중랑구, 경북 구미시, 전북 남원시, 경북 영천시 등의 지자체는 2018년에도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에 올랐다. 근무시간과 지급액수도 올해와 크게 차이가 없었다. 시간외근무수당 지급이 공무원들 사이에 관행적으로 이뤄져온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지자체 소속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

순위

자치

단체명

총 지급액(원)

근무시간

1인당 연평균

1인당 월평균

지급액(원)

근무시간

지급액(원)

근무시간

1

충남본청

11,222,441,420

1,009,147

6,412,823

576

534,401

48

2

서울송파

10,459,522,860

861,331

6,113,105

503

509,425

42

3

서울강동

7,917,243,960

652,383

5,779,010

476

481,584

40

4

서울광진

7,558,967,650

614,623

5,641,021

459

470,085

38

5

경북구미

8,669,176,320

714,998

5,564,290

458

516,570

42

6

전북남원

5,832,994,140

471,804

5,560,520

449

511,170

41

7

서울강남

8,807,069,550

704,481

5,553,007

444

462,751

37

8

경북영천

5,223,631,950

395,666

5,545,256

420

462,104

35

9

서울중랑

8,505,257,120

700,159

5,544,496

456

462,041

38

10

서울성동

7,415,906,800

602,926

5,517,788

449

459,816

37

(자료: 행정안전부)

 

한편,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국가공무원의 시간외근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치안과 안전이라는 업무 특성상 전통적으로 시간외근무가 많은 경찰청과 해양경찰청, 소방청이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뒤이어 재정과 예산을 총괄하는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가 1인당 연평균 지급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국가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5곳) >

순위

부처명

총 지급액(천원)

1인당 연평균 지급액(천원)

1인당 월평균

근무시간

1

경찰청

288,407,368

6,500

40.1

2

해양경찰청

18,903,727

5,840

34.6

3

소방청

1,630,450

5,731

28.2

4

기획재정부

4,357,725

5,680

26.4

5

금융위원회

1,177,474

4,205

22.2

(자료: 인사혁신처)

 

지난해 경찰청과 해양경찰청에 시간외근무수당으로 각각 2,884억 736만원, 189억 372만원이 지급됐다. 1인당 월평균 각각 40.1시간, 34.6시간의 시간외근무를 하고 연간 650만원, 584만원을 받은 것이다. 이어 소방청은 1인당 월평균 34.6시간의 시간외근무를 하고 연간 573만원을 받아가 총 지급액이 16억 3,045만원이었고,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에 각각 43억 5,772만원, 11억 7,747만원이 지급되어 1인당 연간 568만원, 420만원을 수당으로 더 받아갔다.

 

2018년 인사혁신처는 2022년까지 공무원의 초과 근무시간을 40% 감축하고 연가를 100% 소진하도록 하는 ‘정부기관 근무혁신 종합대책’을 내놓고 여러 차례 관련 규정 개선을 통해 시간외 근무시간과 예산을 감축하려 했으나 실질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당한 방법을 통해 시간외근무 수당을 부정수령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올해 6월 경북 김천시 공무원들이 지문인식 카드를 근무자에게 맡기거나 출·퇴근 대리 등록을 하는 등의 수법을 활용해 시간외근무수당을 부당하게 수령한 사례가 감사원 감사를 통해 적발되었고, 8월에는 경기도가 자체감사를 통해 당직 근무시 시간외 근무를 등록해 수당을 부정하게 수령한 도청 소속 공무원을 징계했다.

 

한 의원은 “주52시간제를 통한 우리 사회 노동시간 단축이 새로운 변화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공무원들의 과도한 시간외 근무는 정부 정책에도 역행하는 문제”라며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가 공무원의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관리·감독을 통해 부정 수령 사례를 철저하게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업

더보기
‘인삼, 약용작물’ 집중호우 피해 치명적…예방 철저
농촌진흥청은 최근 장마철마다 자주 나타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삼과 약용작물 재배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철저한 정비와 병 예방을 당부했다. 우리나라는 6~8월에 전체 강수량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비가 집중해서 내린다. 장마 기간에 국지성 폭우가 내리면 인삼과 약용작물이 물에 잠기거나 재배지가 유실되는 등의 다양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인삼은 습기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 장기간 비가 내리면 지상부가 시들고 잎이 일찍 떨어진다. 뿌리의 경우 털이 탈락하거나 전체적으로 부패해 싹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뿌리를 약재로 쓰는 황기, 지황, 천궁도 침수에 취약해 물 빠짐이 좋지 않은 밭에 오래 두면 시듦 증상과 뿌리 부패 관련 병 등이 확산하게 된다. 특히, 침수 피해를 본 식물체는 잎 표면에 앙금과 오물이 쌓여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잎이 데쳐진 듯 물러져 시듦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 번 물에 잠긴 인삼과 약용작물은 회복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가에서는 재배지 물길을 정비하고 자동 양수기를 설치해 대비한다. 인삼은 6시간 이상 침수되면 뿌리 부패 정도를 판단해 조기 수확을 고려해야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편하게 집보신하세요” 하림 더미식, 여름철 보양식 삼계탕 2종 출시
올 여름 역대급 더위가 예고된 가운데,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림이 국물요리 제품을 앞세워 여름철 보양식 시장 공략에 나섰다.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간편식 브랜드 ‘The미식(더미식)’은 여름 보양식의 대표 메뉴인 삼계탕 2종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제품은 ‘삼계탕’과 ‘닭다리 삼계탕’으로 100% 국내산 신선한 닭을 사용했으며, 더미식만의 차별화된 조리 기술로 맛을 한층 끌어올렸다. 끓이기 전 닭고기를 한 번 쪄내는 ‘자숙’ 공정을 통해 기름기를 제거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국물 맛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삼계탕’은 45호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사용했으며, 얼리지 않은 냉장육으로 닭고기 식감이 부드럽고 쫄깃하다. 생강, 양파, 마늘 등을 넣고 정성껏 4시간 이상 고아낸 육수에 국내산 수삼, 밤, 잣, 은행, 찹쌀 등을 더해 깊은 풍미와 풍부한 식감을 살렸다. ‘닭다리 삼계탕’은 큼직한 통닭다리만을 사용해 한 마리 삼계탕이 부담스러웠던 소비자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삼계탕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아낸 국물에 찹쌀을 듬뿍 넣어 구수한 맛을 더했다. 더미식 삼계탕 2종은 상온 파우치 형태로 보관과 휴대가 간편하며, 각 900g,

산림

더보기
동부산림청,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여름철 산간 계곡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림오염 및 훼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여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 기간(2025. 7. 1.∼ 8. 31.)”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중점단속 대상은 산림 내 취사, 오물·쓰레기 투기, 무허가 물놀이 시설 등 불법 시설물 설치, 산림 무단점유 등 여름철 다수 발생하는 산림 내 불법행위로 동부지방산림청 및 소속 7개 국유림관리소 산림특별사법경찰을 중심으로 단속반을 편성하고 효과적인 단속을 위하여 산림 드론도 투입할 계획이다. 단속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산림 내 취사, 흡연 등에 대해서는 적발 즉시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한편, 동부지방산림청은 지난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봄철 산림 내 불법행위 집중단속을 실시하여 임산물 불법채취 등 29명을 입건하였으며, 110명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동부지방산림청장은 “산림 내 불법행위로 인해 산을 찾는 휴양객들이 즐거움을 잊지 않도록 단속을 엄중히 실시하여 산림피해를 최소화하겠다.”라며, “올바른 산림보호 문화 정착을 위해 국민들의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