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100조원대 조달시장 지역업체 참여율은 55%로 저조

- 지난해 나라장터 이용액 102조원 중 지역업체 수주액 56조원 -
-지역업체 참여율 2016년 51.3%에서 54.9%로 소폭상승 -
- 경기도 66.6% 대비 세종시 10.4%로 지역별 차등 -

나라장터를 통한 국내 조달시장 규모가 100조원대로 성장하고 있지만 지역업체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태흠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 ․ 서천)이 조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나라장터를 통한 거래는 총230만건으로 102조원 규모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발주된 계약이 24만건으로 15조원 규모(14.7%)였고 ‘경기도’가 50만건, 14조9천억원(14.5%), ‘경상북도’ 18만건 7조3천억원(7.2%) 순이었다.

 

시도별 발주 계약에 해당 지역 업체들이 참여하는 비율은 총조달액 102조원 중 56조4천억원으로 54.9%였다. 지역업체 참여율은 2016년 51.3% 대비 3.5% 가량 소폭 올라갔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계약액 15조원 중 10조원을 지업업체가 따내 66.6%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전남도’가 65.6%, ‘서울시’ 63.6% 등으로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나았다.

 

하지만 ‘세종시’의 경우 지난해 2만7천건의 계약으로 3조8천억원을 발주했는데 지역 업체가 참여한 경우는 5천454건, 3천967억원으로 10% 수준에 그쳤다. ‘대전’도 지역 참여율이 25.2%, ‘인천’ 38.2% 등으로 낮았다.

 

김태흠의원은 “공공조달사업에서 지역제한입찰 등으로 지역업체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조달사업의 균형적 배분과 지역업체 참여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2019년도 조달사업 현황(단위: 건, %, 억원)

구분

2019년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건수

비중

금액

비중

서울특별시

241,182

10.4

150,903.4

14.7

경기도

499,255

21.6

149,591.4

14.5

경상북도

181,756

7.9

73,721.7

7.2

경상남도

180,794

7.8

69,085.1

6.7

전라남도

169,659

7.3

66,316.9

6.4

강원도

156,311

6.8

63,562.7

6.2

대전광역시

67,387

2.9

63,340.1

6.2

부산광역시

88,631

3.8

57,465.2

5.6

전라북도

117,893

5.1

55,302.0

5.4

인천광역시

87,300

3.8

50,590.9

4.9

충청남도

159,393

6.9

50,132.4

4.9

충청북도

117,040

5.1

45,971.5

4.5

세종특별자치시

27,645

1.2

38,255.9

3.7

대구광역시

78,786

3.4

33,264.4

3.2

제주특별자치도

44,819

1.9

23,723.4

2.3

광주광역시

44,222

1.9

18,832.0

1.8

울산광역시

46,426

2.0

18,280.4

1.8

전체

2,308,499

100.0

1,028,339

100.0

 

 

2016년 대비 2019년도 조달사업 지역업체 참여 현황(단위: 건, %, 억원)

구분

2016년

2019년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건수

건수

비중

금액

금액

비중

건수

건수

비중

금액

금액

비중

경기도

377,420

268,935

71.3

107,002.4

65,955.5

61.6

499,255

349,801

70.1

149,591.4

99,585.8

66.6

전라남도

119,706

58,589

48.9

52,802.8

29,533.4

55.9

169,659

94,111

55.5

66,316.9

43,532.0

65.6

서울특별시

183,590

97,560

53.1

107,338.2

69,982.7

65.2

241,182

126,443

52.4

150,903.4

96,045.3

63.6

경상남도

129,092

65,444

50.7

50,790.1

30,142.0

59.3

180,794

98,587

54.5

69,085.1

43,544.2

63.0

강원도

112,867

68,042

60.3

51,425.5

29,086.4

56.6

156,311

95,528

61.1

63,562.7

38,994.3

61.3

경상북도

129,362

60,756

47.0

58,824.8

32,313.2

54.9

181,756

101,434

55.8

73,721.7

44,908.3

60.9

전라북도

85,728

50,402

58.8

42,984.1

23,641.5

55.0

117,893

69,004

58.5

55,302.0

33,534.0

60.6

충청남도

114,428

61,924

54.1

38,592.3

22,825.9

59.1

159,393

87,253

54.7

50,132.4

30,107.6

60.1

충청북도

86,398

46,089

53.3

33,838.8

18,967.6

56.1

117,040

62,326

53.3

45,971.5

27,297.3

59.4

제주특별자치도

31,169

13,598

43.6

20,217.6

9,006.1

44.5

44,819

19,537

43.6

23,723.4

12,377.2

52.2

광주광역시

32,623

12,528

38.4

12,235.7

5,277.6

43.1

44,222

17,878

40.4

18,832.0

9,633.8

51.2

울산광역시

36,283

15,921

43.9

17,192.9

7,374.1

42.9

46,426

19,967

43.0

18,280.4

8,653.1

47.3

대구광역시

62,818

29,168

46.4

26,761.9

12,821.2

47.9

78,786

34,720

44.1

33,264.4

14,223.6

42.8

부산광역시

71,532

35,509

49.6

46,883.3

20,263.5

43.2

88,631

45,649

51.5

57,465.2

23,246.1

40.5

인천광역시

59,969

28,792

48.0

40,117.5

10,904.9

27.2

87,300

41,101

47.1

50,590.9

19,304.4

38.2

대전광역시

53,648

15,856

29.6

44,299.5

9,933.5

22.4

67,387

20,657

30.7

63,340.1

15,945.2

25.2

세종특별자치시

22,859

3,934

17.2

29,410.4

2,755.3

9.4

27,645

5,454

19.7

38,255.9

3,967.2

10.4

 

1,709,492

933,047

54.6

780,718

400,784

51.3

2,308,499

1,289,450

55.9

1,028,339

564,899

54.9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