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비료종자

2021년에 파종할 콩·팥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하세요!

(콩) 8품종 1,193톤, (팥) 1품종 25톤

 국립종자원(원장 최병국)은 2021년에 파종할 콩·팥 정부보급종(이하 보급종) 종자 콩 8품종 1,193톤, 팥 1품종 25톤을 오는 2월 1일부터 4월 9일까지 신청 받는다고 밝혔다.

 - 금번 공급계획은 첫째, 논 타작물 재배면적을 늘리고 국산콩과 팥의 생산 제고를 통한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정책기조와 둘째, 현장의 종자수요 변화를 반영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콩 >

  이번에 신청 받는 콩 보급종 종자는 일반콩 7품종 1,055톤, 나물콩 1품종 138톤으로 총 1,193톤이다.

  일반콩은 품종별로 대원 710톤, 대풍 18톤, 대찬 102톤, 선풍 153톤, 태광 34톤, 진풍 13톤, 청아 25톤이다.

  나물콩은 1품종으로 풍산나물 138톤이다.

  콩 보급종 공급가격은 일반콩 1포(5kg)당 28,080원이며, 나물콩 1포(5kg)당 33,090원으로 소독·미소독 가격은 동일하다.

 

< 팥 >

  팥 보급종 종자는 1품종 아라리 25톤이며, 미소독 종자만 신청 가능하다.

  팥 보급종 공급가격은 미소독 1포(5kg)당 48,240원이다.

 

 올해 콩·팥 보급종이 필요한 농가는 2월 1일부터 4월 9일까지 시․군 농업기술센터(농업인 상담소)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시도단위 신청기간(2.1.~3.19.)에는 도별 공급계획에 따라 해당지역에 배정된 물량 내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 붙임자료 '21년도 콩·팥 보급종 공급계획량 참고

 - 시도단위 신청기간에 신청을 못하거나, 추가로 종자가 필요한 농가는 전국단위 신청기간(3.22.~4.9)을 활용하여 잔량을 신청할 수 있다. 

 

 신청한 보급종 종자는 4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신청 시에 선택한 지역농협을 통해 농가에 공급될 예정이다.

 

 보급종 신청·공급에 대한 문의사항은 해당 시‧군 농업기술센터 또는 국립종자원(054-912-0187, www.seed.go.kr)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 농가의 보급종 품종선택을 돕기 위해 보급종 품종 안내서를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비치하였다.

 

 콩 (단위 : 톤)

구  분

콩 보급종(8품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193

98

143

190

118

145

127

252

45

75

일반콩

대원

710

98

100

180

84

-

30

201

17

-

대풍

18

-

18

-

-

-

-

-

-

-

대찬

102

-

-

10

24

27

-

41

-

-

선풍

153

-

-

-

10

113

20

10

-

-

태광

34

-

-

-

-

-

19

-

15

-

진풍

13

-

-

-

-

-

-

-

13

-

청아

25

-

25

-

-

-

-

-

-

-

나물콩

풍산나물

138

-

-

-

-

5

58

-

-

75

 * 공급계획량은 종자선별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단위 : 톤)

구  분

팥 보급종(1품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아라리

25

1

5

1

2

3

9

3

1

 * 공급계획량은 종자선별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광주식약청, 지역별 특화식품 활성화를 위한 현장 소통 확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송성옥)은 관내 소규모 식품제조․가공업체를 대상으로 ‘25년 지역별 특화식품 안전관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역별 특화식품을 생산하는 식품제조‧가공업체의 안전관리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식품안전 및 HACCP관리 교육과 맞춤형 상담, 현장 기술지원을 제공하며, 6월 11일 무안군 양파즙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광주식약청은 지난 2월 관내 시․도의 추천 식품 사전 의견조회 및 회의를 통해 지역별 특색이 반영된 식품을 선정*하였으며, 지자체,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광주지원과 합동으로 해당 지역 특화식품의 안전관리를 지원한다. * 1차 무안군(양파즙), 2차 제주시(오메기떡), 3차 남원시(김부각) 올해 1차 6월 11일 무안군 보건소에서 개최한「무안군 양파즙 식품안전 및 HACCP관리 교육」에서는 ▲HACCP의 이해 및 인증‧연장심사 준비하기 ▲HACCP 사후관리 방법 및 현장 기술지원 소개 ▲식품위생법 영업자 준수사항에 대해 안내했으며, 이후 ▲맞춤형 상담을 통해 식품제조‧가공업 현장의 궁금증을 적극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광주식약청은 교육 현장에서

산림

더보기
국내 유일 설악산 눈잣나무 복원에 ‘청신호’ 복원연구 9년만에 생존율 0%에서 45%로 회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국립공원공단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현병관)와 협력하여, 설악산에서만 자생하는 고산 희귀수종 ‘눈잣나무’ 복원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2016년부터 추진해 온 현지 내 복원 연구에서 어린나무의 생존율을 9년 만에 45%까지 끌어올리며 멸종위기종 보전에 청신호를 켰다. 눈잣나무는 해발 1,5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희귀 침엽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 대청봉 일대가 유일한 자생지다.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아고산대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눈잣나무 집단 서식지에도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과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2011년부터 공동으로 유전다양성 보전 전략을 수립하고, 종자 수집 및 증식 방법을 추진해왔다. 특히, 국립산림과학원은 2016년 훼손지에 식재한 어린나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털진달래 등 주변 식물을 활용한 바람막이를 설치했고, 그 결과 3년 후 생존율은 50%에 도달했다. 이는 바람막이를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의 생존율 0%와 대비되는 획기적인 성과였다. 또한,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눈잣나무의 군락지 변화관찰과 증식에 집중하였다. 고사목과 후계목 발생 추이를 관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