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올 한 해를 빛낼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은?

- 수산전통식품 제조 ․ 가공 ․ 조리 분야 명인 신청 ․ 접수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 수산전통식품을 보전하고 계승하기 위해 올해도 수산전통식품의 제조․가공․조리 분야에서 우수한 기능을 보유한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명인 지정 제도는 우수한 우리 식품의 계승, 발전을 위해 식품 제조․가공․조리 등 각 분야의 명인을 지정하여 육성하는 제도로, 1993년 9월에 처음 시행되었다.

 

그 중 수산전통식품 분야에 해당되는 수산식품명인은 1999년 11월 김광자 씨(숭어 어란)가 처음 지정된 이래 현재까지 7개 분야의 8명이 지정된 바 있다.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 지정현황 : 7종 8명>

지정번호

성명

지정품목

지정일

소재지

1

김광자

숭어어란

‘99. 11. 27

전남 영암

2

이영자

제주옥돔

‘12. 5. 21

제주도

3

정락현

죽염

‘15. 9. 23

전북 부안

4

김윤세

죽염

‘16. 12. 1

경남 함양

5

김정배

새우젓

‘16. 12. 1

충남 아산

6

유명근

어리굴젓

‘16. 12. 1

충남 서산

7

김혜숙

참게장

‘18. 12. 3

전남 곡성

8

이금선

가자미식해

‘20. 12. 3

강원 속초

 

 

올해는 2021년 2월 19일부터 시행된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수산식품산업법)」에 따라 명인 선정 절차를 더욱 엄격히 진행하여 객관성과 공정성을 높일 예정이다.

 

먼저 5월 24일(월)부터 6월 11일(금)까지 각 시․도(시․군․구)에서 신청을 받고, 각 시‧도는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7월 26일까지 해양수산부에 적격자를 추천한다. 이후 국립수산과학원이 전통성, 경력 및 활동사항, 계승·발전 필요성과 보호가치, 산업성, 윤리성에 대해 현장실사를 실시하는 등 엄격하고 공정하게 적합성을 검토하고,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법」 제8조에 따른 중앙 수산업‧어촌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11월 중 최종적으로 수산식품명인을 지정할 계획이다.

 

수산식품명인으로 신청하려면, ▲ 해당 수산식품의 제조․가공․조리 분야에 20년 이상 지속적으로 종사한 사람 ▲ 수산전통식품의 제조․가공․조리 방법을 원형대로 보전하고 있으며, 이를 그대로 실현할 수 있는 사람 ▲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으로부터 보유기능에 대한 전수교육을 5년(전수교육 중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인 사망한 경우에는 2년) 이상 받고 10년 이상 그 업(業)에 종사한 사람 중 한 가지 이상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수산식품명인으로 지정되면 기능 보유 제품에 ‘대한민국수산식품명인 표시‘를 할 수 있고, 제품전시, 홍보, 박람회 참가, 체험교육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수산식품산업법」 제정을 계기로 우리나라 수산전통식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식품명인 육성 및 지원을 강화하고, 수산전통식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등 대한민국 수산식품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재배 쉽고 수확량 많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느티만가닥버섯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을 한층 높인 하얀색 품종 ‘백마루24’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고 조리 활용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품목이다. 하지만, 갈색 품종에서 분리된 하얀색 품종(변이종)은 재배 안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까다로워 생산에 차질을 빚어왔다. * 느티만가닥버섯은 팽이버섯보다 머리가 크고 대가 굵어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좋음. 찌개, 볶음, 구이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일본에서는 매우 대중적인 버섯임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21년 개발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를 기반으로, 수량성과 균일성을 한층 강화한 ‘백마루24’를 새롭게 육성했다. ‘백마루24’는 흰색을 뜻하는 ‘백(白)’과 하늘의 순우리말 ‘마루’를 합친 기존 이름에, ‘개발 연도(2024년)’와 ‘24시 편의점’처럼 언제나 고르게 생산되는 모습을 형상화해 붙인 이름이다. 버섯 재배 속도가 고르고, 수확할 때 크기와 모양 편차가 적어 상품성이 높다. 특히, 균사 활력이 뛰어나 기존 상용 품종(80∼90일)보다 약 10일 빠른 70일 만에 버섯을 배양해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